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치위생(학)과 예비졸업생의 핵심역량 자가평가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Self-core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 배수명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구강과학연구소) ;
  • 신선정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구강과학연구소) ;
  • 신보미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구강과학연구소) ;
  • 최용금 (선문대학교 건강보건대학 치위생학과.유전체 기반 바이오IT 융합연구소) ;
  • 손정희 (대원대학교 치위생과)
  • 투고 : 2019.04.30
  • 심사 : 2019.06.04
  • 발행 : 2019.07.28

초록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학)과 예비졸업생의 핵심역량 및 세부역량에 대한 자가평가 수준을 파악하고, 자가평가 핵심역량 수준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2개의 대학을 편의추출하여 치위생(학)과 졸업예정자 511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기효능감 24문항은 5점 척도로 측정하였고, 8개의 핵심역량과 52개의 세부역량은 최소 0점에서 최대 10점으로 자가평가 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가 평가 역량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은 SPSS 20.0 Ver.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인 유의수준은 0.05로 고려하였다. 자가평가 역량 수준은 임상치과 영역이 10점 만점 기준으로 6.7점으로 가장 높았고, 근거중심의 의사결정 영역이 5.7점으로 가장 낮았다. 학제, 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 중 특히 자기조절 영역이 자가평가 핵심역량 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학업성취, 자가평가 영역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교육과정 내 비판적 사고강화, 문제중심학습법 적용, 자기효능감 및 리더십 향상을 위한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해 의료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critical assessments and core competencies, and to determine the competence and discipline of self-assessment. We surveyed 511 students who graduated from 12 universities. Self-efficacy 24 items were measured on a 5-point scale, 8 core competencies and 52 detailed competencies were self - assessed from 0 to a maximum of 10 points. The higher the score, the higher the self - evaluation competency leve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0.0 Ver., And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05 was considered. The self - evaluation competency level was the highest at 6.7 points in the clinical dentistry area, and the lowest at the evidence - based decision area of 5.7 points. Self-regulation was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the self-evaluation core competence level among self-efficacy sub-factors. As the students' self-efficacy affects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relevant programs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in curriculum, apply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improve self-efficacy and leadership, It should be possible to cultivate.

키워드

Table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평가 치과위생사 핵심역량 차이

CCTHCV_2019_v19n7_402_t0001.png 이미지

Table 2. 학제에 따른 자가평가 치과위생사 세부역량 차이

CCTHCV_2019_v19n7_402_t0002.png 이미지

Table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수준

CCTHCV_2019_v19n7_402_t0003.png 이미지

Table 4. 자가평가 치과위생사 핵심역량 수준과 자기효능감의 상관성

CCTHCV_2019_v19n7_402_t0004.png 이미지

Table 5. 치과위생사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CTHCV_2019_v19n7_402_t0005.png 이미지

참고문헌

  1. M. J. Park, "A New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Competence-based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Vol.26, pp.173-197, 2008. https://doi.org/10.15708/kscs.26.4.200812.008
  2. 김각균, 고홍섭, 금기연, 김명주, 김영재, 김태일, 김현정, 이삼선, 이인복, 임원희, 최진영, 박보영, Competence based Evaluation 체계개발, 서울대학교 BK21 치의학생명과학사업단, 2007.
  3. J. G. Chlhoun, P. L. Davidson, M. E. Sinioris, E. T. Vincent, and J. R. Griffith, "Toward an understanding of competency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in health care management," Quality Management in Health care, Vol.11, No.1, pp.14-38, 2002. https://doi.org/10.1097/00019514-200211010-00006
  4. 배수명, 신선정, 장종화, 정원균, 역량기반 치위생학교육 평가체계의 개발, 대한치위생과교수협의회, 2014.
  5. 배수명, 신선정, 장종화, 정원균, 신보미, "치과위생사 역량에 따른 교육과정 현황 분석: G대학 치위생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73-183, 2016.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2.173
  6. 이혜진, 김수진, 김영삼, 전재규, 장기완, "치과위생사의 직업역량, 핵심자기평가의 수행업무와의 관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7권, 제3호, pp.161-166, 2013.
  7. M. S. Kim, "An Inquiry into the Need and Possibility to the Evaluation of The Adult Education," J Res Edu, Vol.9, pp.307-335, 1997.
  8. B. H. Lee and S. N. Kim,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s of multisource assessment system of teacher," J Edu Adm, Vol.22, pp.163-186, 2004.
  9.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pp.191-215, 1977.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10. 류관열, 엄우용, 최성열, "중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타인기대와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효과,"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3호, pp.661-685, 2010.
  11. 유효현, 학업성취에 대한 관련변인의 예측력분석,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2. A. Bandura and D. H. Schunk,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1, pp.586-598, 1981. https://doi.org/10.1037/0022-3514.41.3.586
  13. D. H. Schunk and P. D. Cox, "Strategy training and attributional feedback with learning disabled stud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78, pp.201-209, 1986. https://doi.org/10.1037/0022-0663.78.3.201
  14. D. H. Schunk and A. R. Hanson, "Peer models: Influence on children'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77, pp.313-322, 1985. https://doi.org/10.1037/0022-0663.77.3.313
  15. A. Y. Kim and J. E. Cha, "Self-efficacy measurement," Korean soxiety for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9, pp.51-64, 1996.
  16. 유소연,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련성,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7. 법제처, 의료기사등에 관한 법률, 제20조(보수교육), http://www.law.go.kr
  18. 문선정, 가경환, 구인영, 김은희, "일부 농어지역 치과생사의 직무특성에 따른 직무스트스, 자기효능감, 조직몰입에 한 조사," 한국도서연구, 제29권, 제1호, pp.147-170, 2017.
  19. A-Yeon Jeong, Sun-Jung Shin, Bo-Mi Shin, and Soo-Myoung Bae, "The Development of Problem-Based Learning Module for Clinical Dentistry in Dental Hygiene," J Dent Hyg Sci, Vol.17, No.5, pp.383-397, 2017. https://doi.org/10.17135/jdhs.2017.17.5.383
  20. 최용금, 한양금, 배수명, 김진, 김혜진, 안세연, 임근옥, 임희정, 장선옥, 장윤정, 정진아, 전현선, 박지은, 이효진, 신보미, "국내 치위생(학)과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 운영현황 분석," 치위생과학회지, 제17권, 제6호, pp.523-532, 2017. https://doi.org/10.17135/jdhs.2017.17.6.523
  21. 유상희, 배수명, 신보미, 신선정, "지역사회치위생학 실습 교육에서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 효과 평가," 치위생과학회지, 제17권, 제4호, pp.368-374, 2017. https://doi.org/10.17135/jdhs.2017.17.4.368
  22. 최규일, 이다현,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 학습몰입, 학업성취도와 학과적응도와의 관계,"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299-305, 2019. https://doi.org/10.15207/jkcs.2019.10.1.299
  23. 홍혜연, 서비스 교육 훈련이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서울소재 병원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4. 박지원, 김춘자, 김용순, 유문숙, 유혜라, 채선미, 안정아,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효능감, 리더십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제24권, 제3호, pp.223-231, 2012. https://doi.org/10.3946/kjme.2012.24.3.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