DOI QR코드

DOI QR Code

A New Search for Dance Space ; A comparative Study of Spaces between Theaters and Museums

무용공간의 새로운 공간 탐색 ; 극장과 미술관의 공간 연구

  • Received : 2019.04.23
  • Accepted : 2019.08.06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As dance performances in the theater space are centered on text, they have plots and make characters stand out. They also emphasize expressivity and technique, and their recognition of space is very modern and typical of dichotomous Cartesian thinking. The museum space has many similarities with the theater space in that it is a result of modernity and granted authority to present arts. The performances in museums place value more on the presence than on the representation. For this reason, works in museums, which are frequently presented in recent years, are mainly works of site-specific or performative concepts. Now, rather than being able to obtain from aesthetics defined as works, the museum is assured its own aesthetic production and justification, paying attention to the performance as an event occurring now and here.

극장 공연에서의 무용 공연은 텍스트 중심으로 진행되어 플롯이 존재하고 캐릭터가 부각된다. 또한 극장 공연에서의 무용 공연은 표현력과 테크닉이 강조되는가 하면 공간에 대한 인식 역시 매우 근대적이며 이분법적인 데카르트적 사고의 전형을 보인다. 미술관이라는 공간 역시 극장 공간과 동일하게 근대적 산물의 공간인 동시에 예술이 도래하는 권위를 부여받았다는 점에서는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는 공간이다. 미술관은 재현(Representation)에 목적을 두는 것이 아닌 현존(Presence)에 더한 가치를 두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 들어 빈번하게 소개되는 미술관에서의 작업들은 장소특정적이거나 수행적 개념의 작업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제는 미술관도 작품으로 규정된 미학에서 얻을 수 있는 것보다도 지금, 여기에서 발생되는 사건으로의 퍼포먼스에 주목하면서 미술관 스스로의 미학적 생산과 당위성을 보장받고 있는 셈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앙리 르페브르,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p.566, 2011.
  2. T. Pape, N. Solomon, and A. Thain, "Welcome to This Situation: Tino Sehal's Impersonal Ethics," Dance Research Journal, Vol.46, No.3, pp.89-100, 2014(12). https://doi.org/10.1017/S0149767714000370
  3. S. Rosenberg, "Trisha Brown: Choreography as Visual art," October, Vol.140, pp.18-44, 2012. https://doi.org/10.1162/OCTO_a_00087
  4. A. Nicifero, "OCCUPY MoMA : The (Risks and) Potentials Musse de la Danse!," Dance Research Journal, Vol.46, No.3, pp.32-44, 2014(12). https://doi.org/10.1017/S0149767714000527
  5. 이재민, "미술관 속의 춤-윌리엄 포사이스의 수행적 전시회 사건의 진실(The Fact of Matter)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 제59권, pp.135-166, 2016.
  6. 김말복, "컨템포러리 댄스의 몸," 무용예술학연구, 제34권, pp.1-27, 2011.
  7. 김성기, "극장무대공간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2권, 제11호, pp.169-176, 2006.
  8. 조은정, "고대 미술의 공간 재현과 선 원근법의 기원,"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제17권, pp.177-202, 2002.
  9. 김석화, "서구 르네상스미술의 원근법과 공간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1권, 제4호, pp.37-46, 2010.
  10. 제니퍼 호먼스, 아폴로의 천사들; 발레의 역사, 까치, p.178, 2014.
  11. 제니퍼 호먼스, 아폴로의 천사들; 발레의 역사, 까치, p.71, 2014.
  12. 제니퍼 호먼스, 아폴로의 천사들; 발레의 역사, 까치, p.278, 2014.
  13. 이재민, "공간무대의 미학-아돌프 아피아와 윌리엄 포사이드의 작품을 중심으로," 드라마 연구, 제50권, pp.41-90, 2016.
  14. 스티브 컨,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1918, 휴머니스트, p.396, 2004.
  15. http://www.mmca.go.kr, 2019.4.10.
  16. 권미원, 장소특정적 미술, 현실문화, p.30, 2013.
  17. 토니 고드프리, 개념미술, 한길아트, p.56, 2002.
  18. Amanda Jane Graham, "Space Travel : Trisha Brown's Locus," Art Journal, Vol.75, Issue.2, pp.26-45. 2016. https://doi.org/10.1080/00043249.2016.1202621
  19. 이진아, "포스트드라마 연극에서 관객의 위치," 한국연극학, 제42권, pp.193-225, 2010.
  20. 전새미, "포스트드라마 연극에서 관객의 역할 고찰," 공연예술연구, 제4권, pp.21-40, 2017.
  21. 전진성, 박물관의 탄생, 살림출판사, p.49, 2004.
  22. 권미원, 장소특정적 미술, 현실문화, p.39, 2013.
  23. 송주원, 풍정.각 아카이브 2018 자료집, 안무가 자체제작, p.258, 2018.
  24. 에리카-리히테 피셔, 수행성의 미학, 문학과지성사, p.172, 2017.
  25. 전윤겅, "동시대 공연에 나타나는 '관객 참여'방식 연구 - 런던 펀치드렁크(Punchdrunk)극단의 를 중심으로," 공연문화연구, 제32권, pp.688-693, 2016.
  26. 이경미, "현대연극에 나타난 포스트아방가르드적 전환 및 관객의 미적 경험," 한국연극학, 제37권, pp.205-244, 2009.
  27. 나일화, "무용예술에 나타난 신체의 재현과 미학적 인식-굿맨(N. Goodman)과 들뢰즈(G. Deleuze)의 '기호' 개념을 중심으로," 무용예술학연구, 제63권, pp.1-17,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