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교사들의 직무실태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atus and Job Satisfaction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 Cho, Myoung-Sun (Department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Jae-Kyu (Department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9.11.18
  • 심사 : 2019.12.27
  • 발행 : 2019.12.31

초록

본 연구는 유아 교사들의 직무실태 및 직무만족도를 심층 조사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소재의 유아교육 전문 기관에 근무하는 보조교사를 포함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유아교육 기관은 국공립 어린이집, 사립어린이집, 국공립유치원 및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55명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회수된 설문지를 대상으로 SPS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분석은 t-test, χ2-검증, ANOVA 분석을 수행하였고 사후분석으로 Scheffé 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의 도출을 위하여 직무실태는 교육기관의 유형, 연령, 교육정도, 교육경력 등을 조사하였다. 교육기관의 만족도는 국공립 유치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은 50대 이상에서 교육수준은 대학원 졸업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유아교사들의 직무 만족도가 동료교사와의 관계, 원장과의 관계, 자아정체감 및 교사환경에 대해 유의하게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 교사들의 현재 직무실태와 만족도를 이해함으로서 그들의 직무 수행 능력을 높이고 업무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urvey of the job status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province of) Chungcheongnam-d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was conducted with 255 teachers for teachers working in public day care centers, private day care centers, public kindergartens and private kindergartens. o carry out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by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test, χ2-validation and ANOVA analysis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Scheffé analysis was applied as a post hoc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job status was examined by type, age, educational attainment, and educational experience. The satisfaction level of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highest in the national public day care centers, and the age was 50 years or older, and the education level was high in graduate school. In addition, the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significantly analyzed in relation to fellow teacher, relationship with the director, self-identity and teaching environment. Through this study, understanding the current job status and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an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in preparing a plan to raise their job performance and work efficienc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