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posal and Application of Music Sampling Production Methodology : Focused on Korean Pop Music

음악 샘플링의 제작 방법론 제시 및 적용 : 한국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 Ryu, Jae-Hack (Department of Music Technology, Sangmyung University) ;
  • Park, Jae-Rock (Department of Music Technology, Sangmyung University)
  • 류재학 (상명대학교 뮤직테크놀로지학과) ;
  • 박재록 (상명대학교 뮤직테크놀로지학과)
  • Received : 2019.09.23
  • Accepted : 2019.10.28
  • Published : 2019.10.31

Abstract

Music sampling, which has been popular since hip-hop DJs used it in the 1970s, is now one of methods of producing music that is used regardless of genre or country. In this study, an overall production methodology for music sampling was presented through in terms of content and techniques. First of all, in terms of the contents, we classified them into the reuse and length of materials, and the function of samples in the mixed songs. In terms of the techniques, editing and effecting techniques were classified. By combining these elements, the methodology of music sampling applicable to the productions as well as the analysis was presented. Based on this methodology, the sampled songs of Korean Popular musicians - Jang Ki-ha and Faces, Epik High, The Quiet, and DJ DOC - were successfully analysed.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the organic relationship of elements within the methodology was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ology.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laying the groundwork for applying music sampling directly when actually producing songs or analyzing sampled songs.

1970년대 뉴욕의 힙합에서부터 유행했던 음악 샘플링은 현재에 이르러 장르 및 국가와 관계없이 사용되는 음악 제작 방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음악 샘플링의 전반적인 제작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샘플링을 내용과 기법의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음악 샘플링에서의 내용에 있어서는 재사용 재료 및 길이, 완성곡의 샘플 기능으로 분류해보았다. 기법 종류로는 편집 기법 및 변형 기법을 정리한 후 각각의 세부적인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사항들을 모두 종합하여 음악 샘플링의 제작 방법 및 완성된 곡에서의 특징까지 포함한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유명 음악가의 샘플링 곡인 장기하와 얼굴들, 에픽하이, 더 콰이엇, 디제이 디오씨의 곡을 분석해보았다. 분석 과정을 통해 제시 방법론 내 요소들이 유기적인 관계로 이루어져있음을 확인했으며, 분석 결과를 통해 제시 방법론의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제로 곡 제작을 하거나 기존의 샘플링 곡을 분석할 때에 직접 적용해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데에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