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항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비표준화 화물의 컨테이너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ainerization of Non-standardization Cargo for the Competitiveness Improvement of Gwangyang Port

  • 최성희 (순천대학교 미래융합대학)
  • 투고 : 2019.08.27
  • 심사 : 2019.09.23
  • 발행 : 2019.09.30

초록

본 연구는 광양항 컨테이너부두의 경쟁력을 높이고 터미널운영사 간 과도한 경쟁을 해결하기 위한 컨테이너 화물유치 및 신규화물을 창출 할 수 있는 방안으로 비표준화 화물의 컨테이너화 방안과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화 비율이 낮거나 최근 들어 컨테이너화가 진행되고 있는 14개 품목을 일반화물, 산적화물, 액체화물로 구분하여 컨테이너화 방안 및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일반화물의 경우 일반 컨테이너의 개조나 적재방법을 개선하여 이용률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산적화물은 우천에 의한 제품 변질 방지, 소량 주문 및 판매 가능, Clean 화물 취급, 물류비 절감 등 컨테이너화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액체화물은 높은 품질과 안전하고 내구성이 강한 Flexitank나 Flexibag을 활용한 소량 주문 및 판매, 운송의 편리성, 시간과 비용 절감 등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containerization plan for non-standardized cargo; it also reveals the significance of containerization in facilitating freight inducement and cargo creation for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Gwangyang port container terminal and checking excessive competition among terminal operato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 containerization plan and its significance by dividing 14 items, ones with low containerization ratios or undergoing containerization, bulk, and liquid cargoes. In the case of general cargo, it will be necessary to raise the utilization rate by remodeling a general container or improving cargo loading techniques. In the case of bulk cargo, it will be necessary to exploit the benefits of containerization in preventing product deterioration due to rain, facilitating the sale of small orders, ensuring clean cargo handling, and reducing logistics cost, among others. In the case of liquid cargo, it will be necessary to order and sell liquid cargo in small quantities by using superior quality, safe, and durable Flexitank or Flexibag products, which offer transportation convenience and reduce time and cost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15), 안전보건 실무길잡이: 항만하역업, 2015-교육미디어-629, 7.
  2. 권혁구, 허성호, 권태우, 계동임(2019), 2016 국가물류비 조사 및 산정, 한국교통연구원, 수시연구-18-09, 4-107.
  3. 김범중, 김운수, 김근섭(2009), 컨테이너 물동량 통계체계 개선방안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25권 제1호, 41-56. https://doi.org/10.37059/TJOSAL.2009.25.1.41
  4. 김시현(2015), 국제항만 운영에서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 확보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1권 제3호, 61-74.
  5. 김은수(2009), 컨테이너 정기선사의 시장확대 전략, Neo-Bulk 운송시장에 주목해야, 해운과 경영, 제2호, 6-9.
  6. 모수원(2018), 정태적 및 동태적 공간변이할당모형을 이용한 광양항 수출변동의 공간전염 분석: 인천항, 평택항, 부산항, 울산항을 중심으로, 해운물류연구, 제34권 제3호, 397-411.
  7. 박병인(2015), 광양항과 동북아 주요 컨테이너항만간 경협추세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1권 제2호, 85-101.
  8. 삼정KPMG 경제연구원(2019), 해운업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Samjong INSIGHT, Vol. 64, 2-56.
  9. 송계의(2014), 글로벌 항만컨테이너터미널 경쟁력 제고 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0권 제1호, 1-21.
  10. 안우철, 강달원(2017), 동해.묵호항 컨테이너 물동량 활성화 방안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33권 제4호, 805-822. https://doi.org/10.37059/TJOSAL.2018.33.4.805
  11. 이기태, 백인흠(2015), 컨테이너 항만경쟁력 결정요인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7권 제1호, 262-272. https://doi.org/10.13000/JFMSE.2015.27.1.262
  12. 이면수, 최훈도, 임동석, 곽규석(2010), 국내 중소형 항만의 경쟁력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전라도 항만을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4권 제10호, 817-821. https://doi.org/10.5394/KINPR.2010.34.10.817
  13. 이윤찬, 이진규, 여기태(2015), 잠재화주의 항만선택요인 인식분석을 통한 인천 신항의 경쟁력 강화에 관한 연구, 로지스틱스연구, 제23권 제2호, 37-50.
  14. 장영태(2005), 컨테이너 선사의 항만결정요인 분석, 해운물류연구, 제46호, 27-46.
  15. 조성우, 원승환, 이주호(2015), 선박 대형화에 따른 선박제원 예측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31권 제3호, 507-528.
  16. 조지성(2018), 통계로 보는 국제물류, KMI 국제물류위클리, 제466호, 2.
  17. 최성희.장흥훈(2011), Study on Containerization Ratio of Non-standardization Cargo for Korean Ex./Importers, 국제상학, 제26권 제2호, 113-130.
  18. 추봉성(2015), 중심항 관점에서 한중일 컨테이너터미널의 효율성 분석, 해운물류연구, 제31권 제1호, 107-118. https://doi.org/10.37059/TJOSAL.2015.31.1.107
  19. John Vickerman(2008), Emerging North American Trade & Transportation Logistics Trends, 2008 National Oilseed Producers Association Annual Meeting(Arizona).
  20. https://lpi.worldbank.org(World Bank, Logistics Performance Index)
  21. https://new.portmis.go.kr(해양수산부 통합 PORT-MIS, 해운항만통계)
  22. https://www.ygpa.or.kr(여수광양항만공사, 여수광양항 시설현황/광양항 운영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