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독거노인의 자기결정권 인식과 의사결정 지원 필요성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Recognition of Self-determination Right and the Necessity of Decision Support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 김효정 (한양대학교 SSK 한국후견.신탁연구센터)
  • 투고 : 2019.04.17
  • 심사 : 2019.05.24
  • 발행 : 2019.06.28

초록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자기결정 욕구 수준과 의사결정지원에 대한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독거노인에 대한 의사결정지원의 방향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5개 구의 독거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응답 독거노인들은 노인 자신의 결정과 관련된 경제, 의료와 요양, 사회서비스, 거소 결정 등 주요 욕구 5개 영역 중 거소에 대한 자기결정권 반영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결정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응답자들은 3.64(4점 척도)로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연령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의사결정 지원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셋째, 독거노인의 의사결정 지원 필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가족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거소 결정에 있어서 본인의 의사가 반영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할수록 의사결정 지원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독거노인들이 인지가 저하되기 전의 결정 사항들이 노후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의사결정지원체계의 마련과 신뢰하는 가족들이 법적인 체계 내에서 의사결정지원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와 함께 최근 노인복지정책의 방향성으로 제시되고 있는 AIP가 의미를 갖기 위해 독거노인들의 거소 결정에 대한 의사를 미리 확인하고 그러한 의사를 반영할 수 있는 체계 마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cision support for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by identifying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and desire for decision suppor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00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five districts of Seou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elderly living alone have thought that it is most important to reflect their decisions when deciding where to live. Second, respondents highly recognized that the need for support decision making as the age group grew. Third,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the need to support decision-making by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were age, trust in family and recognition of importance in decision-making. The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a specific, institutionalized system to support decision making for elderly living alone.

키워드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19_v19n6_125_t0001.png 이미지

표 2. 가족에 대한 친밀도 및 신뢰도 인식

CCTHCV_2019_v19n6_125_t0002.png 이미지

표 3. 주요욕구에 대한 자기결정의 중요성 인식 및 독거노인 의사결정 지원 필요성

CCTHCV_2019_v19n6_125_t0003.png 이미지

표 4. 연령대별 독거노인의 의사결정 지원 욕구

CCTHCV_2019_v19n6_125_t0004.png 이미지

표 5. 의사결정지원 필요성 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CCTHCV_2019_v19n6_125_t0005.png 이미지

참고문헌

  1. 모선희, 김근홍, 박영란, 박왕호, 변재관, 임병우,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 NAP수립을 위한 노인권 기초현황조사," 서울.밝은 노후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의 모임, 2004.
  2. 신향숙,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 및 자기결정 경험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3. 박인환,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성년후견제도의 평가와 모색," 비교사법, Vol.22, No.2, pp.725-758, 2015.
  4. 오세영, "사회복지 환경변화에 따른 원불교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신종교연구, Vol.31, pp.155-178, 2014.
  5. 김서현, 조희선, "남성 독거노인의 공동체 참여 과정에 관한 연구," 가족과문화, 제29집, 제4호, pp.53-93, 2017.
  6. 김현미, "독거노인사회적관계활성화 방안- 독거노인 친구만들기사업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7, No.3, 2017.
  7. 장연식, 모선희, "우울, 죽음불안, 사회적 지지가 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Vol.37, pp.527-547, 2017.
  8. 윤정애, 강지수, 배명진, 이나영, 이채민, 전우진,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의 비교,"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8, No.2, pp.63-69, 2016.
  9. 김현철, "자기결정권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법학논집, 제19권, 제4호, pp.357-372, 2015.
  10. 김명식, "행복추구권에 대한 헌법개정 논의," 홍익법학, Vol.18, No.1, pp.195-222. https://doi.org/10.16960/JHLR.18.1.201702.195
  11. 우국희, "자기방임 노인의 자기결정권과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탐색적 연구, 비판사회정책, Vol.38, pp.45-81, 2013.
  12. 이명현,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의 의사결정지원 유형 분석과 평가 -의사무능력(미약)자 급여관리를 중심으로-," 사회복지법제연구, 제7권, 2호(통권 8호), pp.275-301, 2016.
  13. 오호철, "장애인권리협약에 따른 성년후견제도의 의사결정지원 고찰," 법학연구, Vol.60, pp.133-155, 2015.
  14. 이동석, "캐나다 5개 주의 지원의사결정제도 비교분석," 한국장애인복지학, Vol.36, pp.179-202, 2017.
  15. 이명현,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의 의사결정지원 유형분석과 평가 : 의사무능력(미약)자 급여 관리를 중심으로," 사회복지법제연구, Vol.7, No2, pp.275-301, 2016.
  16. 이동석, "지원의사결정의 개념 및 필요성에 대한 기초고찰," 후견과신탁, Vol.2, No.1, pp.1-25, 2019.
  17. 박인환, "고령인지장애인의 인권보호와 성년후견," 저스티스, 통권 제 146-1호, pp.5-44, 2015.
  18. Tim Spencer-Lane, Care Act Manual, Thomson Reuters, 2016.
  19. http://www.law.go.kr/법령/치매관리법, 2019. 5.15.
  20. Diener Ed,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193, No.3, pp.542-575, 1984.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21. 전찬희, "인간의 존엄과 가치.행복추구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4, pp.317-326,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4.317
  22. 장영수,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의미와 실현구조," 고려법학, 제85호, pp.81-108, 2017.
  23.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16.
  24. 박선숙, "노인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의사결정트리모형을 이용하여," 사회과학연구, Vol.29, No.3, pp.39-57, 2018.
  25. 김명숙, 강문희, 김연옥,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2, pp.240-247,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240
  26. 이혜재, 허순임, "노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의 결정요인-가구유형을 중심으로,"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3, No.2, pp.85-108, 2017.
  27. 오승연, "고령자 주거실태와 주거정책방향," 고령화리뷰, Vol.6, pp.9-36, 2016.
  28. 정순둘, 김정근, 김현미, 양윤정, 전미애, 전용호, 김은주, 최성문, 독거노인의 안전하고 주도적인 삶을 지원하는 제2차 독거노인종합지원대책(2017-2021), 보건복지부, 2017.
  29. http://www.bclaws.ca/civix/document/id/complete/statreg/96405_01
  30. Rosch Daniel, Fountoulakis Christiana and Heck Christoph, Handbuch Kindes- und Erwachsenenschutz, Haupt, 2018.
  31. 한국후견.신탁연구센터, "원의사결정제도 도입을 위한 심포지엄 자료집," 2019(3).
  32. www.msf.gov.sg/opg/Pages/Home.aspx, 2019.5.20.
  33. http://uk.practicallaw.thomsonreuters.com, 2019.5.20.
  34. 이윤경, 강은나, 김세진, 변재관,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Aging in place)를 위한 장기요양제도 개편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