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3기 신도시의 계획지표 및 개발방향설정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Third Phase New Town Development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rough expert survey method

  • 윤정중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투고 : 2019.09.05
  • 심사 : 2019.10.18
  • 발행 : 2019.10.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새로운 신도시 건설이 추진됨에 따라 향후 신도시 계획시 고려해야 할 지표와 개발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분야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자료를 빈도분석과 분산분석기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기존 1기 및 2기 신도시에 대해 계획지표들의 평가결과, 시민참여와 정보공유, 스마트기술과 서비스, 사회문화적 다양성과 포용성에서 부정적 평가가 많았다. 또한 3기 신도시에 대해 전문가들은 교통의 접근성과 편리성, 환경적 쾌적성, 주거의 질과 서비스 등 도시의 기본이 되는 요소인 교통, 환경, 주거의 중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경관/디자인의 우수성, 일자리 등 자족성, 사회·문화적 다양성과 포용성 등도 중요한 지표로 꼽았다. 둘째, 전문가들의 인식과 평가가 성별, 연령, 직업, 전문분야 등 개인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1기와 2기 신도시는 전문가 집단의 '성별'에서만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며, 3기 신도시는 '성별'과 '전문분야'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셋째, 향후 3기 신도시 개발계획 수립시 인구구조변화, 산업과 일자리, 삶의 질과 다양성, 환경 및 기후변화, 사회 및 주거복지 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토지이용계획에서는 공원녹지 및 자족용지 확대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3기 신도시의 도시형태로 친환경 생태도시를 1순위로 꼽았으며, 중요한 생활인프라로 대중교통시설, 공원녹지, 교육시설을 매우 중요하게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ndicators and development directions to be considered when planning new tow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s new towns are planned to be built. To this end,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after analyzing the survey data of experts in each fiel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technique. First, the assessment results of the existing first and second phase new towns showed that there were many negative assessments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smart technologies and services, social and cultural diversity and inclusion. Regarding the third phase new town, experts said that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ar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environmental comfort, quality and service of residence. In addition, experts cited the superiority of landscape/design, jobs/self-sufficiency and social/cultural diversity as important indicators. Second, after examining whether the perceptions and assessments of experts differ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occupation, and professional field, the first and second phase new tow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gender", and the third phase new tow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nd "professional field". Third, experts thought that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industry and jobs, quality of life and diversity,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and social and residential welfare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planning of third phase new town. In addition, experts considered expanding park and self-sufficient land as important in the land use plan, and ranked eco-city as a desirable type of the city, and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park areas and education facilities as the most important living infrastructure.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2019년 토지주택연구원 정기연구과제로 수행 중인 연구자료의 일부를 이용하여 작성한 것임.

참고문헌

  1. 김광식(1995), "수도권 5개 신도시 교통부문 계획의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 탐색",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2. 김현수(2007), "2기 신도시의 평가에 관한 연구 : 1기 신도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19권 4호.
  3. 김용성(2006),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에 의한 분당신도시계획 평가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민범식(2003), "신도시의 자족성 확보와 친환경적개발방향",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5. 양승우, 백인길(1997), "수도권 신도시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비교 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32권 6호.
  6. 윤정중 외(2013), "1기 신도시 도시성분석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7. 이수기 외(2015), "수도권 1기 신도시 통근통행특성과 공간구조의 변화(1996-2010) : 자족성과 중심성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50권 5호.
  8. 이외희, 이지은(2007), "수도권 제2기 신도시지역의 인구유입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9. 이경용(2013), "수도권 신도시내 대중교통의 지원체계개선대안 및 효과분석 : 분당, 평촌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0. 이춘호(2001), "수도권 신도시 거주자 주거 만족도비교 분석",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36권 6호.
  11. 장용훈(2010),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에 의한 신도시계획 평가모형의 개발 및 적용 연구",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장준상, 이창무(2006), "수도권 5개 신도시의 자족수준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41권 2호.
  13. 장한두(2012), "신도시 주민의 주거만족 영향요인과 주거환경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8권 제2호.
  14. 정다운, 김흥순(2010), "수도권 1기 신도시의 자족성 및 중심성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13권 2호.
  15. 정성원, 여홍구(2010), "신도시 근린주구 계획에 따른 생활권 시설 보행자 이용행태 분석 : 분당신도시, 일산신도시를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건축계) 제26권 3호.
  16. 하혜경, 김한배(2016), "산본신도시와 김포한강 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 비교로 본 경관특성 고찰", 한국경관학회지 제8권 제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