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linical Records of King Hyeonjong's Queen, Queen Myeongseong, Focusing on Cases Recorded in the Seungjeongwon Ilgi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承政院日記)

현종 비 명성왕후의 복약 기록 연구 - 『승정원일기』의 의안을 중심으로 -

  • Park, Jooyoung (Dep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Kug, Sooho (Dept.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Kim, Namil (Dep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Cha, Wungseok (Dep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박주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 국수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
  • 김남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 차웅석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Received : 2019.05.01
  • Accepted : 2019.05.27
  • Published : 2019.05.31

Abstract

Queen Myeongseong was the wife of King Hyeonjong, the 18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mother of King Sukjong. The clinical records of Queen Myeongseong are summarized on the basis of the Seungjeongwon Ilgi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承政院日記) and reviewed through Donguibogam. Queen Myeongseong gave birth to one male and three female children in the time of the queen. She took Geumgaedangguihwan (金櫃當歸丸), Dalsaengsan (達生散), Antaeum (安胎飮) during her pregnancy and Gungguitang (芎歸湯) during postnatal care. Since 1669, chest tightness, sleeplessness, arm pain and numbness of arms had been appeared. Ondamtang (溫膽湯) and Dodamtang (導痰湯) were used but they were not effective. However, when her symptoms were regarded as a benign tumor due to cold and wetnes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use of Ohjuksan (五積散). In 1683, when king Sukjong was caught in a smallpox, she took care of him. She exorcised in the middle of winter to pray for her son's recovery, and died of the flu.

Keywords

표 1. 『承政院日記』 효종 2년부터 숙종 9년까지의 검색어와 검색 건수

OSHSB8_2019_v32n1_11_t0001.png 이미지

표 2. 명성왕후가 세자빈 시절 복용했던 처방과 그 이유

OSHSB8_2019_v32n1_11_t0002.png 이미지

표 3. 명성왕후가 왕비 시절 복용했던 처방과 그 이유

OSHSB8_2019_v32n1_11_t0003.png 이미지

표 4. 명성왕후가 왕대비 시절 복용했던 처방과 그 이유

OSHSB8_2019_v32n1_11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承政院日記.
  2. 朝鮮王朝實錄.
  3. 東醫寶鑑.
  4. 고대원, 김동율, 김태우, 차웅석. 숙종의 두창에 관한 승정원일기의 의안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2;25(1):43-51. https://doi.org/10.15521/JKMH.2012.25.1.043
  5. 곽영롱. 혜경궁 홍씨의 임신 및 출산에 대한 의사학적 연구 : 승정원일기 내 용약 기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6. 김창석. 안태음 및 교애사물탕이 랫드의 모체와 태자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7. 신지혜. 조선 숙종대 왕실 상장례 설행 공간의 건축특성 : 빈전.산릉.혼전을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8. 윤헌중. 금원시대 및 명청시대의 부인과 질병사에 대한 연구.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9. 이남희. 조선후기 현종비 명성왕후 언간의 특성과 의미. 영주어문학회지. 2017;35:97-122.
  10. 이윤실, 한재경, 김윤희. 가감양격산이 RBL-2H3 비만세포와 OVA/alum에 감작된 생쥐에 미치는 항알레르기 효과.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12;26(4):10-23. https://doi.org/10.7778/jpkm.2012.26.4.010
  11. 이치웅. 동의보감 중 백작약과 적작약이 주약으로 배오된 방제의 활용에 대한 비교연구. 상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2. 이혜지. 17세기 청풍김씨 가문의 정치적 역할과 위상: 현종비 명성왕후 집안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3. 임준모. 온담탕 전탕액이 심장기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14. 한소연. 조선시대 왕후들의 언간 서체 특징 연구. 한국사상문화학회지. 2013;69(69):401-428.
  15. 한지희. 숙종 초 '홍수의 변'과 명성왕후 김씨의 정치적 역할. 고려사학회지. 2008;(31):145-176.
  16. 국사편찬위원회. 승정원일기(URL:http://sjw.history.go.kr).
  17.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URL:http://sillok.history.go.kr).
  18.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고전명저총서(URL:http://jisik.kiom.re.kr).
  19.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URL:http://db.itkc.or.kr).
  20.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URL:http://people.aks.ac.kr).

Cited by

  1. 조선 인목왕후의 진료 기록 연구 -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를 중심으로 - vol.32, pp.2, 2019, https://doi.org/10.15521/jkmh.2019.32.2.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