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alue of Tibiotalocalcaneal Arthrodesis Using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in Severe Hindfoot Deformity and Arthritis

심한 후족부 변형 및 경거종골간 관절염에서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경거종골 관절 유합술의 가치

  • Park, Jae-Gu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Daerim St. Mary's Hospital) ;
  • Chung, Hyung-Ji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
  • Bae, Su-You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
  • Lee, Jung-Hwa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
  • Kim, Hwi-You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
  • Lee, Jun Seo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 박재구 (대림성모병원 정형외과) ;
  • 정형진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정형외과) ;
  • 배서영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정형외과) ;
  • 이정환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정형외과) ;
  • 김휘영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정형외과) ;
  • 이준석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정형외과)
  • Received : 2018.02.01
  • Accepted : 2018.04.29
  • Published : 2019.04.3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of tibiotalocacalcaneal arthrodesis using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in a severe hindfoot deformity and ankle/subtalar arthriti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2 patients (22 cases) with a severe hindfoot deformity and arthritis underwent tibiotalocalcaneal arthrodesis with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s. The average age was 57.4 years (22-82 years) and the mean follow-up was 29.6 months (12-74 months). The radiological outcomes included an assessment of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ronal ankle alignment, hindfoot alignment, sagittal alignment, and postoperative union time. The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e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dividing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based on a 10° angle of deformity. Results: Regarding the preoperative coronal ankle alignment, 14 patients had a mean varus deformity of 17.8°±14.5° and six had a mean valgus deformity of 8.1°±6.6°. Postoperatively, a satisfactory postoperative coronal ankle alignment of less than 5° was obtained in all patients. Regarding the preoperative hindfoot alignment, 12 patients showed a mean varus deformity of 15.2°±10.5° and six had a mean valgus deformity of 8.1°±4.2°. In total, 94.4% (17 patients) had satisfactory postoperative hindfoot alignment of less than 5°. Radiological union was achieved in 90.9% at an average of 19.2 weeks (12-32 weeks) and there were 2 cases of nonunion. The clinical outcomes showed improvement in the mean VAS and AOFAS scores (p<0.001, p<0.001, respectively). Even a preoperative severe deformity more than 10° showed a significant deformity correction of coronal ankle alignment and hindfoot alignment, postoperatively (p<0.001, p<0.001,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patients with a preoperative coronal ankle deformity more than 10° and those less than 10° regarding the mean postoperative coronal ankle alignment (p=0.162). Conclusion: Tibiotalocalcaneal arthrodesis using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is an acceptable technique for achieving satisfactory deformity correction, high union rate with minimal complications, and improvement of the clinical outcomes. In addition, tibiotalocalcaneal arthrodesis using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is considered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particularly in severe ankle and hindfoot deformities.

목적: 심한 후족부 변형 및 족관절 및 거골하 관절염에서 역행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경거종골 관절 유합술을 시행하여 방사선적 결과와 임상적 결과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심한 후족부 변형이나 진행된 관절염으로 역행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경거종골 관절 유합술을 시행 받은 22명(22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의 평균 연령은 57.4세(22-82세), 평균 추시 기간은 29.6개월(12-74개월)이었다. 방사선적 평가로 수술 전후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 후족부 정렬각, 시상면상 정렬각을 측정하였으며, 술 후 골유합 시기를 평가하였다. 임상적 평가로 visual analogue scale (VAS),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점수 및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또한 변형각 10°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에서 평균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은 술 전 내반 변형을 보인 환자 14명에서 17.8°±14.5°였으며, 외반 변형을 보인 환자 6명에서 8.1°±6.6°였다. 술 후 모든 예에서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은 5° 미만으로 만족스럽게 교정되었다. 평균 후 족부 정렬각은 술 전 내반 변형을 보인 환자 12명에서 15.2°±10.5°였으며, 외반 변형을 보인 환자 6명에서 8.1°±4.2°였다. 술 후 94.4% (17명)에서 후족부 정렬각은 5° 미만으로 만족스럽게 교정되었다. 방사선적 골유합은 90.9%에서 평균 19.2주(12-32주)에 이루어졌으며, 2예의 불유합이 있었다. 임상적 결과에서 술 후 평균 VAS 및 AOFAS 점수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01, p<0.001). 술 전 변형각 10° 이상의 심한 변형을 보인 경우에도 술 후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과 후족부 정렬각은 의미있게 교정되었다(p<0.001, p<0.001). 또한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이 10° 이상인 군과 10° 미만인 군 사이에 술 후 평균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62). 결론: 역행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경거종골 관절 유합술은 만족스러운 변형 교정력, 높은 골유합률과 낮은 합병증을 보였으며, 임상적 결과의 향상을 보였기에 유용한 수술 방법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특히 심각한 족관절 및 후족부 변형을 동반한 환자에서도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