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rrogate and Shared Medical Decision Making for Unrepresented Patients

의료행위에 대한 동의에서 환자 보호자의 법적 지위와 역할 - 대행결정권과 공동의사결정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9.09.10
  • Accepted : 2019.09.26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In Korea surrogate medical decision makings happen without legal ground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the issues in preparing policies for decision-making on behalf of unrepresented patients. As aspects of comparative law, there are two approaches. One of them is to regulate default surrogate list. If no agent or guardian has been appointed, some legislatures provide that members of patient's family who is reasonably available, in descending order of priority of not, may act as surrogate: (1) the spouse, unless legally separated; (2) an adult child; (3) a parent; or (4) an adult brother or sister. If none of them is eligible to act as surrogate, some legislatures allow close friends to make health-care decisions for adult individuals who lack capacit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other legislatures which provide no surrogate decision maker list but oblige the responsible authority to determine with advice of family members or friends of the patient. In the end the first approach can not guarantee that the surrogate decision maker like family members or friends will determine in the best interest of the patient.

치료행위 등 의료적 침습행위가 이루어지는 경우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보장될 수 있도록 설명에 의한 동의가 요구된다. 그런데 우리 의료 실무에서는 환자의 소위 '보호자'에게 의료행위에 대해 설명하고 동의를 받는 일이 매우 빈번하다. 보호자 개념은 의료법에서 여러 번 등장하지만, 정작 보호자의 자격이나 범위는 명확하게 규정하지 않으며, 병원에서 사용하는 수술동의서 등에서도 어느 범위의 사람을 보호자로 포섭할 것인지는 정의하고 있지 않다. 보호자가 문제된 사건들로부터, 환자의 법률상 배우자나 친족관계에 있는 사람을 의료기관이 보호자로 인정하고 있음은 짐작할 수 있으나, 설령 그렇다 하더라도 환자의 가족이 당연히 그를 위한 법정대리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이 논문에서는, 환자의 소위 보호자가 환자의 의료행위 결정에 관여하는 경우, 환자에게 동의능력이 없는 경우와 있는 경우를 나누어 보호자에게 어떤 법적 지위를 부여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환자 스스로 동의능력이 없어 의료행위에 대해 동의 여부를 결정할 능력이 결여되어 있는 경우, 비교법적으로 다양한 해결책이 제시되고 있지만 크게 환자와 일정한 관계에 있는 사람을 법정 의료행위 대행결정권자로 규정하는 방법과 의료행위 대행결정권자를 규정하지 않고 의사가 의료행위 여부를 결정하되 환자의 가족이나 친구와 상담을 하거나 그에게 설명하는 방법이 있다. 본 글에서는 전자의 해법을 택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논증하고, 후자의 접근에서는 주치의가 단독으로 결정함으로써 우려되는 권한 남용이나 경솔한 결정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주치의 외의 다른 의사나 위원회의 동의를 얻는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환자가 스스로 의료행위에 대해 동의 여부를 결정할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가족에게 환자의 상태를 설명하는 일도 실무에서 자주 일어난다. 환자와 가족 모두에게 설명하고 그로부터 동의를 받는 경우는 환자의 가족이 심리적으로 약해진 환자의 이해능력을 보충해주고 그의 결정을 심리적으로 지지해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되지만, 반대로 가족 본인의 이익을 위해 환자에게 불리한 결정을 하도록 연약한 상태의 환자를 조종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후자의 위험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가족과 환자가 분리된 상태에서 환자의 의료행위에 대한 동의 여부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환자와 환자의 가족 사이의 공동의사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실질적 보장 문제는 법학계에서는 다소 생소한 주제이기는 하나, 우리 사회처럼 의료행위 동의여부 결정에 가족의 관여도가 높은 사회에서는 앞으로도 계속 고민해야 할 주제일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중, "성년후견제도의 도입에 관한 논의에서 의료행위와 관련한 과제", 저스티스 제112호, 2009. 8.
  2. 김성우, 성년후견실무, 2018.
  3. 김천수, "의료행위에 대한 동의능력과 동의권자", 민사법학 제13.14호, 1996. 5.
  4. 김형석, "민법 개정안에 따른 성년후견법제", 가족법연구 제24권 2호, 2010.
  5. 대한내과학회, 내과전공의 의료윤리 사례집, 2015.
  6. 이영준, 민법총칙, 2007.
  7. 이석배, "의료행위와 대리 승낙", 의료법학 제15권 1호, 2014.
  8. 이재경, "한국과 독일에 있어서 환자의 동의능력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민사법학 제50호, 2010.
  9. 제철웅, "영국법에서 의사결정무능력 성인의 보호제도의 역사적 전개와 2005년의 정신능력법의 특징", 비교사법 제17권 4호, 2010. 12.
  10. 제철웅, "요보호성인의 인권존중의 관점에서 본 새로운 성년후견제도: 그 특징,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안", 민사법학 제56호, 2011.
  11. 현소혜, "의료행위 동의권자의 결정- 성년후견제 시행에 대비하여", 홍익법학 제13권 2호, 2012.
  12. Barry D. Weiss, Elena A. Berman, Carol L. Howe, MLS, and Robert B. Fleming, Medical Decision-Making for Older Adults without Famil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 60 (30 October 2012), 2144. https://doi.org/10.1111/j.1532-5415.2012.04212.x
  13. Bundesrat, Botschaft zur Anderung des Schweizerischen Zivilgesetzbuches (Erwachsenenschutz, Personenrecht und Kindesrecht) 2.1.4 (2006. 6. 28).
  14. Burchardt, Monika, Vertretung handlungsunfahiger volljahriger Patienten durch Angehorige (2010).
  15. Bydlinski, Peter, Burgerliches Recht I Allgemeiner Teil (2007).
  16. Chong JA, Quah YL, Yang GM, et al, Patient and family involvement in decision making for management of cancer patients at a centre in Singapore BMJ Supportive & Palliative Care 2015, 5.
  17. Collopy, Bart J., Autonomy in Long Term Care: Some Crucial Distinctions, The Gerontologist Vol. 28 , Suppl., 1988, 10. https://doi.org/10.1093/geront/28.Suppl.10
  18. Diekmann, Andrea, Stellvertretung in Gesundheitsangelegenheiten - Modell eines dreigliedrigen Vertretungssystem (2009).
  19. Gabriela S. Hobbs, Mary Beth Landrum, Neeraj K. Arora, Patricia A. Ganz, Michelle van Ryn, Jane C. Weeks, Jennifer W. Mack, and Nancy L. Keating, The Role of Families in Decisions Regarding Cancer Treatments, Cancer (April 1. 2015), 1079.
  20. Hardwig, John, What about the Family?, The Hastings Center Report Vol. 20, No. 2 (1990), 5. https://doi.org/10.2307/3562603
  21. Kapp, Marshall B., Health Care Decision Making by the Elderly: I Get by with a Little Help from My Family, The Gerontologist Vol. 31, No. 5, 619. https://doi.org/10.1093/geront/31.5.619
  22. Kern, Bernd-Rudiger, Fremdbestimmung bei der Einwilligung in arztliche Eingriffe, NJW 1994, 753.
  23. Mark S. Labrecque, Christina G. Blanchard, John C. Ruckdeschel, Edward B. Blanchard, The Impact of Family Presence on the Physician - Cancer Patient Interaction, Soc Sci Med. Vol. 33, No. 11, 1253. https://doi.org/10.1016/0277-9536(91)90073-L
  24. National Conference of Commissioners on Uniform State Laws, Uniform Health-Care Decisions Act with prefatory note and comments (1994. 12).
  25. Penneau, Jean, Repertoire de droit civil - Medecine : reparation des consequences des risques sanitaires.
  26. Pope, Thaddeus Mason, Unbefriended and Unrepresented: Better Medical Decision Making for Incapacitated Patients Without Healthcare Surrogates, 33 Ga. St. U. L. Rev. 923.
  27. Probst, Martin und Knittel, Bernhard, Gesetzliche Vertretung durch Angehorige - Alternative zur Betreuung?, ZRP 2001, 55.
  28. Redley, Luke and Holland, Mental Capacity Act (England and Wales) 2005: The Emergent Independent Mental Capacity Advocate (IMCA)Service,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2009) 40, 1812. https://doi.org/10.1093/bjsw/bcp135

Cited by

  1. 간호대학생의 한국어판 윤리적 민감성 측정도구 타당도와 신뢰도 vol.31, pp.4, 2019, https://doi.org/10.12799/jkachn.2020.31.4.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