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shion product purchase criteria, fashion information sources, and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and fast fashion products based on consumer innovativeness and nostalgia

소비자 혁신성과 노스탤지어 성향에 따른 패션상품 구매기준, 패션정보원 활용, 패스트 패션상품과 친환경 패션상품에 대한 태도 특성

  • Seo, Min Jeong (Korean Living Science Research Institute, Hanyang University) ;
  • Jun, Dae-Geun (Dept. of Clothing & Textil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서민정 (한양대학교 한국생활과학연구소) ;
  • 전대근 (안동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8.10.28
  • Accepted : 2019.06.19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classify fashion consumers based on innovativeness and nostalgia and (2)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product purchase criteria, fashion information sources, and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and fast fashion products among the identified groups of consumers. A total of 327 respondents were clustered into four distinct groups: (1) high innovativeness and low nostalgia, (2) high innovativeness and high nostalgia, (3) low innovativeness and high nostalgia, and (4) low innovativeness and low nostalgia. The four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urchase criteria of quality, design, and brands and no difference in the criteria of functionality and washing methods. The four groups preferred different sources of fashion information: fashion magazines, people in the street, and salespeople, but did not differ in term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and in-store displays. While the four group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they did not show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fast fashion products, excluding usefulness. These meaningful results provide guidelines for developing more effective merchandising strategies for both eco-friendly and fast fashion products.

Keywords

References

  1. 곽예경, 윤나라, 김한얼. (2012). 노스탤지어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긍정감과 사회유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27(3), 1-33.
  2. 권유진. (2012). 소비측면에서 본 레트로 패션의 의미. 한국디자인포럼, 46, 361-374.
  3. 김선희. (2007). 패스트패션에 대한 고찰(제1보):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5(5), 875-887.
  4. 김영균. (2012). 소비자의 내재적 혁신성과 제품에 대한 관여도와 전문적 지식이 정보탐색 혁신성과 수용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17(7), 187-198. https://doi.org/10.9723/jksiis.2012.17.7.187
  5. 김주희, 박옥련. (2005). 남성소비자의 패션의식에 따른 쇼핑행동연구: 구매행동, 쇼핑성향, 정보원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167-178.
  6. 김지영. (2011). 외향성과 개방성 성격특성에 따른 의복선택기준과 선호의복이미지: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3(4), 139-151.
  7. 김하연, 최윤정. (2016). 노스탤지어 감성이 복고패션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 66(7), 139-153. https://doi.org/10.7233/jksc.2016.66.7.139
  8. 김혜은. (2017). 에코백의 친환경성에 대한 소비자 의식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7(3), 141-154.
  9. 노주현, 김민자. (2009). 패스트 패션 현상에 대한 사회문화적 해석. 복식, 59(3), 27-41.
  10. 노주현, 김민자. (2011). 사회적 관점에 의한 슬로 패션의 특성과 미적 가치. 한국의류학회지, 35(11), 1386-1398. https://doi.org/10.5850/JKSCT.2011.35.11.1386
  11. 문선진, 서선희. (2015).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이용자의 구매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소비자 혁신성, 상품 혁신속성, 지각된 위험, 차별적 대우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9(3), 43-58
  12. 박상아, 박재옥, 이지연. (2014). 환경의식, 사회책임적 의류소비태도와 패스트 패션 결과지각의 관계. 복식문화연구, 22(2), 225-239.
  13. 박송애. (2011). 그린 패션 마케팅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3(2), 121-131.
  14. 박유식, 채희남. (2011). 감성지능이 소비자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감각추구성향과 인지욕구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18(3), 55-81.
  15. 박은희. (2015). 여고생의 패스트패션 태도 유형에 따른 자의식과 화장행동. 패션비즈니스학회지, 19(1), 106-121.
  16. 박태승. (2017). 스포츠브랜드 광고의 노스탤지어 인식효과가 광고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6(2), 641-654.
  17. 박현희. (2015). 업사이클링 패션제품의 지각된 가치 차원과 태도 및 구매의도의 관계: 유행혁신성의 조절효과. 한국의류산업학회지, 39(2), 257-270.
  18. 박혜원, 이미숙. (2002). 레트로(Retro) 패션의 특성과 문화산업적 의미 연구. 복식, 52(3), 171-187.
  19. 박혜정. (2014a). 패션의식, 에코 패션 소비결정, 지속적 탐색행동, 쇼핑 즐거움이 패스트 패션 브랜드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2), 111-126.
  20. 박혜정. (2014b). 패스트 패션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의사결정 연기의 선행변수. 복식문화연구, 22(5), 743-759.
  21. 심수인. (2017). 신진 패션 디자이너 제품의 소비자에 대한 고찰: 유행혁신성과 가격민감성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41(6), 1124-1140. https://doi.org/10.5850/JKSCT.2017.41.6.1124
  22. 양선희. (2016). 미디어콘텐츠의 복고 열풍이 구현하는 사회통합의 가능성: <응답하라 1994>를 중심으로.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11(1), 35-70.
  23. 양재장, 한상호, 이용기. (2014). 소비자의 가치관과 혁신성이 친환경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27(11), 1807-1826.
  24. 유지현, 김민경. (2012). 친환경 패션제품의 객관적.주관적 속성 평가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2), 113-125.
  25. 윤재창, 이욱기, 김동혁. (2015). 융복합 시대에서 지속가능경영활동이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3(4), 115-125. https://doi.org/10.14400/JDC.2015.13.4.115
  26. 이윤선. (2017). 소비자 특성이 모바일 커머스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5(5), 173-187. https://doi.org/10.14400/JDC.2017.15.5.173
  27. 이현지. (2017). 환경의식에 따른 패스트패션 구매자의 의복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7(4), 550-560. https://doi.org/10.5805/SFTI.2015.17.4.550
  28. 임성민, 김미숙, 최주영. (2008). 패스트 패션도입에 따른 패션업계의 대응 전략 연구. 복식문화연구, 16(3), 432-443. https://doi.org/10.29049/RJCC.2008.16.3.432
  29. 임은미, 유형숙. (2007). 리조트 방문객의 노스탤지어성향에 따른 행동유형에 관한 연구: '충무마리나 리조트' 사례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22(1), 505-527.
  30. 장우성, 박윤서, 이승인. (2014). 친환경인증마크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환경의식 수준과 이타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32(4), 27-46.
  31. 전경숙. (2002). 의복관여와 정보원 활용에 관한 연구: 여자 중.고교생을 중심으로. 복식 52(4), 75-85.
  32. 전경숙, 박혜정. (2011). 소비자 변수와 패션리더십: 심미적 성향, 혁신성, 대인민감성, 역할완화소비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9(6), 1247-1258.
  33. 전경숙, 박혜정. (2015). 패스트패션 브랜드에 대한 재구매 의도: 제품 특성, 소비자 특성, 인지부조화. 복식문화연구, 23(6), 940-954.
  34. 정경화, 이유리. (2015). 시스템 사고를 통한 CSR 활동과 친환경 패션제품 소비 간 인과관계 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16(4), 103-128.
  35. 정인희. (2015). 소비자 성별에 따른 상품 유형별 관심도 차이, 내재적 혁신성과의 상관관계 및 상품 지각 구조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39(4), 505-516. https://doi.org/10.5850/JKSCT.2015.39.4.505
  36. 조은주. (2015). 대학생의 친환경 패션제품에 대한 소비가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환경지식의 조절 효과. 한국디자인포럼, 49, 41-54.
  37. 제은숙. (2012). 소비자 혁신성이 패션소비성향과 의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4(4), 578-587. https://doi.org/10.5805/KSCI.2012.14.4.578
  38. 추태귀, 박현희. (2013). 중고패션제품의 소비가치가 태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7(4), 618-630. https://doi.org/10.5850/JKSCT.2013.37.4.618
  39. 최진은, 김경희. (2014). 메이크업에 나타난 레트로 특성에 관한 연구: 2005년-2010년 파리컬렉션을 중심으로. 패션과 니트, 12(2), 22-36.
  40. 한성희. (2009). 친환경적 의복구매행동과 의복활용 및 처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3), 1-17.
  41. 한태임, 조규화. (2010). 패스트 패션의 전략적 특성과 패션경향 연구. 패션비즈니스학회지, 14(5), 21-34.
  42. 황용철, 박성용. (2016). 노스탤지어가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인지욕구의 조절효과. 문화산업연구, 16(4), 167-174.
  43. 홍병숙, 이은진, 주영주. (2010). 패션 소비자의 환경가치가 친환경 패션제품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2(4), 431-438. https://doi.org/10.5805/KSCI.2010.12.4.431
  44. Cervellon, M. C., & Carey, L., & Harms, T. (2012). Something old, something used: Determinants of women's purchase of vintage fashion vs second-hand fash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40(12), 956-974. https://doi.org/10.1108/09590551211274946
  45. Chan, T. Y., & Wong, C. W. Y. (2012). The consumption side of sustainable fashion supply chain: Understanding fashion consumer eco-fashion consumption decision.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6(2), 193-215. https://doi.org/10.1108/13612021211222824
  46. Clark, H. (2008). Slow+Fashion-an oxymoron-or a promise for the future...? Fashion Theory, 12(4), 427-446. https://doi.org/10.2752/175174108X346922
  47. Fletcher, K. (2008). Sustainable fashion & textiles. London: Earthscan.
  48. Goldsmith, R. E., & Hofacker, C. F. (1991). Measuring consumer innovativenes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9(3), 209-222. https://doi.org/10.1007/BF02726497
  49. Havlena, W. J., & Holak, S. L. (1991). "The good old days": Observations on nostalgia and its role in consumer behaviour. Advanced in Consumer Research, 18(1), 323-329.
  50. Holbrook, M.B., & Schindler, R. M. (1991). Echoes of the dear departed past: Some work in progress on nostalgia. Advanced in Consumer Research, 18(1), 330-333.
  51. Loveland, K. E., Smeesters, D., & Mandel, N. (2010). Still preoccupied with 1995: The need to belong and preference for nostalgic produc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7(3), 393-408. https://doi.org/10.1086/653043
  52. Manning, K. C., & Bearden, W. O., & Madden, T. J. (1995). Consumer innovativeness and the adoption proces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4(4), 329-345. https://doi.org/10.1207/s15327663jcp0404_02
  53. Midgley, D. F., & Dowling, G. R. (1978). Innovativeness: The concept and its measur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4(4), 229-242. https://doi.org/10.1086/208701
  54. Rogers, E. M. (1983). Diffusion of innovation (3rd ed.). New York: The Free Press.
  55. Routledge, C., Arndt, J., Wildschut, T., Sedikides, C., Hart, C. M., Juhl, J., Vingerhoets, A. J., & Schlotz, W. (2011). The past makes the present meaningful: Nostalgia as an existential resour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1(3), 638-690. https://doi.org/10.1037/a0024292
  56. Saaksjarvi, M. (2003). Consumer adop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European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6(2), 90-100. https://doi.org/10.1108/14601060310475246
  57. Stern, B. B. (1992). Historical and personal nostalgia in advertising text. Journal of Advertising, 21(4), 47-54. https://doi.org/10.1080/00913367.1992.10673382
  58. Wildschut, T., Sedikides, C., Routledge, C., & Arndt, J. (2006). Nostalgia: Content, triggers, func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1(5), 975-993. https://doi.org/10.1037/0022-3514.91.5.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