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Walk Score Application GUI in Smart Device for Improvement of User Convenience

사용자 편의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 단말에서의 워크스코어 어플리케이션 GUI 개발

  • 안동혁 (창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김은정 (계명대학교 도시학부 도시계획학전공)
  • Received : 2019.03.28
  • Accepted : 2019.04.22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walk score application GUI in a smart device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This study uses the walk score dataset of Seoul City developed in previous studies. Application GUI consists of five parts: address input window and search button, detail information (address, latitude, longitude, walk score), window switching and input window for a number of data, data input window, and menu button. For verifying application GUI, this study uses 12 locations (sets of address, latitude, longitude, and walk score) near Gangnam Station and Myungdong Station in Seoul in several scenarios. First, this study checks if the application has been implemented with address and keyword search options. Then, new data insertion and file output operations are evaluated. The applica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operated properly in all scenarios. This walk score application can be a useful device in our daily lives.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단말에서 워크스코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편의성 향상을 위한 GUI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 워크스코어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어플리케이션 GUI는 크게 다섯 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각 영역은 주소입력창 및 검색버튼, 상세정보(주소, 위도, 경도, 워크스코어) 출력, 화면전환 및 워크스코어 출력 개수 입력창, 데이터 입력창, 메뉴버튼 영역으로 구성된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GUI 검증을 위해 강남역과 명동역 인근의 총 12개의 데이터(주소, 위도, 경도, 워크스코어)와 여러 검증 시나리오들을 활용하였다. 먼저, 총 12개 지점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소검색과 키워드 검색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새로운 위치의 워크스코어를 입력 하고 해당 위치를 검색함으로써, 입력 및 검색이 정상적인지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총 13개의 데이터를 파일로 출력한 후 파일 내 데이터의 누락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워크스코어 어플리케이션은 이 모든 시나리오에서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워크스코어 어플리케이션은 일반 시민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요긴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태환, 김은정, 전혜선, 강미나, 김성수, 양진홍, "웰빙사회를 선도하는 건강도시 조성방안 연구(I): 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수립," 국토연구원, 1-317쪽, 2013
  2. Walk Score Methodology(2011), www.walkscore.com/professional/methodology.php. (accessed Jan., 10, 2019).
  3. Walk Score(2019), https://www.walkscore.com/ (accessed Mar., 15, 2019).
  4. 이효승, 오재철, "도어 안전고리 스마트 제어시스템 설계 및 구현,"스마트미디어저널, 제6권, 제1호, 62-67쪽, 2017년 3월
  5. 강현중, 이준욱, 강성수,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농업환경관리 지원 서비스,"스마트미디어저널, 제1권, 제1호, 46-51쪽, 2012년 3월
  6. 황정환, 여현, "유비쿼터스 축사 구현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개발,"스마트미디어저널, 제1권, 제1호, 57-61쪽, 2012년 3월
  7. J.R. Kuzmyak, C. Baber, and D. Savory, "Use of walk opportunities index to quantify local accessibility,"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1977, pp. 145-153, 2006. https://doi.org/10.1177/0361198106197700117
  8. L.D. Frank, J.F. Sallis, B.E. Saelens, L. Leary, K. Cain, T.L. Conway, and P.M. Hess, "The development of a walkability index: application to the neighborhood quality of life study,"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 44, pp. 924-933, 2010. https://doi.org/10.1136/bjsm.2009.058701
  9. S. Porta and J.L. Renne, "Linking urban design to sustainability: formal indicators of social urban sustainability field research in Perth, Western Australia," Urban Design International, vol. 10, pp. 51-64, 2005. https://doi.org/10.1057/palgrave.udi.9000136
  10. D.T. Duncan, J. Aldstadt, J. Whalen, S.J. Melly, and S.L. Gortmaker, "Validation of Walk Score for estimating neighborhood walkability: an analysis of four US metropolitan are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 8, pp. 4160-4179, 2011. https://doi.org/10.3390/ijerph8114160
  11. K. Manaugh and A. El-Geneidy, "Validating walkability indices: how do different households respond to the walkability of their neighborhood?,"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vol. 16, pp. 309-315. 2011. https://doi.org/10.1016/j.trd.2011.01.009
  12. M. Rayer, S. Fina, S. Siedentop, and W. Schlicht, "Walkability is only part of the story: walking for transportation in Stuttgart, German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 11, pp. 5849-5865. 2014. https://doi.org/10.3390/ijerph110605849
  13. 김은정, "건강친화적 도시조성을 위한 워크스코어 개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 8쪽, 서울, 대한민국, 2018년 4월.
  14. Naver Open API(2017). https://developers.naver.com/products/map (accessed Mar., 14, 2019).
  15.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Open API(2015), http://www.juso.go.kr/addrlink/main.do (accessed Mar., 14, 2019).
  16.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Open API(2015), http://www.juso.go.kr/addrlink/main.do (accessed Mar., 14, 2019).
  17. A. M. Lund, "Measuring usability with the USE questionnaire," STC Usability SIG Newsletter, vol. 8, no. 2, pp. 3-6,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