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ight to a Humane Livelihood and the Right to Health on Korean Constitution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와 건강권

  • 박지용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9.06.05
  • Accepted : 2019.06.26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s the constitutional meaning of the right to health through reviewing the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proposed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issued by the President. This article further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ght to a humane livelihood and the right to health. Health is a fundamental freedom and inalienable human right which is a prerequisite to accomplish individual's independent activity and realization of value. Thus, the government is obligated to protect and uphold the right. Article 36(3) of the Constitution delineates the government's duty to protect and fulfill the right to health.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both Article 36(3) and Article 34 of the Constitution, I suggest that the right to health implies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for health'.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narrowly interpreted the scope of the right to a humane livelihood by defining the term as "minimum material living standards". Howev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right to enjoy a healthy and cultural life for human dignity' and setting the level of protection is solely on the discretion of the legislative branch. Ultimately, the judicial review on the right to a humane livelihood connects with the issue of rational control for legislative discretion.

이 글은 현행 헌법의 규정과 헌법재판소 결정 그리고 개헌안의 건강권 신설 규정 등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건강권의 헌법적 의미를 특히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와의 관련성 속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건강은 개인의 일반적인 행위 및 가치실현의 전제가 되는 기본적인 자유로서의 성격을 갖게 되었으며, 국가는 개인의 건강을 보호하여 가장 기본적인 '인간다움'의 조건을 보장하고 자유 실현의 기초를 마련해야 한다. 헌법 제36조 제3항에서 규정하는 보건 보호라는 국가 과제는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에 관한 헌법 제34조의 구체적 내용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사회보장권'으로 이해할 경우, 헌법상 건강권은 '건강에 관한 사회보장권' 내지 '건강보장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헌법재판소는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에 대한 사법심사에서 소위 '최소한의 물질적인 생활 기준'을 채택함으로써 동 권리의 내용을 협소하게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는 '인간의 존엄성에 맞는 건강하고 문화적인 생활을 향유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고, 다만 그 보호의 수준이 어느 지점인지에 대한 판단이 일차적으로 입법재량에 맡겨져 있을 뿐이다. 그렇다면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에 관한 사법심사는 입법재량의 통제 문제로 귀결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희, "대통령 발의 헌법 개정안에 담긴 사회권의 의미와 한계", 사회보장법학 제7권 1호, 한국사회보장법학회, 2018.
  2. 김복기, "사회적 기본권의 법적 성격", 사회보장법연구 제3권 1호, 서울대 사회보장법연구회, 2014.
  3. 김복기, "헌법상 사회보장권 보장에 관한 소고", 사회보장법학 제7권 1호, 한국사회보장법학회, 2018.
  4. 김선택,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헌법규범성", 판례연구 제9권,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1998.
  5. 김창엽, 건강할 권리, 후마니타스, 2013.
  6. 박종현, "보건권의 헌법적 의미: 복지국가 실현을 이끄는 역동적 인권", 생명윤리 정책연구 제9권 2호, 생명의료법연구소, 2015.
  7. 박지용, "공중보건법학의 개념과 이념적 기초", 저스티스 제141호, 한국법학원, 2014.
  8. 박지용, "보건의료법학에 있어 역사적 연구방법", 의료법학 제18권 1호, 2017.
  9. 손호철, 촛불혁명과 2017년 체제,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7.
  10. 이덕연,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본질과 법적 성격", 공법연구 제27집 2호, 한국공법학회, 1999.
  11. 장귀연, 비정규직, 책세상, 2009.
  12. 전광석, 한국헌법론, 집현재, 2018.
  13.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4.
  14.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3.
  15.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7.
  16. 홍준형, "경제헌법 개정의 방향", 공법연구 제46권 4호, 한국공법학회, 2018.
  17. Fredman, 조효제 옮김, 인권의 대전환, 교양인, 2009.
  18. Habermas, 한상진. 박영도 옮김, 사실성과 타당성, 나남, 2007.
  19. Piketty, 유영 옮김, 불평등경제, 마로니에북스,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