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표 2. 가족에 대한 친밀도 및 신뢰도 인식
표 3. 주요욕구에 대한 자기결정의 중요성 인식 및 독거노인 의사결정 지원 필요성
표 4. 연령대별 독거노인의 의사결정 지원 욕구
표 5. 의사결정지원 필요성 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참고문헌
- 모선희, 김근홍, 박영란, 박왕호, 변재관, 임병우,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 NAP수립을 위한 노인권 기초현황조사," 서울.밝은 노후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의 모임, 2004.
- 신향숙,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자기결정 경험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 박인환,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성년후견제도의 평가와 모색," 비교사법, Vol.22, No.2, pp.725-758, 2015.
- 오세영, "사회복지 환경변화에 따른 원불교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신종교연구, Vol.31, pp.155-178, 2014.
- 김서현, 조희선, "남성 독거노인의 공동체 참여 과정에 관한 연구," 가족과문화, 제29집, 제4호, pp.53-93, 2017.
- 김현미, "독거노인사회적관계활성화 방안- 독거노인 친구만들기사업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7, No.3, 2017.
- 장연식, 모선희, "우울, 죽음불안, 사회적 지지가 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Vol.37, pp.527-547, 2017.
- 윤정애, 강지수, 배명진, 이나영, 이채민, 전우진,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의 비교,"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8, No.2, pp.63-69, 2016.
- 김현철, "자기결정권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법학논집, 제19권, 제4호, pp.357-372, 2015.
- 김명식, "행복추구권에 대한 헌법개정 논의," 홍익법학, Vol.18, No.1, pp.195-222. https://doi.org/10.16960/JHLR.18.1.201702.195
- 우국희, "자기방임 노인의 자기결정권과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탐색적 연구, 비판사회정책, Vol.38, pp.45-81, 2013.
- 이명현,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의 의사결정지원 유형 분석과 평가 -의사무능력(미약)자 급여관리를 중심으로-," 사회복지법제연구, 제7권, 2호(통권 8호), pp.275-301, 2016.
- 오호철, "장애인권리협약에 따른 성년후견제도의 의사결정지원 고찰," 법학연구, Vol.60, pp.133-155, 2015.
- 이동석, "캐나다 5개 주의 지원의사결정제도 비교분석," 한국장애인복지학, Vol.36, pp.179-202, 2017.
- 이명현,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의 의사결정지원 유형분석과 평가 : 의사무능력(미약)자 급여 관리를 중심으로," 사회복지법제연구, Vol.7, No2, pp.275-301, 2016.
- 이동석, "지원의사결정의 개념 및 필요성에 대한 기초고찰," 후견과신탁, Vol.2, No.1, pp.1-25, 2019.
- 박인환, "고령인지장애인의 인권보호와 성년후견," 저스티스, 통권 제 146-1호, pp.5-44, 2015.
- Tim Spencer-Lane, Care Act Manual, Thomson Reuters, 2016.
- http://www.law.go.kr/법령/치매관리법, 2019. 5.15.
- Diener Ed,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193, No.3, pp.542-575, 1984.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 전찬희, "인간의 존엄과 가치.행복추구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4, pp.317-326,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4.317
- 장영수,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의미와 실현구조," 고려법학, 제85호, pp.81-108, 2017.
-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16.
- 박선숙, "노인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의사결정트리모형을 이용하여," 사회과학연구, Vol.29, No.3, pp.39-57, 2018.
- 김명숙, 강문희, 김연옥,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2, pp.240-247,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240
- 이혜재, 허순임, "노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의 결정요인-가구유형을 중심으로,"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3, No.2, pp.85-108, 2017.
- 오승연, "고령자 주거실태와 주거정책방향," 고령화리뷰, Vol.6, pp.9-36, 2016.
- 정순둘, 김정근, 김현미, 양윤정, 전미애, 전용호, 김은주, 최성문, 독거노인의 안전하고 주도적인 삶을 지원하는 제2차 독거노인종합지원대책(2017-2021), 보건복지부, 2017.
- http://www.bclaws.ca/civix/document/id/complete/statreg/96405_01
- Rosch Daniel, Fountoulakis Christiana and Heck Christoph, Handbuch Kindes- und Erwachsenenschutz, Haupt, 2018.
- 한국후견.신탁연구센터, "원의사결정제도 도입을 위한 심포지엄 자료집," 2019(3).
- www.msf.gov.sg/opg/Pages/Home.aspx, 2019.5.20.
- http://uk.practicallaw.thomsonreuters.com, 2019.5.20.
- 이윤경, 강은나, 김세진, 변재관,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Aging in place)를 위한 장기요양제도 개편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