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Jeokbyeok-ga's Version by the Computer Analysis Technique of Bibliographies

컴퓨터 문헌 분석 기법을 활용한 <적벽가> 이본의 계통 분류 연구

  • 이진오 (금오공과대학교 교양교직과정부) ;
  • 김동건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 Received : 2019.03.15
  • Accepted : 2019.06.04
  • Published : 2019.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ystem of the Jeokbyeok-ga's version using the Computer analysis technique of bibliographies and to examine the achievements of the Jeokbyeok-ga's version studies. First,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analysis, a raw corpus was constructed for 46 species of Jeokbyeok-ga. Through this, the common narrative units of the Jeokbyeok-ga were identified as 5 layers, and thus 146 individual paragraphs could be extracted. Based on the encoded corpus, we tried to measure the similarit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Next, we applied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Cladistic analysis method of the system to confirm the distribution of versions group and it was possible to visually grasp the distance between versions and the system of the work. As a result of analyzing Computer analysis technique of bibliographies, it was found that version's group of the Jeokbyeok-ga was divided into a Wanpan(完板) series and Changbon(唱本) series. Also,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Pansori's traditions and transmission.

본 연구는 컴퓨터 문헌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적벽가> 전체 이본의 계통을 파악하는 한편, 기존 이본론의 연구 성과를 검토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우선 분석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적벽가>의 이본 중 46종을 선정하고 이를 대상으로 원시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서 <적벽가>의 공통 서사단위는 5개의 계층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146개의 개별 내용 단락을 추출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인코딩 된 코퍼스를 바탕으로 이본간의 유사도와 거리 측정을 시도하였는데, <적벽가>의 계통과 이본간의 거리를 시각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이후 다차원 척도법, 계층적 군집 분석, 계통의 분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이본군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컴퓨터 문헌 분석 기법을 종합하여 적용해보면 <적벽가>의 이본군은 완판 계열과 창본 계열로 양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기존의 논의보다 더 세밀한 계통 구분을 할 수 있었다. 또한 판소리의 유파와 전승에 따른 영향 관계도 검토할 수 있었다.

Keywords

CCTHCV_2019_v19n6_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적벽가> ‘정세 제시와 인물소개’ 단락의 원시 코퍼스

CCTHCV_2019_v19n6_1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적벽가> 내용 단락의 구조 분류

CCTHCV_2019_v19n6_1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이본별 내용 단락 유형 테이블

CCTHCV_2019_v19n6_1_f0004.png 이미지

그림 4. 단락 유형 차이에 따른 거리 행렬

CCTHCV_2019_v19n6_1_f0005.png 이미지

그림 5. 'EJUN01'과 여타 이본의 유사도

CCTHCV_2019_v19n6_1_f0006.png 이미지

그림 6. 다차원 척도법에 의한 거리 행렬 분석

CCTHCV_2019_v19n6_1_f0007.png 이미지

그림 7. <적벽가> 이본의 계층적 군집 분석

CCTHCV_2019_v19n6_1_f0008.png 이미지

그림 8. 계통의 분기 분석에 따른 <적벽가>의 이본 분포

표 1. 연구 대상 이본과 식별기호(ID) 목록

CCTHCV_2019_v19n6_1_t0001.png 이미지

표 2. <적벽가> 이본론에서의 계통 분류

CCTHCV_2019_v19n6_1_t0002.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한영, 신재효 판소리 사설집(全), 민중서관, p.25, 1971.
  2. 김흥규, 판소리의 이해, 창작과비평사, p.17, 1979.
  3. 김상훈, 적벽가의 이본과 형성 연구,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2-58, 1992.
  4. 김기형, 적벽가 연구, 민속원, pp.29-50, 2000.
  5. 이기형, 필사본 화용도 연구, 민속원, pp.93-128, 2003.
  6. 하명정, "코퍼스에 기반한 문학텍스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440-44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440
  7. 최원경, "초등영어교육 연구 논문의 변천: 코퍼스 기반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2호, pp.11-21,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2.011
  8. 김민정, 김철주,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숭례문 관련기사의 트렌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474-485,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474
  9. 최운호, 김동건, "컴퓨터를 이용한 고전문학 디지털콘텐츠의 유사도에 따른 이본 계통 분류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지, 제12권, 제7호, pp.27-38, 2003.
  10. 최운호, 김동건, "컴퓨터 문헌분석 기법을 활용한 <토끼전> 이본 연구," 우리문학연구, 제58집, pp.123-154, 2018.
  11. 김진영, 김현주, 이원걸, 안영훈, 김지연, 김태회, 이기형, 백미나, 차충환, 김동건, 서유석, 적벽가 전집 1-7, 박이정, 1998-2003.
  12. 신상민, 김은성, 최용석, "분할법에 의한 가상점을 활용한 다차원 척도법," 응용통계연구, 제28집, 제6호, p.1171, 2015. https://doi.org/10.5351/KJAS.2015.28.6.1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