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3세부터 7세사이의 소아를 대상으로 촬영하여 획득한 Computed tomography (CT) 영상을 이용하여 유구치 근관의 개수, 위치를 평가하고 유구치 근관들의 관계 및 치근과 근관의 관계를 분석하여 유치 근관 치료시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남아 81명, 여아 33명, 총 114명의 CT 시상면, 수평면 영상에서 유구치 근관의 개수와 위치, 치근의 개수와 위치에 대해 평가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통계분석 하여 한 환자에게서 양측에 같은 위치의 치아에 나타나는 근관의 대칭성을 평가하였다. 상악 제 1유구치와 제 2유구치에 가장 많이 관찰 되었던 근관의 개수는 3개로 위치는 근심 협측, 원심 협측, 구개 근관이었다. 하악제 1유구치 제 2유구치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던 근관의 개수는 4개로 위치는 근심 협측, 근심 설측, 원심 협측, 원심 설측 근관이었다. 상악의 치근은 근심 협측 근관을 제외하고 1개의 근관을 가지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고, 하악의 치근은 2개의 근관을 가지려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하악 제 2유구치의 근심 치근은 100%으로 2개의 근관을 가졌다. 상악 유구치의 구개측 치근과 하악 유구치의 원심 치근이 2개의 치근으로 나누어져 있는 경우, 그 치근들은 각각 1개의 근관을 가지려는 경향을 보였다. 상악 유구치에서 원심 협측 치근과 구개측 치근이 융합되어 있더라도, 치근은 각각의 근관을 가지려는 경향을 보였다. 같은 환자의 같은 위치의 반대편 치아의 근관의 대칭성은 하악 유구치부에서 상악 유구치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소아 환자의 유구치 근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유구치 근관 치료 시 근관의 위치에 대해 미리 예측함으로 술식 시간을 줄이고 치료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st common canal type in primary molar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roots and canal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root canal morphology will lead to more successful root canal treatment.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from 114 children (81 boys, 33 girls) aged 3 - 7 years were obtained. The locations and numbers of roots and canals were evalua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oot and canal parameters was determined. The most commonly observed canal morphology in primary maxillary molars were mesio-buccal, disto-buccal and palatal canal. Primary mandibular molars most frequently contain mesio-buccal, mesio-lingual, disto-buccal and distolingual canal. All the roots of the primary maxillary molars except for the mesio-buccal root, each had 1 canal while there were 2 canals observed in each root of primary mandibular molars. Without exception, all mesial roots in primary mandibular 2nd molars had 2 canals. In case when either the palatal root in a primary maxillary molar or the distal root in a primary mandibular molar was separated into 2 roots, each root seemed to have its own canal. Even though the disto-buccal and palatal roots were fused into 1 root in primary maxillary molars, this fused root had tendency to have 2 separate canals. Primary mandibular molars showed similar canal morphologies between left and right molars in the same patient, while the primary maxillary molars did n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