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근무기관의 조직건강성이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Health on the Creative Personality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lay Teaching Efficacy

  • 임한나 (전북대학교 아동학과) ;
  • 최인숙 (원광대학교 가정아동복지학과) ;
  • 김헤라 (대덕대학교 유아교육과) ;
  • 채진영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투고 : 2019.01.22
  • 심사 : 2019.08.07
  • 발행 : 2019.08.31

초록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lay teach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teacher workplaces and the creative personality of the teachers. Methods: The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25.0. For mediating analysis, Baron & Kenny's (1986)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and the Sobel test were also implemented.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the workplaces according to age, years of working experience, type of workplace, and daily working hours. For play teaching efficac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years of working experience, type of workplace, and daily working hours of the teacher. On the other h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age and education level in relation to the teacher having a creative personality. Play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the workplace and the creative personality of the teacher. Conclusion/Implications: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the workplace and play teaching efficacy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enhance the creative personality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은희 (2003). 교사의 창의적 인성 특성과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 수행.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곽미라 (2018).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보육헌신과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교육부 (2013. 02).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12&boardSeq=49148&lev=0&searchType=null&statusYN=C&page=9&s= moe&m=0301&opType=N에서 2018년 5월 28일 인출
  4. 구은미, 박성혜 (2013). 보육교사의 건강과 기관의 조직건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4), 34-53.
  5. 국립국어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에서 인출.
  6. 권혜영 (2006). 유치원의 조직풍토,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경이 (2001). 초등학교의 조직건강과 교원의 사기와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계영 (1998). 교사의 창의성 수준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미영 (2018). 영아교사의 민감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영아 - 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송이 (2015). 보육교사의 경력 및 소진과 놀이교수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481-499. doi:10.14698/jkcce.2015.11.481
  11. 김수현 (2018). 조직문화와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의 관계: 소진과 보육효능감의 매개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아영, 김민정 (2002). 초등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6(3), 5-29.
  13. 김영실, 김연화, 한세영 ( 2009). 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효능감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3). 557-570. https://doi.org/10.5934/KJHE.2009.18.3.557
  14. 김정희, 김동춘 (2010). 영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조직커뮤니케이션 능력,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1(3), 149-173.
  15. 김종연, 이건희 (2015). 근무시간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성과급제 형태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경영연구, 30(4), 471-492. https://doi.org/10.22903/JBR.2015.30.4.471
  16. 김혜경 (2012). 보육교사 적성검사 도구 개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김혜숙 (1999). 창의성 진단 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13(4), 269-303.
  18. 김혜진, 김혜영, 홍창남 (2015). 교사 협력이 교사 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혁신 학교와 일반 학교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2(2), 123-148. doi:10.24211/tjkte.2015.32.2.123
  19. 김희정, 서현아 (2016).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수행의 관계에서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6(1), 253-272. doi:10.18023/kjece.2016.36.1.011
  20. 김희태, 백영숙 (2009).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 유아교육학논집, 13(3), 51-67.
  21. 문유석 (2011). 소방공무원의 조직신뢰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1(1), 101-123.
  22. 박병기, 유경순 (2000). 창의성과 지능의 관계구조. 교육심리연구, 14(2), 235-261.
  23. 박정희 (2017). 노인의료복지시설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 관계: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전략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예명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박지영, 조은미 (2016).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역량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열린부모교육연구, 8(2), 137-148.
  25. 배난희 (2014). 교사 효능감이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성은현 (2005). 자아존중감,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217-228.
  27. 신은경 (2003). 보육교사의 역할수행능력 인식과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신은수, 유영의, 박현경 (2004). 유아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수 효능감과 놀이 운영 실제 신념에 관한 도구 개발연구. 유아교육연구, 24(1), 46-69.
  29. 엄영희 (2017). 보육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의 조직풍토가 교수효능감 및 교수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오숙희, 문승태, 강희순 (2011). 병원 간호조직의 내부마케팅,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관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1), 65-73. https://doi.org/10.5807/kjohn.2011.20.1.065
  31. 육아정책연구소 (2017. 08). 유아교육.보육주요통계. http://www.kicce.re.kr/kor/publication/04_05.jsp?mode=view&idx=23300&startPage=0&listNo=0&code=&search_item=&search_order=통계&order_list=10&listScale=5&view_level=0에서 2018년 5월 28일 인출
  32. 윤경미 (2015). 보육교사의 정서성, 건강상태 및 조직 건강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윤미정 (2018).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음악교수내용지식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윤원정 (2008). 생활체육조직 구성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조직 건강성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윤종건 (1989). 학교조직건강 진단검사의 표준화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논문집, 22(1), 581-596.
  36. 이경돈, 권은주 (2016). 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관계에서 인성적 언어통제의 매개효과.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2), 311-332.
  37. 이나미 (2018).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의 소명의식과 유치원의 조직풍토의 매개효과.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이덕수 (2018). 만2세반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사 전문성 발달 수준이 교사-영아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동아 (2006). 기관유형과 어린이집교사의 특성에 따른 직무 만족도 비교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은아 (2017).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혜란, 김아영, 차정은 (2011). 학교조직풍토와 교수몰입 간의 관계에서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25(3), 671-691.
  42. 장순옥, 이선규 (2009). 전전두엽 EEG-뉴로피드백 훈련과 유아의 뇌기능 및 지능발달에 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0(6), 1317-1328. https://doi.org/10.5762/kais.2009.10.6.1317
  43. 장유자 (2009).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 및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변형영유아교육연구, 3(1), 103-131.
  44. 정민정, 이신영, 신지연 (2016).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요인, 건강인식,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6(11), 23-36. doi:10.14257/AJMAHS.2016.11.10
  45. 정언애 (2002). 유치원의 조직풍토 교사 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간의 상호 관계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조기홍 (2002). 유치원의 조직건강과 교사의 조직 헌신도와의 관계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조성연 (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 교육과학연구, 36(1), 81-104.
  48. 조옥심 (2016). 병원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근무환경과 팀워크, 자율성간의 관계.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조은명 (2010).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및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 수행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조정화 (2010). 부모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주윤하 (2013).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 창의적 인성과 전문성 인식간의 관계.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지은경 (2018).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성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최상문 (2007). 유아 교사의 심리적 변인 및 의사결정양식과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최순영 (2017).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멀티플라이어십과 협동적 조직문화가 영아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최옥희, 김용미, 김영호 (2009). 생태학적 변인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 적응,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22(4), 133-160.
  56. 최은미 (2016). 민간과 국공립어린이집 운영 실태와 교사 및 학부모의 선호도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Baer, J., & Kaufman, J. C. (2008). Gender differences in creativity.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42(2), 75-105. doi:10.1007/s11682-015-9410-8
  58.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6.1173
  59. Debono, E.(1990). Serious creativity: Using the power of lateral thinking to create new ideas. New York: Harper Collins Publishers.
  60. Ginsburg, H. P., & Opper, S. (1988). Piaget's theory of intellectual developmant (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Inc.
  61. Miles, R. H. (1980). Macro organizational behavior. Santa Monica, CA: Goodyear Publishing.
  62. Moore, W. P., & Esselman, M. E. (1994). Exploring the context of teacher efficacy: The role of achievement and climat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Orleans.
  63.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1982), 290-312. doi:10.2307/270723
  64. Shingala, M. C., & Rajyaguru, A. (2015). Comparison of post hoc tests for unequal vari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New Technologi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2(5), 22-33.
  65. Torrance, E. P. (1972). Can we teach children to think creatively?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6(2), 114-143. doi:10.1002/j.2162-6057.1972.tb0092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