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on Achievement and Interest in Mathematics in High and Low Achieving Students

수학 성취와 흥미에 영향을 주는 변인의 성취 집단별 차이

  • Choi, Ji Su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 Sang, Kyongah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Received : 2019.05.10
  • Accepted : 2019.06.18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on achievement and interest in mathematics in high and low achieving students in Korea. Students participated in TIMSS 2015 in Korea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achievement in mathematics. And the effects of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on achievement and interest in mathematics were analyzed in each group using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ariables which influence achievement also influence interest but any variables which influence interest don't influence achievement in upper-group students. Number of Books and Students' Perceived Mathematics Lessons have strong influence on achievement and interest in both fourth and eighth grade students. Second, variables which influence achievement or interest in mathematics in lower-group also influence achievement or interest in mathematics in upper-group students. But any variables which influence achievement or interest in upper-group students don't influence achievement or interest in lower-group students. For examples, Parents' Education, Students' Perceived Mathematics Lessons have effects on upper-group students' achievement. Number of Books, Home Learning Environment, and Numeracy Activities Before Schoo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achievement of fourth grade students. Students' Perceived Mathematics Lessons is the variable that influence on the interest of both fourth grade and eighth grade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e ways to improve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성취 수준에 따라 수학 성취와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TIMSS 2015에 참여한 4학년, 8학년 학생들을 각각 성취도 상위 집단(우수수준 이상)과 하위 집단(보통수준 이하)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별로 교육맥락변인이 수학 성취와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선형모형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도 상위 집단의 경우에 수학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흥미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그 중 도서 보유량과 학생의 수학 수업 인식은 수학 성취도와 수학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변인이었다. 둘째, 성취도 하위 집단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취도 상위 집단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4학년의 경우에 도서 보유량, 가정 학습 환경, 취학 전 수리 활동이 하위 집단과 상위 집단의 성취도에 모두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4학년에서 부모 학력, 학생의 수학 수업 인식 등은 상위 집단 학생들의 성취도에만 영향을 주었고 하위 집단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학에 대한 흥미의 경우에도 4학년과 8학년에서 하위 집단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학생의 수학 수업 인식은 상위 집단 학생들의 흥미에도 영향을 미쳤으나 도서보유량은 상위 집단 학생들의 흥미에만 영향을 미쳤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제 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2015-2019).
  2. 김경희, 김수진, 김미영, 김선희(2009). PISA와 TIMSS 상위국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및 성취 특성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9-7-2.
  3. 김경희, 김수진, 박효희(2010). TIMSS 성취모형에 근거한 대한민국, 싱가포르, 홍콩, 일본의 학업성취와 교육맥락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비교. 교육과정평가연구, 13(2), 219-238.
  4. 김경희, 임은영, 신진아(2013).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초․중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종단 분석과 예측. 교육평가연구, 26(5), 981-1014.
  5. 김소영(2013). TIMSS 2007 데이터를 활용한 우리나라 중학교의 맥락효과 탐색: 영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맥락효과와 비교. 아시아교육연구, 14(2), 51-74.
  6. 김수진, 김경희, 박지현(2014). 중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 변화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8(3), 683-701. https://doi.org/10.24231/RICI.2014.18.3.683
  7. 박선화, 상경아(2011).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특성 및 영향 요인. 학교수학, 13(4), 697-716.
  8. 박정(2008). 교육 맥락적 변인의 능력집단별 학업성취에의 영향력 분석. 교육평가연구, 21(3), 23-41.
  9. 상경아, 곽영순, 박지현, 박상욱(2016). 수학.수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15 결과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6-15-1.
  10.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 손수경(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 PISA 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6-1.
  11. 유양석(2014). 사회문화적 요인들이 수학학습태도와 수학성취도의 성별차이에 미치는 영향: TIMSS 2011를 중심으로. 수학교육, 53(4), 463-478.
  12. 이민찬, 길양숙(1998). 수학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특성의 학년별 변화 및 성별 성취 집단별 차이. 수학교육, 37(2), 147-158.
  13. 이종희, 김수진(2010). PISA 2003 결과에서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학교수학, 12(2), 219-237.
  14. 이현숙, 김성숙, 송미영, 김준엽, 양성관(2011). 학교 특성, 과정 변인, 학업 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평가연구, 24(2), 317-344.
  15. 이현숙, 송미영(2015). PISA 2012 수학 성취도를 설명하는 학생의 정의적 특성 및 교사 특성 분석을 위한 다층 구조방정식모형의 적용. 교과교육학연구, 19(1), 137-158. https://doi.org/10.24231/RICI.2015.19.1.137
  16. 이희정, 박천건, 허난(2012). 학생의 배경 요인이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TIMSS 2007 자료를 활용한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585-603.
  17. 임선아, 이지수(2016). 수학성취도의 예측변인으로서의 정의 요인 검증: OECD 수학성취도 상위 10개국 비 교 연구. 교육평가연구, 29(2), 357-382.
  18. 임해미(2016).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기대가 수학 학습 동기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학연구, 26(4), 701-714.
  19. 정제영, 이희숙, 김수지(2014).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위계적 분석 - TIMSS 2011의 교사와 학생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53-75. https://doi.org/10.24211/TJKTE.2014.31.2.53
  20. 주영주, 이종희, 김선희(2011). 수학교과에서 남․녀 집단 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흥미, 외적동기 및 학업 성취도의 영향력 차이검증. 교과교육학연구, 15(4), 1021-1043. https://doi.org/10.24231/RICI.2011.15.4.1021
  21. 최승현, 박상욱, 황혜정(2014).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 분석-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1), 23-43.
  22. 최지선, 상경아, 곽영순, 박상욱(2016). 수학.과학 성취와 흥미에 영향을 주는 교육맥락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슈페이퍼 ORM 2017-66-22.
  23. 황지현, 고은성(2018). 학생들의 태도 특성 분석을 통한 학생 집단 구분에 대한 연구: TIMSS 2015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1(3), 207-225. https://doi.org/10.30807/ksms.2018.21.3.001
  24. Dewey, J. (2010). 흥미와 노력. (조용기 역). 서울: 교우사(영어 원작은 1913년 출판).
  25. IEA(2013). TIMSS 2015 Assessment Frameworks.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Lynch School of Education, Boston College. Retrieved June, 15, 2018 from https://timssandpirls.bc.edu/timss2015/frameworks.html
  26. IEA(2016a). About TIMSS 2015. Retrieved June, 15, 2018 from http://timss2015.org/download-center
  27. IEA(2016b). TIMSS 2015 user guide for the international database supplement 1: International version of the TIMSS 2015 context questionnaire. Retrieved June, 15, 2018 from http://timssandpirls.bc.edu/timss2015/
  28. Mullis, I.V.S., Martin, M.O., Foy, P., & Hooper, M. (2016). TIMSS 2015 International Results in Mathematics. Retrieved June, 15, 2018 from http://timssandpirls.bc.edu/timss2015/international-results/
  29. Renninger, A. K., & Hidi, S. (2011). Revisiting the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Generation of Interest. Educational Psychologist, 46(3), 168-184. https://doi.org/10.1080/00461520.2011.587723

Cited by

  1. 교육적 흥미 이론이 수학교육에 주는 의미 고찰 vol.23, pp.1, 2019, https://doi.org/10.30807/ksms.2020.23.1.001
  2. 초등교사의 수학수업의 질, 수학 교수효능감, 학생의 수학흥미가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다층구조방정식의 적용 vol.23, pp.4, 2019, https://doi.org/10.7468/jksmec.2020.23.4.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