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ultiple Aging Trajectories of the Elderly in Korea

한국 노인의 노화궤적 연구

  • Kim, Sojin (Division of Welfare, Joongbu University)
  • 김소진 (중부대학교 보건복지학부)
  • Received : 2018.11.29
  • Accepted : 2019.02.08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 to derive the aging trajectories of Korean elderly people and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is study used the successful aging model of Rowe and Kahn as an analytical framework.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this study applied group-based multi-trajectory analysis to identify multiple aging trajectories in sample of Korean elder aged 65~74(n=2,682). This study also used sever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baseline predictor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ging trajectory. Five dimensions were analyzed in the multi-trajectory model: chronic disease, physical functional limitation, cognitive functioning, depressive symptom and social engag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ve aging trajectories were identified: successful aging(17.8%), usual aging (33.9%), health declining aging(18.2%), pathological aging(7.9%), and aging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22.1%). In general, the odds of experiencing successful aging were high in men, low-aged, highly educated, high-income, and spousal elderly. On the other hand, for the elderly, who are under-educated, low-income, and high-aged, there was a high probability of experiencing a relatively difficult aging process. In particular, the odds of experiencing a mild cognitive impairment aging was high in older, lower-income women without a spouse.

이 연구는 한국 노인들의 노화과정을 추적해 노화의 궤적을 도출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것이다. 특별히 연구는 Rowe와 Kahn이 제시한 성공노화모델을 분석틀로 삼고, 집단중심 다중궤적모형을 활용해 귀납적 방식으로 노화궤적을 도출하였다. 또한 주요 인구사회적 특성들을 기본 예측요인으로 삼아 각 노화궤적의 특성들을 다항로지스틱 분석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분석을 위해 활용된 자료는 고령화연구패널(KLoSA)의 1~6차 조사자료이며, 분석대상은 65세이상 74세이하의 전기노인 2,682명이다. 다중궤적모형에 활용된 분석지표는 만성질환, 신체기능, 인지기능, 우울증상, 그리고 사회참여활동이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노화궤적은 5개이며, 각각은 5개 지표의 변화양상에 따라 일반노화군(33.9%), 경도인지장애동반군(22.1%), 건강기능저하군(18.2%), 성공노화군(17.8%), 병적노화군(7.9%)로 명명되었다. 한편, 다항로지스틱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반적으로 성공 노화는 남성, 저연령, 고학력, 고소득, 유배우자 집단이 경험할 가능성이 컸다. 반면, 저학력, 저소득, 그리고 고연령의 경우 상대적으로 어려운 노화의 과정을 겪을 가능성이 컸다. 특히, 경도인지장애동반노화를 겪을 가능성은 배우자가 없는 저학력, 저소득, 그리고 고연령 여성에게서 크게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도 중부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