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olicy Development for Activation of Industrial Security Professional Qualifications

산업보안 전문자격 활성화를 위한 정책개발 연구

  • 김화영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 ;
  • 장항배 (중앙대학교 산업보안학과)
  • Received : 2019.06.04
  • Accepted : 2019.12.27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e importance of Industrial Security is continuously growing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nvergence technologies. Accordingly, it is expected for the gap between the supply and demand of industrial security professional personnel to grow every year. In order to reduce the supply and demand of industrial security, it is important to not only train professional qualifications but at the same time, secure a professional qualification acquisitor. In this regard, South Korea has introduced the Industrial Security Expert qualification as a non-governmental qualifications ince 2010. From 2017, promoted as nation-certified qualification and has supported activities as expert in industrials ecurity field. However, it is reality that Industrial Security Expert qualification has not yet to be recognized as professional qualification in the field of industry, have low rate of utilization as academic research is also shown the sign of stagnation. Based on these background, this research set goal in deducing a activation method for industrial security professional qualification concentrating on Industrial Security Expert qualification. The analysis on operation condition of Industrial Security Expert qualification and related precedent research was conducted and raised four types of activation method, which are organizational aspect, certification system improvement and operation aspect, certification acquisitors' utilization aspect and professionalism enhancement aspect.

산업보안은 융·복합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보안 전문인력의 수급 차이도 매년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산업보안 전문인력 수급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뿐만 아니라 전문자격 취득자도 동시에 확보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는 2010년부터 민간자격으로 산업보안관리사를 도입하였고, 2017년부터는 국가공인자격으로 승격시켜 산업보안 현장에서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산업보안관리사 자격은 아직 산업현장에서 전문자격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활용도 측면에서도 낮은 것으로 나타나며 학문적 연구도 정체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하에 산업보안 전문자격 중 산업보안관리사 자격을 중심으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세부적으로 산업보안관리사 자격의 운영실태와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조직적 측면, 자격증 제도개선 및 운영측면, 자격증 취득자 활용측면, 전문성 제고측면 등 4가지 분야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고용정보원, "4차 산업혁명 미래 일자리 전망," 2017.
  2. 산업보안연구학회, "산업보안 전문인력 실태조사," 2015.
  3. 이창무, "산업보안의 개념적 정의에 관한 고찰,"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제 2권, 제 1호, pp. 73-90, 2011.
  4.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 "산업기술보호전문인력 양성 및 육성정책연구," 2016.
  5. 전민서, 장항배, "ICT기반 보안개념 정의와 범위에 관한 설계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 21권, 제 3호, pp. 49-61, 2019. https://doi.org/10.14329/isr.2019.21.3.049
  6.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 2017.
  7. 통계청, "한국표준직업분류," 2018.
  8.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 "산업보안관리사 산업계 수요 및 활용도 분석," 2016.
  9. 강주영, 이환수, "산업보안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융복합적 교육 방안," 한국산업보안연구, 제 5권, 제 2호, pp. 85-116, 2015.
  10. 김자원, 전민서, 박상호, "산업보안 현장 전문 인력을 고려한 요구 역량 분석연구," 산업보안연구학회논문지, 제 6권, 제 2호, pp. 7-27, 2016.
  11. 조용순, "산업보안관리사 자격제도 발전 방안에 대한 고찰,"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 40권, 제 40호, pp. 175-207, 2014.
  12. 최선태, "산업보안 전문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제 12권, 제 4호, pp. 221-255,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