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내러티브 공간과 극적몰입의 상관관계연구 - <시카리오>를 중심으로 -

Correlation between Narrative Space and Dramatic Immersion - Concentrating on -

  • 문정미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영화영상제작)
  • Mun, Jung-Mi (Department of Film and Video Production, Dongguk University)
  • 투고 : 2019.01.23
  • 심사 : 2019.02.25
  • 발행 : 2019.02.28

초록

영화 공간은 영화의 내적, 외적 의미들을 모두 의도할 수 있는 핵심적인 표현요소일 뿐 아니라 내러티브적인 측면에서도 극적 맥락을 주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영화 공간은 도발적 사건이 일어나고 캐릭터 행동을 유발하는 가시적 환경을 구축할 뿐 아니라 캐릭터 심리나 서사의 정서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표면 배후의 상징적 의미 및 암시적 기능을 통해 긴장을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내러티브 공간의 극적 기능을 중심으로 영화<시카리오>를 분석한다. 이 영화는 멕시코 마약 카르텔을 소재로 범죄스릴러 장르의 외피를 두르고 있지만, 결코 장르 관습을 따르지 않으며 깊은 철학적 고뇌를 통해 사유를 제시하는 통찰을 보여준다. 이 영화의 내러티브 공간은 도발적 사건 이상으로 극적 긴장을 불러일으키는 감정적 기능을 담당하며, 정교하게 계획되고 통제된 미장센은 궁극의 서스펜스를 구성하여 관객을 흡인한다. 결국 이 영화의 몰입감과 극적 여운은 플롯차원보다는 장면의 힘으로 이루어진 성취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시카리오>의 공간과 시각화 구성을 분석하여 내러티브 공간과 극적 몰입의 상관관계를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의 범위가 한정적이었던 극적몰입의 연구 패턴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ilmic spaces are not only a core expressive factors that can embody both internal and external meanings of films, but also play an important role for initiating dramatic context in terms of narratives. They establish visible environment in which provocative incidents occur and characters' behaviors are induced, include characters' psychology or emotional meanings of narratives and provoke tensions through symbolic meanings and the implicit function of surface background. This paper, therefore, analyzes the film, , by focusing on the dramatic function of narrative space. This film provides insights and thoughts through deep philosophical reflection, by escaping from the convention of such a genre, through deep philosophical reflection, by escaping from the convention of such a genre, though it belongs seemingly to the crime thriller genre using Mexico's drug cartel as it main material. In the film, narrative spaces are responsible for emotions invoking dramatic tensions beyond provocative incidents and the elaborately planned and controlled mise-en-scene absorbed audiences' attention by organizing ultimate suspense. In conclusion, flow and dramatic lingering imagery of this film might be achieved by power of scenes rather than plot factors. This study thus explained the correlation between narrative spaces and dramatic immersion, by analyzing spaces appearing in and visualized construction. It is hoped that this will further extends the pattern of researches on dramatic immersion, which have been primarily focused on plots and characte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