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등과학 수업에서 오조봇 코딩을 활용한 SW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W-STEAM Program by Utilizing Ozobot Coding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 투고 : 2019.04.09
  • 심사 : 2019.05.15
  • 발행 : 2019.05.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W-STEAM program by utilizing ozobot coding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The developed SW-STEAM program was applied to $5^{th}$ grade students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 cit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which is consisted of 22 students and a comparative group comprised 22 students. And they were engaged in differ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during 11 class hour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W-STEAM program, the comparative group was taught by using a traditional instruc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s. The SW-STEAM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ic science process skill, science learning motive, science achievement. Therefore, the SW-STEAM program by utilizing ozobot coding could be meaningful works to encourage students' basic science process skill, science learning motive and science achievement, and more studies on developing SW-STEAM program are needed.

키워드

Table 1. The contents of program to class for experimental group

CDRHBB_2019_v38n2_234_t0001.png 이미지

Table 2. The results of t-test on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CDRHBB_2019_v38n2_234_t0002.png 이미지

Table 3. The results of t-test on science learning motive

CDRHBB_2019_v38n2_234_t0005.png 이미지

Table 4. The results of t-test on science achievement

CDRHBB_2019_v38n2_234_t0006.png 이미지

참고문헌

  1.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교육과정 정책과.
  2.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3. 김동호(2016). 로봇 단원의 플립드 러닝 적용 수업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정혜(2009). 초등학교 고학년 과학수업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철(2011). 초등학교에서 로봇활용실험이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4), 625-634.
  6. 김태훈(2015).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래밍 중심 STEAM 교육 프로그램.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나원영(2016). 언플러그드 컴퓨팅을 활용한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3), 79-95.
  8. 문성환, 이승훈(2012). RoS 모델 적용을 통한 실과중심의 로봇활용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3), 287-314.
  9. 박정호, 한병래, 문찬규(2018). 초등소프트웨어교육의 이해와 실제. 서울: 휴먼싸이언스.
  10.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백윤수(2012). STEAM 교육의 구성 요소와 수업 설계를 위한 준거 틀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 533-557.
  11. 성세찬(2016). 3D프린팅과 로봇 관련 교육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과학적태도,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송정범(2010). STEM 통합교육을 위한 교실친화적 로봇교육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송호창(2013). 로봇을 활용한 객체지향프로그램 학습이 특성화고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심지현(2018). 논리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놀이 중심의 언플러그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오정임(2004). ARCS 모델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유현상, 이철현(2015). 학습부진아를위한 로봇활용STEAM 교육이 과학흥미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실과교육연구, 21(1), 17-33.
  17. 이영준, 김성식, 윤종국, 이기석, 김중복, 백성혜, 정웅열, 전수경, 서울(2018). SW.수학.과학 융합형 교수.학습자료 개발.보급.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18. 임소영(2017). 소집단 토의.토론 기반 STEAM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수업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정하나, 전영석(2014). 초등학교 "물체의 속력" 단원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느끼는 교수.학습곤란도 분석. 초등과학교육, 33(1), 172-180.
  20. 조상연, 오원근(2012). 고등학생들의 물리 영역에 대한 과학 학습 부진 시점과 원인. New Physics: Sae Mulli, 62(5), 445-453. https://doi.org/10.3938/NPSM.62.445
  21. 지인철(2013). 교과 중심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최영재, 이철현(2013). 실과 정보 영역의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실과교육연구, 19(2), 89-109.
  23. 최현호(2015). 소프트웨어 기반 STEAM 융합보드의 설계와 개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한국과학창의재단(2014). 초.중등 단계 Computational Thinking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1). 연구자료.
  25. 한정혜, 박주현, 조미현, 박일우, 김진모(2011). 초등정규 교육과정에서 STEAM을 위한 로봇활용교육.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3), 483-491.
  26. 홍정미(2015). 스크래치를 활용한 SW융합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ICT 소양과 SW 인식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홍지현(2017). 소프트웨어 수업백과. 상상박물관.
  28. CSTA (2011). CSTA Computer Science Standards Revised 2011, The CSTA Standards Task Force.
  29. DOL (2015).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occupations, Retrieved april 13, 2018 from: https://www.bls.gov/ooh/computer-and-information-technology/home.htm
  30. Keller, J. M. (1987). Development and use of the ARCS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10(3), 2-10. https://doi.org/10.1007/BF02905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