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지역별 특성과 이동 기간 학습 기법을 활용한 장기 전력수요 예측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Long-Term Electricity Demand Forecasting Model using Sliding Period Learning and Characteristics of Major Districts

  • 공인택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 정다빈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 박상아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 송상화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 신광섭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투고 : 2019.07.28
  • 심사 : 2019.08.30
  • 발행 : 2019.08.30

초록

전력 에너지의 경우 발전 및 송전 과정을 거쳐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후에는 회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수요 예측에 기반한 최적 발전 및 송배전 계획이 필요하다. 전력 수요 예측의 실패는 2011년 9월에 발생한 대규모 정전사태와 같이 다양한 사회적·경제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전력 수요 예측 관련 기존 연구에서는 ARIMA, 신경망모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개발이 되었다. 하지만 전국 단위의 평균 외기온도를 사용한다는 점과, 계절성을 구분하기 위한 획일적 기준을 적용하는 한계점으로 인해 데이터의 왜곡이나 예측모형의 성능 저하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력 수요 예측 모형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전국을 5대 권역으로 구분하여 지역적 특성과 이동 기간 학습 기법을 통해 계절적 특성을 반영한 선형회귀모형과 신경망 모형의 장기적 전력 수요 예측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중장기부터 단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위의 수요 예측에 해당 모델을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기간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와 예외 상황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For power energy, optimal generation and distribution plans based on accurate demand forecasts are necessary because it is not recoverable after they have been delivered to users through powe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processes. Failure to predict power demand can cause various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such as a massive power outage in September 2011. In previous studies on forecasting power demand, ARIMA, neural network models, and other methods were developed. However, limitations such as the use of the national average ambient air temperature and the application of uniform criteria to distinguish seasonality are causing distortion of data or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predictive model.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ower demand prediction model, we divided Korea into five major regions, and the power demand prediction model of the linear regression model and the neural network model were developed, reflecting seasonal characteristics through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migration period learning techniques. With the proposed approach, it seems possible to forecast the future demand in short term as well as in long term. Also, it is possible to consider various events and exceptional cases during a certain period.

키워드

참고문헌

  1. Julian Perez-Garcia, Julian,M., "Analysis and long term forecasting of electricity demand trough a decomposition model: A case study for Spain". Energy , Vol.97, pp.127-143, 2016. https://doi.org/10.1016/j.energy.2015.11.055
  2. Zhan-iun Qiao, Fu-ling,L, Yong,L., "Mid-long-Term Regional Load Forecasting based on Census X12-SARIMA Model". Przeglad Elektrotechniczny, pp.224-227, 2013.
  3. 권세혁, 오현승., "AREA 활용 전력수요 단기 예측". 산업경영시스템학회, Vol.39, No.1, pp.25-30, 2016. https://doi.org/10.11627/jkise.2016.39.1.025
  4. 김한솔, 송현찬, 고석갑, 이병탁, 신종원., "RNN과 LSTM 기반 공휴일 정보를 고려한 단기 전력수요예측". 대한전자공학회 추계학술대회, pp.552-555, 2016.
  5. 김시연, 정현우, 박정도, 백승묵, 김우선, 전경희, 송경빈., "계절 ARIMA 모형을 이용한 104 주 주간 최대 전력수요예측". 조명.전기설비학회, Vol.28, No.1, pp.50-56, 2014.
  6. 백종관, 한정희., "한국지역난방공사의 겨울철 열수요 예측을 위한 선형회귀모형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 Vol.12, No.3, pp.1488-1494, 2011. https://doi.org/10.5762/KAIS.2011.12.3.1488
  7. 송경빈., "시간대별 기온을 이용한 전력수요예측 알고리즘 개발". 대한전기학회, Vol.63, No.4, pp.451-454, 2014.
  8. 송기범, 박진수, 김윤배, 정철우, 박찬민., "지역 난방을 위한 열 수요예측". 산업공학회, Vol.24, No.4, pp.373-378, 2011.
  9. 신동하, 김창복., "하계 전력수요 예측을 위한 딥러닝 입력 패턴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Vol.14, No.11, pp.127-134, 2016. https://doi.org/10.14801/jkiit.2016.14.11.127
  10. 안병훈, 최회련, 이홍철., "계절 ARIMA 모형을 이용한 국내 지역별 전력사용량 중장기수요예측". 한국산학기술학회지, Vol.16, No.12, pp.8576-8584, 2015.
  11. 오세신., "국내 집단에너지 공급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에너지경제연구원 수시연구보고서, pp.1-97, 2017.
  12. 유승형, 노재구, 김홍석., "심층신경망 기반 전력수요예측 모델에 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488-489, 2016.
  13. 이정순, 손흥구, 김삼용.,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일별 최대 전력 수요 예측 연구". 응용통계연구, Vol.26, No.2, pp.349-360, 2013. https://doi.org/10.5351/KJAS.2013.26.2.349
  14. 이근철, 한정희., "국내 일별 최대전력 수요예측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Vol.30, No.4, pp.1205-1218, 2017.
  15. 정상욱, 김삼용., "계절성과 온도를 고려한 일별 최대 전력 수요 예측 연구". 한국통계학회, Vol.27, No.5, pp.843-853, 2014.
  16. 정진우., "돌이켜본 '9.15 정전사태', 753만가구 정전.620억 피해, 중앙빌호 2012년 9월 10일.
  17. 한정희, 백종관., "요일 요인을 고려한 하절기 전력수요 예측". 한국산학기술학회, Vol.11, No.8, pp.2793-2800, 2010. https://doi.org/10.5762/KAIS.2010.11.8.2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