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 연구의 분석틀
표 1. 원전 정책 변동 관련 변수의 구성
표 2.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전환 로드맵
표 3. 19대 대선후보 원전관련 공약 비교
표 4. 원자력발전에 대한 국민 인식변화
표 5. 원자력발전 정책방향에 대한 선호 의견
참고문헌
- 김종성, "신제도주의의 행정학적 함의," 사회과학연구, 제13권, pp.59-82, 2002.
- 김태룡, 행정이론, 대영문화사, 2017.
- 정용덕 편, 신제도주의 연구, 대영문화사, 1999.
- 남궁근 편, 새행정이론, 대영문화사, 2002.
- 하연섭, 제도분석, 다산, 2003.
- W. H. Sewell, Three Temporalities: Toward an Eventful Sociology, T. J. McDonaId(ed.), The Historic Turn in the Human Scienc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6.
- 하혜수, "지방분권정책의 경로의존성 연구: 총액인건비제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229-252, 2007.
- S. D. Krasner, "Sovereignty: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Political studies, Vol.21, No.1, pp.66-94, 1988. https://doi.org/10.1177/0010414088021001004
- M. Levi, A Model, a Method, and a Map: Rational Choice in Conparative and Historical Analysis, M. I. Lichbach, A. S. Zuckerman(eds.), Comparative Politics: Rationality, Culture, and Struc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 남궁근, 정책학, 법문사, 2012.
- S. D. Krasner, "Approaches to the State, Alternative Conceptions and Historical Dynamics," Comparative Politics, Vol.16, No.2, pp.223-246, 1984. https://doi.org/10.2307/421608
- 하연섭, "신제도주의의 최근 경향: 이론적 자기 혁신과 수렴," 한국행정학보, 제36권, 제4호, pp.339-359, 2002.
- 진상현, 박진희, "한국과 독일의 원자력정책에 대한 비교연구: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21권, 제3호, pp.265-289, 2012.
- 임석준, 김현정, "한국 원자력정책의 아젠다 역동성과 정책변화: 옹호연합모형의 적용," 국제정치연구, 제21집, 제1호, pp.25-55, 2018.
- 김영준, 이찬구, "다중흐름모형을 통한 원자력 규제정책 의제설정 과정 분석: 2011년 원자력안전법 제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49-79, 2017.
- 권태형, 전영준,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국내 원자력정책의 변화: 정책옹호연합모형의 적용," 행정논총, 제53권, 제4호, pp.245-269, 2015.
- 김태희, 원자력정책의 제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원자력 발전 정책의 국가별 유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이민화, 원자력 정책의 신제도주의적 특성 연구 : 후쿠시마 사고 전후 국가별 원자력 정책의 경로의존성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진상현, "한국 원자력 정책의 경로의존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제18권, 제4호, pp.8-17, 2009.
- 진상현, "후쿠시마 사고 전후 한국 원자력 정책의 변화와 전망," 역사비평, 제101호, pp.140-166, 2011.
- 주성돈, 원자력정책의 변동에 관한 연구: 역사적 제도와 행위자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김길수, "원자력 안전규제정책의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제30권, 제2호, pp.57-80, 2016.
- 주성돈, "원자력발전정책의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제11권, 제3호, pp.325-346, 2011.
- 김태헌, 석유의존도 변화에 따른 국제유가의 경제적파급효과 분석,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 이달석, 최성희, 오세신, 김영덕, 新 고유가 대응전략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2007.
- 고규용, "교토의정서 발효와 에너지산업부문 대응방안," Air cleaning technology, 제18권, 제3호, pp.1-14, 2005.
- 한국원자력학회 후쿠시마위원회, 후쿠시마원전 사고분석: 사고내용, 결과, 원인 및 교훈, 한국원자력학회, 2013.
- 조현,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대한 국제적 대응과 우리의 과제," 외교, 제99호, pp.81-93, 2011.
- https://news.joins.com/article/6999015
- 원자력안전위원회, 고리 1호기 전력공급중단 관련조사현황 및 향후대책, 2012.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3061201071243013002
-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2014.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45327&cid=43667&categoryId=43667
-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629_0013759163
- https://blog.naver.com/energyinfoplaza/22113620880
- http://imnews.imbc.com/weeklyfull/weekly01/4234366_17924.html
- https://www.nocutnews.co.kr/news/489266
- 국무총리실, 제1차 국가에너지 기본계획, 2008.
- https://www.yna.co.kr/view/AKR20170619071500001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032&aid=0002827193
-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2017.
- https://blog.naver.com/hellopolicy/221124330932
- 산업통상자원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017.
- 김지효,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권고안의 주요내용과 시사점," 지속가능교통 브리프, 제9권, 제4호, pp.1-3, 2018.
- 산업통상자원부, 원전 품질서류 위조사건 관련 원전운영 개선대책, 2013.
-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시민참여형조사보고서, 2017.
- 신옥주, "공론화위원회를 통한 신고리 5.6호 건설중단 결정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국가법학회, 제14권, 제1호, pp.1-30, 2018.
-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4911&ancYd=19580311&ancNo=00483&efYd=19580311&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0000
- 용태석, 원자력발전정책 변동요인에 관한 QCA분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http://www.law.go.kr/lsEfInfoP.do?lsiSeq=165568#
- http://www.eve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482
- 환경운동연합, 대선후보자별 에너지-기후변화 공약비교, 2017.
- 윤순진, "반핵운동에서 탈핵운동으로: 후쿠시마 핵발전사고 이후 한국 탈핵운동의 변화와 과제," 시민사회와 NGO, 제13권, 제1호, pp.77-124, 2015.
- 이근대, 원전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에너지경제연구원, 2011.
-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7437
- 현대경제연구원, 에너지 전환 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 VIP리포트, 제708호, 2017.
- 현대경제연구원, 에너지 전환 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 VIP리포트, 제726호, 2018.
- E. M. Immergut, "The Theoretical Core of the New Institutionalism," Politics & Society, Vol.26, No.1, pp.5-34, 1998. https://doi.org/10.1177/0032329298026001002
- P. A. Hall and C. R. T. Rosemary, "Political Science and the Three New Institutionalisms," Political Studies, Vol.44, No.5, pp.936-957, 1996. https://doi.org/10.1111/j.1467-9248.1996.tb00343.x
- 최조순, 강현철, "지역발전정책의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8권, 제3호, pp.59-83,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