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Trump Administration's Alliance Policy

트럼프 행정부의 동맹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 최원상 (충남대학교 군사학과) ;
  • 신진 (충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Received : 2019.08.01
  • Accepted : 2019.09.21
  • Published : 2019.10.31

Abstract

For the past 66 years, the Korea-U.S. alliance has been a typical asymmetric alliance in which the U.S. supports South Korea's security during the Cold War and South Korea gives some of its policy autonomy to the U.S. But Lee Myung-bak government military alliance the 'comprehensive strategic alliance' of the character, 'value of alliance', Park Geun-hye ' a global, 'Frontier of cooperation', the government.'reciprocal, comprehensive alliance' Moon Jae-in, the government and partnerships developed with ' euroui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ecurity strategy sai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build a reciprocal and comprehensive Korea-U.S. allian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U.S. alliance policy in order to ensure South Korea's policy autonomy following changes in the Trump administration's alliance polic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e need for Korea to participate in the U.S.-led 'India-Pacific Strategy' continue diplomatic efforts for the mutual economic benefits of the two countries and strengthen public diplomacy in order to build the Korea-U.S. alliance in a reciprocal and comprehensive manner.

지난 66년간 한미동맹은 냉전시기에 미국이 한국에게 안보를 지원하고 한국은 미국에게 정책의 자율성을 일부 양보하는 전형적인 비대칭 동맹이었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는 군사적 성격의 한미동맹을 '포괄적 전략 동맹', '가치동맹'으로, 박근혜 정부는 '협력의 프론티어',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발전시켰으며, 문재인 정부는 '호혜적·포괄적 동맹'으로의 발전을 국가안보전략에서 밝혔다. 본 연구는 트럼프 행정부의 동맹정책 변화에 따른 한국의 정책적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한미 동맹정책 발전을 위한 호혜적·포괄적 한미동맹관계 구축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에 따른 분석결과는 한미동맹의 호혜적·포괄적 구축을 위해 한국은 미국이 추진하는 '인도-태평양 전략' 참여와 양국의 상호 경제적 이익을 위한 지속적인 외교적 노력 그리고 공공외교 강화의 필요성을 보여 준다.

Keywords

References

  1. 최병욱.임유신, "한미동맹의 영향요인과 발전방향", 신아세아, 제25권, 제1호, p. 93, 2018(봄).
  2. 국가안보실, '문재인 정부의 국가안보전략' 국가안보실, 2018.
  3. Morgenthau, J. Hans, Politics among Nations: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Alfred A. Knoff, 1973.
  4. Snyder, H. Glenn, "Alliance Theory: A Neorealist First Cut",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Vol. 44, p. 104, 1990.
  5. Walt, M. Stephen, The Origins of Alliances, Cornell University Press, p. 12, 1987.
  6. 백성호, "비대칭 안보동맹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세계지역연구논총, 제20집, p. 196, 2003.
  7. Morrow, D. James, "Alliances and Asymmetry: An Alternative to the Capability Aggregation Model of Alliance",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 35, No. 4, pp. 906-907, 1991.
  8. 미카엘 한델 지음, 김진호 옮김, '약소국생존론', 대왕사, 1995.
  9. 이우태, "한미동맹의 비대칭성과 동맹의 발전방향", 정치정보연구, 제19권, 제1호, pp. 52-53, 2016.
  10. 한용섭, '동맹 속에서의 자주국방: 이론과 실제의 딜레마', 한용섭(편), '자주냐 동맹이냐: 21세기 한국 안보외교의 진로', 오름, 2004.
  11. Snyder, H. Glenn,"The Security Dilemma in Alliance Politics", World Politics, Vol. 36, p. 472, 1984.
  12. 이수형, "한미 연합방위체제의 구조조정방안 모색", 국제정치논총, 제40집, 제3호, p. 383, 2000.
  13. 장노순, "교환동맹모델의 교환성: 비대칭 한미안보동맹", 국제정치논총, 제36집, 제1호, pp. 79-104, 1996.
  14. 이상철, '안보와 자주성의 딜레마', 연경문화사, 2004.
  15. 강봉구, '차가워진 피: 21세기 한미동맹정치 시론', 이수훈(편), '조정기의 한미동맹: 2003-2008',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9.
  16. 박민형, "한미동맹의 비대칭성 형성 요인과 극복 전략", 국방정책연구, 제26권, 제3호, p. 126, 2010(가을).
  17. 김열수.김경규, "트럼프 시대의 한미 군사쟁점과 대응방향", 신아세아, 제24권, 제1호, pp. 31-34, 2017.
  18. 박진수, "이익인가, 신뢰인가?: 한미동맹의 안정적 유지를 위한 이론적 검토와 정책적 함의", 동서연구, 제29권, 제4호, pp. 169-175, 2017.
  19. 이명철, "한.미 동맹의 발전적 조정을 위한 제언", 주간국방논단, 제1689호, p. 2, 2017.
  20. 김성한,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한미관계의 방향", 신아세아, 제24권, 제1호, p. 12, 2017.
  21.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90630046351001?input=1195m.
  22.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90620056500009?section=search.
  23.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1VKK14USHK.
  24. 국회뉴스ON, http://www.naon.go.kr/content/html/2019/04/05/2ce43dd9-935--434b-9321-ae72888288ab.html.
  25.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12172158005&code=970201.
  26. 김준형, "한미동맹에서 한미관계로", 창작과 비평, 제46권, 제1집, p. 64, 2018.
  27.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90604093600073?input=1195m.
  28. 국방일보, http://kookbang.dema.mil.kr/newsWeb/20190620/1/BBSMSTR_000000100002/view.doopengnb.
  29. 설인효, "트럼프 행정부 인도-태평양 전략의 전개 방향과시사점", 국방논단, 제1740호, p. 2 2019.
  30. 안문석, "문재인 정부와 한미동맹-동맹의 지속성에 대한 고찰", 한국동북아논총, 제23권, 제4호, p. 76, 2018.
  31.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90308147300009?section=search.
  32.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90227047900009?section=search.
  33. 국민일보,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082584&code=11141400&cp=du.
  34. 문화일보,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9052401073911000003.
  35. 신진, "한국정부의대중국외교에대한전망이론적분석",대한정치학회보,제26집,제2호, p.149, 2018.
  36.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489493.
  37. 한국일보, h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05040030367034?did=DA&dtype=&dtypecode=&prn ewsid=.
  38. 이데일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28326622523360&mediaCodeNo=257&OutLnkChk=Y.
  39.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510686#none.
  40. 한의석, "21세기 일본의 국가안보전략", 국제정치논총, 제57권, 제3호, p. 496, 2017.
  41. 박영준, "일본 아베 정부의 미일동맹 정책과 지구본외교:국제협조주의와전략적자율성의사이", 국방연구, 제61권, 제3호, pp. 185-187, 2018.
  42. 이인호. "아베정부의 우경화와 미일동맹 강화가 한반도 안보정세에 미치는 영향", 동아연구, 제34권, 제2호, p. 92, 2015.
  43. 동아일보,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0613/95969485/1.
  44. 중앙일보,https://news.joins.com/article/23506277.
  45. 임경한' "일대일로와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한 인도와 호주의 대응", 동아연구, 제30권, 제4호, p. 22, 2018.
  46. 이표규, "과거와 현 문재인 정부의 대북 군비통제 접근방법 비교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제19권, 제2호, p. 153, 2019.
  47. 한승조, 신진, "리비아 모델을 통한 북한의 핵정책 평가와 전망", 융합보안논문지, 제18권, 제3호, pp. 120-121, 2018.
  48. 이강경, "韓.베트남 군사협력 추진전략: 방산분야를 중심으로", 융합보안논문지, 제18권, 제3호, p. 108,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