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법제처. 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Internet]. 서울: 국가법령정보센터. 2019[cited 2019 November 15].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3551&efYd=20161130#0000
-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보건진료원의 일차보건의료. 청원군: 의학서원; 2011. 164 p.
- 통계청. 고령인구 비율[Internet]. 서울: 한국 통계청. 2019 [cited 2019 November 15]. Available from: http://kosis.kr/search/search.do?query=%EB%85%B8%EC%9D%B8%EC%9D%B8%EA%B5%AC
- 신종각, 안준기, 김경희, 김은영, 권윤섭. 2016 고령화연구패널(KLoSA) 기초분석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보고서. 음성군: 한국고용정보원; 2017 12. 보고서 번호: 2017-18.
- 정경희, 오영희, 강은나, 김경래, 이윤경, 오미애 등.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보고서. 세종: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11. 보고서 번호: 2017-53
- Kok RM, Reynolds CF. Management of depression in older adults: a review.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17;317(20):2114-2122. https://doi.org/10.1001/jama.2017.5706
- Wilson RS, De Leon CM, Bennett DA, Bienias JL, Evans DA.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decline in a community population of older persons.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2004;75(1):126-129.
- 김은경. 도시와 농촌 거주 고령 독거노인의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2018;8(6):609-623. https://doi.org/10.21742/AJMAHS.2018.06.08
- 정규형. 노인의 비동거자녀 관계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도시 ․ 농촌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2017; 55:5-30. https://doi.org/10.16975/kjfsw.2017..55.001
- 주애란. 일 지역 농업 종사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농부증 및 영향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12;21(1):37-45. https://doi.org/10.5807/kjohn.2012.21.1.37
- 정희정, 김수경, 김영신, 노웅래, 이용호. 농촌 여성노인의 신체수행력, 근력, 균형능력 향상을 위한 창작무용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017;25(4):109-132.
- 박정숙, 오윤정.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농촌 노인의 자기효능감, 건강문제, 농부증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06;18(1):10-21.
- 배종진, 박현철. 운동이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14;53(3):549-567.
- 한진희, 이재은, 박정환, 이상희, 강현식. 12주간 유산소운동이 노인의 체력과 우울증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2014;23(4):375-385. https://doi.org/10.15857/ksep.2014.23.4.375
- 정범진, 최유진. 단기 집단 복합중재가 정상 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재활치료과학. 2019;8(3):57-68. https://doi.org/10.22683/tsnr.2019.8.3.057
- 이예진, 이주현, 김영조, 양노열, 박지혁. 복합 중재법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14;22(3):85-97. https://doi.org/10.14519/jksot.2014.22.3.07
- 김수은, 박상미, 정민예. 집단 복합 중재가 초기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17;25(1):45-55. https://doi.org/10.14519/jksot.2017.25.1.04
- Sheikh VI, Yesavage VA (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shorter version. In TL Brink (Ed), Clinical gerontology: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New York: Haworth Press. p. 165-174.
- 조맹제, 배재남, 서국희, 함봉진, 김장규, 이동우 등. DSMIII-R 주요우울증에 대한 한국어판 GDS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1999;38(1):48-63.
- 정복례, 한지영. 운동이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16;27(5):1375-1387. https://doi.org/10.7465/jkdi.2016.27.5.1375
- Larson EB, Wang L, Bowen JD, McCormick WC, Teri L et al. Exercise is associated with reduced risk for incident dementia among persons 65 years of age and older.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6;144(2):73-81. https://doi.org/10.1111/j.1600-0838.2006.00572.x
- 박용천. 우울증의 비약물학적 치료. 대한의사협회지. 2011; 54(4):376-380. https://doi.org/10.5124/jkma.2011.54.4.376
- 채명옥, 전해옥, 김아린. 한국 중년여성의 비약물적 우울중재연구: 체계적 문헌고찰. 산학기술학회지. 2016;17(3): 638-651. https://doi.org/10.5762/KAIS.2016.17.3.638
- Steiner M. Serotonin, depres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sex-specific issues, Acta Physiologica. 2011;203 (1):253-258. https://doi.org/10.1111/j.1748-1716.2010.02236.x
- Hanson S, Jones A. Is there evidence that walking groups have health benefi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15; 49(11):710-715. https://doi.org/10.1136/bjsports-2014-094157
- Ngandu T, Lehtisalo J, Solomon A, Levälahti E, Ahtiluoto S, Antikainen PR et al. A 2 year multidomain intervention of diet, exercise, cognitive training, and vascular risk monitoring versus control to prevent cognitive decline in at-risk elderly people (FINGER):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e Lancet. 2015;385(9984):2255-2263. https://doi.org/10.1016/S0140-6736(15)60461-5
- Clare L, Nelis SM, Jones IR, Hindle JV, Thom JM, Nixon JA et al. The Agewell trial: a pilot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a behaviour change intervention to promote healthy ageing and reduce risk of dementia in later life. BMC Psychiatry. 2015;15:25. https://doi.org/10.1186/s12888-015-04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