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에 대한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Perception of Group Hom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orker on Sexually Problematic Behavior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임해영 (예명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홍영준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 전주람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학습.심리상담전공)
  • 투고 : 2019.05.27
  • 심사 : 2019.06.14
  • 발행 : 2019.06.28

초록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을 돌보는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 6명을 대상으로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에 관한 이들의 인식을 총체적으로 이해하여, 장애인복지실천 현장에 필요한 유용한 논의점을 제시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과 성인식 2가지 본질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고, 성문제 행동은 '성적 욕구를 과도하게 표출하는 존재', '성범죄로 연결될 수 있는 부적절한 성행동' 2개의 하위주제로, 성인식에서는 발달장애인 성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방안의 부재', '성적 매력을 갖기에는 불리한 조건', '좌절된 성', '딜레마의 문제', '비장애인과 다르지 않는 성', '연애와 성관계는 OK, 임신과 결혼은 NO' 라는 6개의 하위 주제로 총 8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들은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에 대한 적절한 해결 방안이 없다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발달장애인의 성규범을 강화하고 재생산해내는 주요 주체로서의 역할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은 발달장애인의 성규범과 관련하여 가치관 혼란도 함께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 성에 대한 종사자들의 고정관념적 시각에 관해 되짚어보고, 그들의 성을 바라보는 시각에 관하여 담론형성의 장과 발달장애들의 성을 지원하기 위한 대책마련에 관한 보다 실효성 있는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In order to find out perception of group hom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orker on sexual behavior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holistic way,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research participants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erception of sexual behavior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data analysis, these experiences appeared as two thematic themes: 'sexual trouble behavior' and 'perception of sexuality'. Two sub-themes of 'Excessive expression of sexual desire', 'Improper sexual behavior that can lead to sexual offenses' were derived from the essence theme of 'sexually problematic behavior' and 'perception of sexuality' were derived from the essence theme of 'lack of suitable solution', 'conditions that are not enough to have sex appeal', 'frustrated sexuality', 'some dilemma problem', 'sexuality that is not different from non-disabled', and 'love and sex are ok, pregnancy and marriage are no'. Based on this, group home caregivers contribute to their role as the main agents who reinforce and reproduce the sexual norm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ile at the same time they experience confusion in their values about sexual norm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s the major intervention plan for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the competences of group home caregivers in order to form a holistic perspective of group home caregivers in sexualit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rovide rational solutions.

키워드

표 1. 연구 참여자들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19_v19n6_575_t0001.png 이미지

표 2. 본질 주제영역에 따른 하위주제 목록

CCTHCV_2019_v19n6_575_t0002.png 이미지

참고문헌

  1. F. Wilkenfeld and S. Ballan, "Educators' Attitudes and Beliefs Towards the Sexuality of Individual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xuality and Disability, Vol.29, No.4, pp.351-361, 2011. https://doi.org/10.1007/s11195-011-9211-y
  2. R. Young, N. Gorge, and M. Mccarthy, "Staff Attitudes towards Sexuality in relation to Gender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 Qualitative Study, Vol.37, No.4, pp.343-347, 2012.
  3. 김용득, 고명균, 송남영, 장정은, 김희정, 전국 성인 발달장애인 복지서비스 실태조사, 서울: 한국지적장애인복지협회.한국장애인개발원, 2013.
  4. 송영욱, 장애로부터의 자유: 智山 송영욱 선생 저술집, 서울: 해든디앤피, 2001.
  5. 박은영, "청년기 지적장애인의 고용 유지 결정 요인: 직업훈련 프로그램 참여자의 개인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519-529,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4.519
  6. 박선원,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부담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체계와 사회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호, pp.594-610,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1.594
  7. 최복천, 김유리, "발달장애인의 이성교제에 대한 인식 및 지원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부모 및 관련기관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지적장애연구, 제16권, 제3호, pp.69-92, 2014.
  8. 공마리아, 이성록, "발달장애 성인 생활시설의 성관련서비스 실태 및 관리자의 태도-서울지역 생활시설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46권, 제4호, pp.77-10, 2017.
  9. 김영숙, 김영걸, "발달장애인의 성인식과 성태도에 따른 성교육지원 연구," 지적장애연구, 제17권, pp.161-184, 2015.
  10. 정유진, 전혜인, "발달장애학생의 성문제 행동에 대한 특수 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 특수교육, 제14권, 제1호, pp.351-361, 2017.
  11. 임해영, 김학주, "성인기 발달장애인 성행동에 관한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대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제29호, pp.149-173, 2015.
  12. D. Giulio, "Sexuality and People Living with Physical or Developmental disabilties: A Review of key issues," The Canadian Journal of Human Sexuality, Vol.12, No.1, pp.53-68, 2003.
  13. A. Murphy and R. Elias, "Sexuali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Vol.118, No.1, pp.398-403, 2006.
  14. 여성가족부, 2016년 성폭력 피해자 지원사업 운영실적 보고, 여성가족부권익증진국 권익정책과, 2017.
  15. 박근필, 이영철,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특수교사의 성교육 실태분석: (2005-2014년의 연구를 중심으로)," 지적장애연구, 제17권, 제4호, pp.159-176, 2015.
  16. 정선경, 사이버커뮤니티를 활용한 가정연계 성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성태도와 성지식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7. 김유리, "지적장애 학생 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국내문헌을 중심으로," 특수교육, 제8권, 제2호, pp.219-237, 2009.
  18. 김주연, 자기결정 구성요소를 적용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거주시설 지적장애 성인의 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9. 신부자, 재가장애인 부모와 시설종사자의 발달장애인 성에 대한 인식비교연구, 나사렛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0. A. Lumley and R. Scotti, "Supporting the sexuality of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Vol.3, No.2, pp.109-119, 2001. https://doi.org/10.1177/109830070100300208
  21. L. Servais, "Sexual Health Care in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Reviews, Vol.12, No.1, pp.48-56, 2006. https://doi.org/10.1002/mrdd.20093
  22. 권애리, 박원희, "경도 지적장애 여고생의 성 비행 경험탐색," 통합교육연구, 제6권, 제2호, pp,197-223, 2011. https://doi.org/10.26592/KSIE.2011.6.2.197
  23. 신경림, 장연집, 박인숙, 김미영, 정승은, 현상학과 심리학연구, 현문사, 2004.
  24.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 연구, 한길사, 2014.
  25. A. Giorgi, "The Theory,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Vol.28, No.2, pp.235-260, 1997. https://doi.org/10.1163/156916297X00103
  26. G. Guba and S. Lincoln,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Sage Publication, 1989.
  27. 임해영, "발달장애인의 섹슈얼리티 경험에 관한 연구: 지적장애인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제33호, pp.91-121, 2016.
  28. S. Beart, G. Hardy, and L. Buchan, "How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View Their Social Identity: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Applied Research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Vol.18, No.1, pp.47-56, 2005. https://doi.org/10.1111/j.1468-3148.2004.00218.x
  29. M. Ballan, "Parents as Sexuality Educators for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IECUS Report, Vol.29, No.3, pp.14-19, 2002.
  30. R. Brown and T. Pirtle, "Beliefs of Professional and Family Caregivers about the Sexuality of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xamining Beliefs using a Q-methodology Approach," Journal of Sex Education, Vol.8, No.1, pp.59-75, 2008. https://doi.org/10.1080/14681810701811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