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Work Adjustment of Newly-Appointed Childcare Teachers

초임 보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업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 인식의 매개효과

  • 최연화 (아이더함연구소) ;
  • 김양은 (우송대학교 글로벌아동교육학과)
  • Received : 2019.06.14
  • Accepted : 2019.08.02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otivation for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of newly-appointed childcare teachers would predict work adjustment, and to understand the mediating role of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Method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 regression, and the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of active motivation and material motivation when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work adjustment. Second, active motivation and material motivation in relation to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were the variables that could predict the work adjustment of newly-appointed teachers. Third,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newly-appointed teachers had partial-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motivation in relation to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work adjustment, as well as on the complete-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motivation and work adjustment. Implications: The training institute should strengthen education that could foster active motivation of pre-service teachers, and daycare centers should establish a cooperative workplace culture for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newly-appointed teachers.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국어원 (2013).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에서 2019년 5월 10일 인출.
  2. 김경애, 임부연 (2016). 고경력 유아교사의 삶 : 교사실존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3(1), 267-296. doi:10.24211/tjkte.2016.33.1.267
  3. 김양은 (2017). 고경력 보육교사의 교직생활 어려움과 이탈위기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8), 375-403. doi:10.22251/jlcci.2017.17.18.375
  4. 김용미 (2003). 유아교사들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4, 111-127.
  5. 김유정, 박수경, 임정진, 안선희 (2011). 보육교사-원장 간의 관계의 질과 근무기관 내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8, 189-213.
  6. 김은화 (2004).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정미 (2015). 영유아 교사 효능감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35(4), 55-72. doi:10.18023/kjece.2015.35.4.003
  8. 김정희, 문혁준 (2007). 유아교육기관 운영자의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교사 개인특성과 조직특성의 중재효과. 유아교육연구, 27(6), 143-164. doi:10.18023/kjece.2007.27.6.007
  9. 김주경 (2003).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교직 만족도의 관계. 세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주영 (2010).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선택동기 및 교직관과 소진경험과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남궁미경 (2011). 유아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가 교직 몰입 및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명준희 (200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 전문성 인식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소연 (2011). 조직사회화 관점에서의 한국 대기업 연수원 신입사원 그룹입문교육 내용분석. 기업교육과인재연구, 13(1), 133-152.
  14. 보건복지가족부.한국여성정책연구원(2009). 2009년 전국 보육실태조사-보육시설조사 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15. 보건복지부 (2012). 전국보육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16. 보건복지부 (2019). 2018 보육통계. 세종: 보건복지부.
  17. 서미정, 이경님 (2017). 영아교사의 정서지능, 교직선택동기, 셀프리더십 및 보육헌신간의 관계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2(4), 145-166. doi:10.20437/KOAECE22-4-07
  18. 신동주, 김승옥 (2016).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유형과 사회적지지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11(1), 119-141. doi:10.16978/ecec.2016.11.1.006
  19. 신성아 (2006).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소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안나래, 김희수, 안선희 (201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교직선택동기의 조절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5), 87-102. https://doi.org/10.7466/JKHMA.2015.33.5.87
  21. 안효진, 안선희, 문혁준 (2007). 어린이집 교사의 귀인 성향, 사회적 지지와 소진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8(5), 221-232.
  22. 양병화 (2002).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23. 예지은, 진현, 서의정, 김명진, 류지성 (2013). 직장인의 행복에 관한 연구.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4. 오현미 (2009). 초임보육교사 지원에 대한 인식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유미나, 신나리 (2013). 보육교사의 소진과 관련된 직무만족도와 직장 내 사회적지지. 생애학회지, 3(2), 73-85.
  26. 유소정 (2017).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직선택동기, 동료교사와의 관계가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유순이 (2003). 유아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직능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수정 (2008). 보육교사의 직업선택동기, 전문성 인식 및 역할수행에 대한 연구.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재영 (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회복탄력성,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이정희, 조성연 (2011).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시설장, 동료교사와 가족의 사회적지지. 아동학회지, 32(1), 157-172. https://doi.org/10.5723/KJCS.2011.32.1.157
  31. 임수진, 여은진, 이혜원 (2013).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조직몰입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3(3). 301-318. doi:10.18023/kjece.2013.33.3.013
  32. 임원신, 김소희 (2017). 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2), 559-567. doi:10.5762/KAIS.2017.18.2.559
  33. 임진형 (1999).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장유수 (2010). 초등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직무만족도간의 상관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조성연, 최미숙 (2009). 법인보육시설과 민간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의사결정 참여도와 조직몰입차이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56, 169-186.
  36. 주홍석 (2014). 대기업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응과 입사 전의 지식,입사 후에 대한 기대, 선도적 행위, 조직사회화 전략 및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최미숙 (2005). 유아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전문성 인식에 따른 교사행동 분석. 유아교육연구, 25(1), 195-215.
  38. 최주연 (2006). 초등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와 교직 헌신도의 관계.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한국경영자총협회 (2016). 2016년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 결과. 서울: 경제조사부 경제조사 2팀.
  40. 홍화연 (2015). 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Ashforth, B. E., Sluss, D. M., & Saks, A. M. (2007). Socialization tactics, proactive behavior, and newcomer learning: Integrating socialization model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0(3), 447-462. doi:10.1016/j.jvb.2007.02.001
  4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43. Baruch-Feldman, C., Brondolo, E., Ben-Dayan, D., & Schwartz, J. (2002). 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7(1), 84-93. doi:10.1037/1076-8998.7.1.84
  44. Bauer, T. N., Morrison, E. W., & Callister, R. R. (1998).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G. R. Ferris (Ed.),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Vol. 16, pp. 149-214). Stamford, CT: JAI Press.
  45. Brotheridge, C. M., & Lee, R. T. (2002). Testing a 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 of the dynamics of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7(1), 57-67. doi:10.1037/1076-8998.7.1.57
  46. Chang, M. L. (2009). An appraisal perspective of teacher burnout: Examining the emotional work of teacher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1(3), 193-218. doi:10.1007/s10648-009-9106-y
  47. Cohen, S., & Hoberman, H. M.(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doi:10.1111/j.1559-1816.1983.tb02325.x
  48.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doi:10.1037/0033-2909.98.2.310
  49. Corcoran, E. (1981). Transition shock: The beginning teacher's paradox.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2(3), 19-23. doi:10.1177/002248718103200304
  50. Deleuze, G., & Guattari, F. (2001). Mille plateaux: capitalisme et schizophrenie 2, 천개의 고원(김재인 옮김). 서울: 새물결(원판 1979).
  51. Hong, J. Y. (2010). Pre-service and beginning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its relation to dropping out of profess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6(8), 1530-1543. doi:10.1016/j.tate.2010.06.003
  52. Huberman, M. (1993). The lives of teacher.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53. Steve, M. J., & Thomas, W. B. (2008). Organizational psychology: a scientist-practitioner approach (2nd ed.). Hoboken, NJ: John Wiley & Sons.
  54. Kammeyer-Mueller, J. D. (2002). The well-adjusted organizational newcomer: The roles of pre-entry knowledge, proactive personality, and socializ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USA.
  55. Karasek, R., Brisson, C., Kawakami, N., Houtman, I., Bongers, P., & Amick, B. (1998). The Job Content Questionnaire (JCQ): An instrument for internationally comparative assessments of psychosocial job characteristic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3(4), 322-355. doi:10.1037//1076-8998.3.4.322
  56. Katz, L. G. (1972). Developmental stage of preschool teacher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73(1), 50-54. doi:10.1086/460731
  57. Kessler, R. C., Price, R. H., & Wortman, C. B. (1985). Social factors in psychopathology: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processe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6(1), 531-572. doi:10.1146/annurev.ps.36.020185.002531
  58. Latham, G. P., & Pinder, C. C. (2005). Work motivation theory and research at the dawn of the twenty-first centur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6(1), 485-516. doi:10.1146/annurev.psych.55.090902.142105
  59. Liem, G. R., & Liem J. H. (1979). Social support and stress: some general issues and their application to the problem of unemployment. In L. A. Ferman & J. P. Gordus (Eds), Mental Health and the Economy (pp. 347-378). Kalamazoo, MI: Upjohn.
  60. Morrison, E. W. (2002). Newcomers' relationships: The role of social network ties during social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5(6), 1149-1160. doi:10.5465/3069430
  61. OECD. (2005). Teachers matter: Attracting, developing and retaining effective teachers. Paris: OECD.
  62. Ostroff, C., & Kozlowski, S. W. J. (1992).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s a learning process: The role of information acquisition. Personnel Psychology, 45(4), 849-874. doi:10.1111/j.1744-6570.1992.tb00971.x
  63. Pierce, J. L., Rubenfeld, S. A., & Morgan, S. (1991). Employee ownership: A conceptual model of process and effect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6(1), 121-144. doi:10.5465/amr.1991.4279000
  64. Ross, R. R., Altmaier, E. M., & Russell, D. W. (1989).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counseling center staff.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4), 464-470. doi:10.1037/0022-0167.36.4.464
  65.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S. Leinhar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pp. 290-312). San Francisco, CA: Jossey-Bass.
  66. Spreitzer, G., Sutcliffe, K., Dutton, J., Sonenshein, S., & Grant, A. M. (2005). A socially embedded model of thriving at work. Organization Science, 16(5), 537-549. doi:10.1287/orsc.1050.0153
  67. Van Maanen, J., & Schein, E. H. (1979).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B. M. Staw (Ed.),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 1, pp. 209-264). Greenwich, CT: JAI Press.
  68. Veenman, S. (1984). Perceived Problems of Beginning Teacher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4(2), 143-178. doi:10.3102/00346543054002143
  69. Woolfork, A. (2007). Educational psychology, 교육심리학(김아영, 백화정, 정명숙 옮김). 서울: 박학사(원판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