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sociation between Parent Residence Type and Connubial Bliss in Married Woman

기혼 여성의 부모 거주형태와 결혼행복감의 관련성

  • 정유림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 한삼성 (대구한의대학교 보건학부) ;
  • 정성화 (대구한의대학교 보건학부)
  • Received : 2019.03.29
  • Accepted : 2019.05.16
  • Published : 2019.06.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s residence type and connubial bliss mediated to Korean married women. A total of 3,851 married women were selected from the database of the Fourth Korea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KLoWF) in 2015-2016. In univariate analysi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arents residence type, couple activity, family care and connubial blis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reover, when the parents residence type is short distance, connubial bliss is higher, couple activity is more active and family care is more friendly attitued. By the result of sobel test, parents residence type was indirectly influenced on connubial bliss mediated to couple activity and family care. However, parents residence type was no directly influenced on connubial bliss mediated.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ill help design policy plan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es and family members in a universal nuclear family society.

우리나라 기혼 여성의 부모 거주형태와 부부활동, 가족 부양인식 및 결혼행복감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여성가족패널(KLoWF)조사 6차년도(2015-2016) 자료를 활용하여 최종 2,120명의 기혼 여성을 선정하였으며, 부모 거주형태와 부부활동, 가족 부양인식 및 결혼행복감을 측정하였다. 단변량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부모 거주형태와 부부활동, 가족 부양인식 및 결혼행복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게다가 부모 거주형태가 근거리에 거주하거나 친정 부모나 시댁 부모 중 한쪽이라도 근거리에 거주하는 경우 부부활동을 자주하고 결혼행복감이 높은 경향이었으며 부모 세대와 동거하거나 근거리에 거주하는 경우 가족 부양인식이 호의적인 경향이었다. Sobel Test를 통해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부모 거주형태에 따라 결혼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부부활동 및 가족 부양인식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보편화된 핵가족 사회에서 배우자 및 가족 구성원간의 유대관계를 향상시키는 정책적 계획 설계에 도움이 될 것이다.

Keywords

CCTHCV_2019_v19n6_148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CCTHCV_2019_v19n6_148_f0002.png 이미지

그림 2. 매개효과

표 1. 부모 거주형태

CCTHCV_2019_v19n6_148_t0001.png 이미지

표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부모 거주형태

CCTHCV_2019_v19n6_148_t0002.png 이미지

표 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결혼행복감, 부부활동, 가족 부양인식

CCTHCV_2019_v19n6_148_t0003.png 이미지

표 4. 부모 거주형태에 따른 결혼행복감, 부부활동, 가족 부양인식

CCTHCV_2019_v19n6_148_t0004.png 이미지

표 5. 부모 거주형태가 결혼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19_v19n6_148_t0005.png 이미지

표 6. 부모 거주형태가 결혼행복감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effect(SE)

CCTHCV_2019_v19n6_148_t0006.png 이미지

References

  1. 정유림, 정성화, 한삼성, "기혼 여성의 남편지지와 우울과의 관련성: 결혼행복감을 매개로," 한국콘텐츠학회, Vol.18, No.12, pp.263-271,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2.263
  2. 김유경, "부양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부양특성화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16.
  3. 남보람, 최희정, "세대 간 거주근접성과 부모의 정신 및 신체 건강: 부모 연령, 성인자녀 성별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가족관계학회, Vol.23, No.2, pp.111-131, 2018. https://doi.org/10.21321/jfr.23.2.111
  4. 이경곤, 성효용, "부모와의 근거리 거주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 질서경제저널, Vol.20, No.3, pp.129-151, 2017.
  5. 윤소영, 정유희, "핵가족 부부의 가족여가활동시간에 관한 연구: 자녀 학령기 가족을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Vol.1, No.1, pp.79-95, 2003.
  6. 임종호, "미취학자녀를 둔 여성 임금근로자의 양육스트레스," 한국콘텐츠학회, Vol.14, No.5, pp.132-14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132
  7. 배호중, 한창근, 양은모, "친정과의 거리와 자녀출산: 2000년 이후 혼인가구를 대상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 Vol.37, No.2, pp.5-40, 2017.
  8. 윤소영, 정유희, "핵가족 부부의 가족여가활동시간에 관한 연구: 자녀 학력기 가족을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Vol.1, No.1, pp.79-95, 2003.
  9. 김대명, "생활사건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2, pp.113-131, 2014.
  10. 양소남, "일하는 어머니의 일-가족생활 양립을 위한 전략," 한국 가족치료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03-126, 2011.
  11. 정유림, 기혼 여성의 남편지지와 우울과의 관련성: 결혼행복감을 매개로,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2. G. B. Spanier, "Measuring dyadic adjustment: New scale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38, No.2, pp.15-28, 1976. https://doi.org/10.2307/350547
  13. F. Bucx, F. Van Wel, T. Knijn, and L. Hagendoorn, "Intergenerational contact and the life course status of young adult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70, No.1, pp.144-156, 2008.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7.00467.x
  14. H. Karsten, "Proximity and Contacts between Older Parents and Their Children: A European Comparis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66, No.1, pp.157-173, 2007.
  15. 김주희, "결혼초기 여성의 친족관계," 가족과 문화, Vol.21, No.4, pp.95-118, 2009.
  16. 최유석, "노인의 거주형태와 경제적 지원-기혼여성의 부모, 시부모의 비교," 한국인구학회, Vol.39, No.1, pp.59-84, 2016.
  17. 성지미, 차은영, "세대간 동거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한국노동논집, Vol.24, No.1, pp.97-124, 2001.
  18. 이여봉, "부부역할과 여성의 결혼만족도: 연령범주별 분석," 한국인구학회, Vol.33, No.1, pp.130-131, 2010.
  19. 장문선, 김영환, "기혼여성 우울증 환자의 결혼만족도에서 역기능적 태도와 부부의사소통패턴의 특성," 한국심리학회, Vol.22, No.2, pp.399-414, 2003.
  20. 서수경, 이정덕, "부부간 의사소통유형과 자존감 및 인구사회학적 변인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Vol.29, No.2, pp.199-215, 1991.
  21. 최효식, 윤해옥, 연은모, "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버지의 우울 및 양육태도 간 단기 종단 연구," 열린유아교육, Vol.21, No.3, pp.253-279, 2016.
  22. 이화진, 서은경, 정유림, 남인숙, 한삼성, "기혼직장여성의 가족적 지지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9, No.2, pp.69-79, 2015. https://doi.org/10.12811/kshsm.2015.9.2.069
  23. 김효민, 박정윤,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Vol.31, No.3, pp.125-140, 2013. https://doi.org/10.7466/JKHMA.2013.31.3.125
  24. P. T. Davies and F. M. Cummings, "Marital conflict and child adjustment: an emtional security hypothesis," Journal Psychological Bulletin, Vol.116, No.3, pp.387-411, 1994. https://doi.org/10.1037/0033-2909.116.3.387
  25. Dennis K. Orthner, "Leisure activity patterns and marital satisfaction over the marital career,"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37, No.1, p.91, 1975 https://doi.org/10.2307/351033
  26. C. H. Mulder and M. J. Meer, "Geographical distances and support from family members," Journal of Population Space and Place, Vol.15, No.4, pp.381-399, 2015.
  27. 정유림, 정성화, 유왕근, 한삼성, "배우자의 경제적지지가 직장여성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 Vol.11, No.2, pp.93-103, 2017. https://doi.org/10.12811/kshsm.2017.11.2.093
  28. 김승용, 정미경, "손자녀 돌봄에 대한 조모 및 취업모의 인식 조사 연구," 열린유아교육, Vol.11, No.5, pp.67-96, 2006.
  29. 박영신, 박영자, 남인순, "청소년과 부모 세대의 노부모 부양인식에 대한 토착 심리 탐구," 한국심리학회, Vol.23, No.3, pp.409-449, 2017. https://doi.org/10.18205/KPA.2018.23.3.005
  30. 최은숙, 김금환, "기혼직장여성의 부부갈등이 일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실천학회, Vol.9, No.1, pp.156-177,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