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 놀이의 발달적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Developmental Effect of Play in Early Childhood

  • 정영미 (경남도립거창대학교 아동보육복지과)
  • 투고 : 2019.04.26
  • 심사 : 2019.06.12
  • 발행 : 2019.06.30

초록

본 연구는 유아 놀이에 대한 발달적 효과가 어떠한가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06년까지 11년간 국내에서 발행된 연구논문을 수집하였으며, 학위논문 90편과 학술논문 20편 등 총 110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놀이에 의한 유아발달 전체효과크기는 1.21로 통제집단에 비해서 실험집단의 효과크기가 38.7%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삽입된 효과크기를 계산한 결과 .81로 나타나 결측 연구들을 포함할 때는 현재 효과크기보다는 낮아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발달 하위요인에서는 신체발달 1.28은 .95으로, 정서발달 1.42에서 .86로, 사회성 발달 1.13은 .85로, 인지발달 1.19는 1.07로, 언어발달 1.30은 1.30으로, 창의성 발달 1.00은 .69로 실제 효과크기는 대체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모든 발달영역에서 효과크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변인에 의한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측정방법, 연령, 훈련, 총 횟수, 놀이유형에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놀이가 발달적 측면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놀이가 유아의 발달을 반영하고, 발달을 촉진하며 발달적 변화를 위한 도구로서의 기능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arrange previous ones on developmental effects of play in early childhood through a meta-analysis.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searched for variety of databases and analyzed 110 studies, which were 90 graduate theses and 20 journals from 2005-2016. Results: First, the total developmental effect size of infant play was 1.21, with the effect size of the experimental group being 38.7%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total developmental effect size was .81, however when inserted effect size was calculated, so it was supposed that the current effect size might be decreased, if missing studies were included. Second, effect size appears in all developmental areas, though actual effect size of sub-factors of child development tends to be mostly decreased: The fall in physical development fell down from 1.28 to .95 that emotional development was 1.42 to .86. The fall in social development was considerable from 1.13 to .85 that cognitive development was 1.19 to 1.07. In language development, it didn't change much. It stayed about the same as 1.30. The fall In creativity development stood at just below from 1.00 to .69. Third, effect size by moderating variables was examined to show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surement, age, total number of training and types of activiti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n implication, in that the study verified that infant play reflects and promotes child development and functions as a tool for developmental change, by illuminating effects of it child 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아(2015). 집단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나리(2013). 실외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인숙(2007). 칠교놀이 활동이 유아의 동작성 지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강정애(2015). 협동적 통합요리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강진, 심성경, 류경희(2013). 신체 및 표현활동 중심의 실외놀이를 통한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7(5), 5-30.
  6. 강해순(2008). 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행동과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고선아, 조형숙(2015). 바깥놀이 중심의 유아과학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호기심,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9(6), 447-469.
  8. 고승현(2015). 음악기반 감각통합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권건희(2006). 비석치기 놀이가 유아의 공간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권세경, 황혜경, 김지영(2015). 영유아놀이지도. 서울: 동문사.
  11. 권정윤, 정미라, 홍소영, 박수경(2010). 유아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341-358.
  12. 길성미(2008). 반 편견 동화를 이용한 극 놀이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발달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기숙(2012). 놀이식 신체체험 미술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달호, 박병구, 손중권, 송재기, 이경은, 이인석,...최진갑(2008). 엑셀을 이용한 통계학. 파주: 자유아카데미.
  15. 김명숙(2011).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석사학위논문.
  16. 김문희(2010). 유아 놀이유형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선아(2010).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성현(2015). 인지놀이에 기반한 유아 정서.사회적 유능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김성현, 지성애(2015). 인지놀이에 기반한 유아정서, 사회적 유능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29-54.
  20. 김수영, 김수임, 정정희(2007). 놀이지도. 경기: 양서원.
  21. 김수희, 박효진, 김세영(2015). 숲 놀이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90, 1-21.
  22. 김승영(2011). 전통놀이 신체활동프로그램이 유아의 기본이동능력과 신체적 자아개념 및 신체 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3(2), 1067-1076.
  23. 김승하(2013). 동화를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김시영(2006).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 능력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김신영(2006). 바깥놀이를 통한 자연친화 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김영미(2011). 칠교놀이가 유아의 공간 및 도형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김영숙(2013). 집단 전통놀이가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김영주(2000). 유치원학급크기에 따른 교수-학습 행동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4(1), 151-173.
  29. 김원준(2004). 소도구를 활용한 실외 신체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김유경(2007).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신체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김은미(2006). 주제 환상극 놀이가 유아의 조망수용에 미치는 효과.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김은미(2008). 신체접촉 중심의 집단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김은이(2014). 놀이를 통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인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김은해(2009). 모래놀이가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김정경(2014).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사회적 유능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김정은(2011). 입체도형을 활용한 놀이 활동이 유아의 공간시각화 능력과 수 표상 능력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김지은(2015). 음악기반 감각통합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기본생활습관 향상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김지혜(2014).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지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김진아(2009). 놀이를 통한 동시활동이 유아의 언어 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김진희(2014). LT협동학습 모형을 통한 갈등상황극놀이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대인문제 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김현정(2011). 놀이를 통한 유아발레 수업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정서.사회적 발달 및 학습 흥미도에 관한 부모들의 인식도 조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김현진(2013). 구성주의적 접근에 의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김혜련(2008). 놀이중심의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김희숙(2010). 극화놀이가 유아의 언어능력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박경희(2015). 실외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놀이표현력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박동월(2014). 자연물을 활용한 실외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박미희(2010). 전통놀이가 유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박선영(2009). 놀이 미술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박영미(2013). 신체접촉 중심의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교사관계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박영애(2015). 흙 활용 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박예현(2015). 인성관련 동화를 통한 극화놀이 활동이 유아의 공격성 감소와 감정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박유현, 이정애(2015). 갈등상황에 기초한 사회극화 놀이가 유아의 언어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3(4), 255-279.
  53. 박은영(2013).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박은혜(2015). 혼합연령집단 실외놀이가 유아의 사회성과 정서적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박은화(2007). 역할놀이 프로그램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박창옥, 이성희(2012). 유아를 위한 신체접촉놀이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자아개념,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7(5), 325-349.
  57. 박향아, 김민정, 안경매, 최선미(2015). 모래 놀이가 유아의 어휘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5(5), 95-110.
  58. 박현남(2010). 목공놀이 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박현지, 김지은(2016). 인성동화를 활용한 협동 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1), 143-170.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143
  60. 박혜림(2014). 패러디 그림책을 활용한 주제환상극 놀이가 유아의 마음이론과 인지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1. 박혜정(2008). 사회적 역할놀이 활동이 유아의 조망 수용능력과 친사회적행동 증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박휘순(2010). 전통놀이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백주혜(2010). 전통놀이를 활용한 무용동작 경험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변상우(2012). 자연친화적 손끝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소근육 운동기능 발달과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5. 소명수(2012). 숲유치원에서 자연물을 이용한 놀이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6. 송양희(2013). 음악다례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인성 교육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 신애진(2011). 실외협동놀이가 유아의 기본운동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8. 신연수(2008). 메타분석을 통한 보육의 질과 유아 발달. 경기; 한국학술정보.
  69. 신유정(2012). 실외 자연놀이경험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0. 신주희(2015). 협동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1. 신진영(2013). 신체접촉 중심 집단놀이 프로그램이 사회적 위축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2. 심성경, 백영애, 이영희, 함은숙, 변길희, 김나림, 박지애(2010). 놀이지도. 경기도: 공동체.
  73. 심재연(2011). 유아놀이 유형과 유아의 .사회적.정서능력과의 관계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4. 안명숙(2013). 숲에서의 놀이경험을 통한 유아 미술교육이 유아의 미술표현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홀리스틱교육연구, 17(1), 105-131.
  75. 안은량(2012). 명상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6. 오성삼(2002).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건국대학교출판부.
  77. 우은선(2011). 산책에서의 자연놀이 활동 경험이 유아의 감성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8. 유미현(2013). 놀이발레 수업이 6세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9. 윤경애(2013).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0. 윤선희(2010). 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1. 윤현진(2010). 오르프 음악 교수 방법을 활용한 음악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백석대학교 음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2. 이경연(2016). 3세 유아를 위한 감각놀이 기반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3. 이경희, 김연희(2016). 소집단 협동놀이가 유아의 대인문제 해결능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3), 65-91.
  84. 이미나, 차영희(2011). 집단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심리행동연구, 3(2), 83-102.
  85. 이민경(2015). 신체접촉놀이 활동이 유아의 마음 이론발달과 정서실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6. 이빛나, 최미숙(2015). 숲 체험을 통한 놀이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생명존중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7(1), 53-66.
  87. 이손연(2015). 동화에 기초한 실내 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정서지능,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
  88. 이송연, 안도희(2015). 블록 놀이중심 창의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창의력교육연구, 15(3), 10-127.
  89. 이숙재(2014). 영유아 놀이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90. 이순복(2010). 쌓기놀이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하 및 공간 감각능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30(1), 95-119.
  91. 이승희(2012). 놀이를 활용한 다중지능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2. 이시자(2010). 유아놀이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0(5), 263-289.
  93. 이윤희(2010). 철학놀이가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국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4. 이은민(2012). 전래놀이 동요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5. 이은실(2010). 그림책을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
  96. 이은영(2010). 역할놀이를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7. 이은주, 이경민(2010). 교사용 유아생활만족도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30(4), 27-48.
  98. 이은희(2011). 사회극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마음 이론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9. 이은희(2013). 그림책을 활용한 주제 환상극 놀이가 만5세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어휘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0. 이정희(2010).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1. 이진아(2010). 쌓기놀이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2. 이진영(2012). 생활동화를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3. 임은정(2013). 산책을 통한 자연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4. 임자영(2007). 연극놀이가 유아의 언어 표현력, 그림 표현력, 신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5. 임춘금(2006). 주제환상극 놀이가 유아의 언어능력, 정서지능,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6. 임흥수,고두갑(2015). 전통놀이가 유치원 만5세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3), 211-220.
  107. 장미경(2010). 동시를 활용한 연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8. 장연주(2016). 유아 놀이 연구 동향 분석: 2006년부터 2015년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6(2), 473-496.
  109. 장영숙, 조성우(2011). 흙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17(3), 117-147. https://doi.org/10.24159/JOEC.2011.17.3.117
  110. 장현기(2008).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1. 전철욱(2005). 역할놀이 유형이 유아의 창의성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2. 전홍선(2014). 바깥놀이로서의 숲체험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3. 정남미(2011). 그림책 중심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놀이성과 놀이행동,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5(2), 267-289.
  114. 정순용(2012). 전통놀이를 통한 유.초 연계 짝 게임 활동이 유아와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5. 정승영(2015). 동화를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6. 정영미, 조한익(2015). 유아의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29(4), 757-794.
  117. 정은우(2013). 생태놀이를 활용한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이 환경 친화적인 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8. 정하나(2015). 극화놀이를 통한 유아공감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9. 정혜영(2007). 동화 표현놀이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읽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0. 정효진(2009). 연극놀이기법을 적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1. 조미영, 홍혜경(2011). 실외놀이를 활용한 수학 활동이 유아의 수.연산 및 측정능력과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29(1), 83-107.
  122. 조민아(2014). 음악기반 감각통합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3. 조은별(2017).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4. 조은지(2011). 마당극 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및 국악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5. 진영미, 박향아(2016). 집단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5(1), 215-242.
  126. 채종옥, 이경화, 김소양, 김연진(2013). 영유아를 위한 놀이지도. 경기: 양서원.
  127. 천경화(2013). 숲에서의 놀이가 유아의 자연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8. 최보람(2012). 자연친화적 놀잇감을 활용한 모래놀이가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9. 최선미(2011). 실내 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0. 최선미(2013). 자연놀이 체험이 유아의 생명존중 태도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1. 최수경, 석주영, 박인전(2013). 숲에서의 자유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8(2), 181-198.
  132. 최장미(2012). 유아철학놀이에 나타난 창의성 효과와 양상. 한국국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3. 최진홍(2006). 점토놀이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4. 한상복(2010). 산책을 통한 자연 놀이 활동이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5. 한유진, 박행자(2011). 집단 모래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지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6(1), 15-36.
  136. 현미경, 서현아(2011). 놀이무용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0(1), 1-30.
  137. 황민정(2006). 발도르프 수공예놀이가 유아의 감성지능 및 창의적 표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8. 황성동(2014). 알기 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서울: 학지사.
  139. 황윤세(2006). 유아놀이에 관한 학술지 연구논문 (1995-2004)의 경향 분석. 아동교육, 15(2), 21-36.
  140. 황인영(2004). 유치원 학부모의 놀이 인식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1.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 Rothstein, H. R.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John Wiley & Sons, Ltd.
  142.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Publishing.
  143. Cooper, H. (2010).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A step-by-step approach. Los Angeles: Sage, c2010.
  144. Duval, S., & Tweedie, R. (2000).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plot-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Biometrics, 56(2), 455-463. doi:10.1111/j.0006-341X.2000.00455.x
  145. Freud, S. (1933). New introductory lectures on psychoanalysis. New York: Norton.
  146. Froebel, F. (1887). The education of man. New York: Appleton.
  147. Frost, J. L., Wortham, S. C., & Reifel, S. (2001). Play and child development.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Inc.
  148. Gresham, F. M., Sugai, G., & Horner, R. H. (2001). Interpreting outcomes of social training for students with high-incidence disabilities. Exceptional Children, 67(3), 331-334. doi:10.1177/001440290106700303
  149. Isaacs, S. (1933). Social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A study of beginnings. London: G. Routledge.
  150. Lipsey, M. W., & Wilson, D. B. (2001). Practical meta-analysis. London: Sage.
  151. Marulis, L. M., Neuman, S. B. (2010). The effects of vocabulary intervention on young children's word learning: A meta-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80(3), 300-335. doi:10.3102/0034654310377087
  152. Mol, S., Bus, A., De Jong, M., & Smeets, D. (2008). Added value of dialogic parent-child book readings: A meta-analysi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9(1), 7-26. doi:10.1080/10409280701838603
  153. Orwin, R. G. (1983). A fail-safe N for effect size in meta-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Statistics, 8(2), 157-159. doi:10.3102/10769986008002157
  154. Rosenthal, R. (1979). The file drawer problem and tolerance for null results. Psychological Bulletin, 86(3), 638-641. doi:10.1037/0033-2909.86.3.638
  155.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56. Weber, E. (1984). Ideas influen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 theoretical analysis.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