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Local Governments' Autonomous Laws Regulating Social Insurance Premium for Medical Security

의료보장을 위한 지방정부의 사회보험료 지원 자치법규에 관한 고찰

  • 김제선 (백석예술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9.06.11
  • Accepted : 2019.06.26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Since 2006, local governments in Korea have been providing premiums for social insurance, such as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for the health care of local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self-governing legislation that defines these policies. The method of conducting the research was based on the articles of the ordinance related to the 'public health insurance premium' of the self-governing statutes published on the website of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As of May 2019, 201 municipalities have enacted ordinances to support public health insurance premiums. In the case of state local governments, 8 out of 17 were found, and in the case of basic local governments, 193 out of 226. The constitution of the ordinance consisted of purpose, time of enactment, type of social insurance premium, object of social insurance premium, amount of social insurance premium support, method and process of social insurance premium support, time of social insurance premium support. This study analyzed contents of these articles. Finally, this study presented issues that could be controversial from the policy and legal viewpoint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지방자치단체는 의료보장을 위해 2006년부터 국민건강보험제도 등 의료보장과 관련한 사회보험료를 지원하는 정책이 매월마다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에서 노인세대 또는 저소득대가구 등의 국민건강보험료 등 공적 보험료를 지원하는 자치법규가 어떠한 내용으로 법규화되어 있는가의 특성 등에 대해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한 방법으로서 국가법령정보센터의 웹사이트에 공표된 자치법규에서 조례와 조례규칙을 '건강보험료'의 검색어를 통해 검색한 결과를 통해 이루어졌다. 2019년5월 현재 제정된 조례는 201건이었는데, 광역지방자치단체는 17개 중에서 8개의 시도에서, 기초지방자치단체는 226개 중에서 193개의 시군구에서 제정되어 있으며, 조례 시행규칙은 전체 37건이 제정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조례의 경우 목적, 조례 제정시기, 사회보험료의 종류, 사회보험료의 지원 대상, 사회보험료 지원의 금액, 사회보험료 지원의 방법과 과정, 사회보험료 지원의 시기, 사회보험료의 재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조문 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을 통해 정책적, 법적인 측면에서 논쟁이 될 수 있는 사안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와 함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개정 2019.4.30, 법률 제16426호)
  2. 국민건강보험법(개정 2019.4.23, 법률 제16366호)
  3. 국민기초생활 보장법(개정 2018.12.11, 법률 제15875호)
  4. 사회보장기본법(개정 2018.12.11, 법률 제15885호)
  5. 의료급여법(개정 2019.1.15, 법률 제16253호)
  6. 의료급여법(개정 2019.1.15, 법률 제16253호)
  7. 주민등록법(개정 2016.12.2, 법률 제14286호)
  8. 지방자치법(개정 2017.7.26, 법률 제14839호)
  9. 감 신, "의료사각지대의 해소", 건강보험포럼 제6권 2호, 국민건강보험공단, 2007.
  10. 강은정, "의료안전망으로서의 공공의료와 의료공급체계의 개편", 보건복지포럼 제12권, 국민건강보험공단, 2004.
  11. 국가법령정보센터 웹사이트(http://www.law.go.kr/)
  12. 김병환. 윤병준. 윤치근. 이준협, 건강보험의 이론과 실제 제3판, 계축문화사, 2006.
  13. 김영범, "한국 사회보험의 기원과 제도적 특징: 의료보험과 국민연금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통권 제55호, 2002.
  14. 김제선, "노인의 의료보장 사각지대 진입 및 탈출 요인", 사회보장연구 제27권 4호, 한국사회보장학회, 2011a.
  15. 김제선, 노인 의료보장 사각지대 진입.탈출 요인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1b.
  16. 김종건,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대상자의 노인의료비 증가 원인에 대한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7권, 한국노인복지학회, 2010.
  17. 김창엽, 건강보장의 이론, 한울아카데미, 2009.
  18. 신영전, "의료 안전망의 재구성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제15권, 국민건강보험공단, 2009.
  19. 이준영, "의료보장정책", 강욱모 외, 21세기 사회복지정책, 청목출판사. 2010.
  20. 이준영. 김제선. 박양숙, 사회보장론: 이론과 실제 제3판, 학지사, 2017.
  21. 임미영.유호신, "전국 저소득층노인의 보건의료이용과 영향요인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2권 3호,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1.
  22. 정형선, "경제위기 하의 의료보장정책", 한국사회보장학회. 국회 시장경제와 사회안전망포럼 공동주최 정책세미나 자료집, 한국사회보장학회.국회 시장경제와사회안전망포럼, 2009.
  23. 차흥봉, "건강보장의 이념적 지향과 미래발전 전략", 건강보험포럼 제6권 2호, 국민건강보험공단, 2007.
  24. 최성은. 김우현, 인구고령화와 노인의료보장 재정정책에 대한 연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7.
  25.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및 인구 현황, 행정안전부, 2018.
  26. Lassey, M.L., Lassey, W.R. & Jinks, M.J.(1997). "Health care systems around the world: Characteristics, issues, reforms", Prentice Hall, N.J.: Upper Saddle River.
  27. Matcha, D.A.(2003), Health care systems of the developed world: how the United States' system remains an outlier, Westport: An imprint of Greenwood Publishing Group.
  28. Riches, N., Coleman, A., Gadsby, E. & Peckham, S.(2012). The Role of Local Authorities in Health Issues: A Policy Document Analysis. PRUComm. Available at: https://www.kent.ac.uk/chss/docs/CLG-report.pdf.
  29. Roemer, M.I.(1995). "The WHO was in favour of social security", British Medical Journal(Vol 310). BMJ, pp.590-615. https://doi.org/10.1136/bmj.310.6979.590
  30. Seddon, M.E., Marshall, M.N., Campbell, S.M. & Roland. M.O.(2001).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of quality of clinical care in general practice in the UK, Australia and New Zealand. Quality in Health Care(Vol.10). pp.152-158. https://doi.org/10.1136/qhc.0100152
  31. U.S. Advisory Commission on Intergovernmental Relations.(1994). Local Government Responsibilities In Health Care. M-192. Available at: https://library.unt.edu/gpo/acir/Reports/information/m-192.pdf.
  32. Weil, M.(2005). The handbook of community practice, New York: Sage.
  33. Wendt, C., Frisina, L. & Rothgang, H.(2009). "Healthcare System Types: A Conceptual Framework for Comparison",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Vol.43 No.1), Blackwell Publishing Ltd, pp.70-90. https://doi.org/10.1111/j.1467-9515.2008.0064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