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Oral Myofunctional Exercise on the Oral Health in Masticatory Dysfunction

저작기능장애의 구강근기능훈련이 구강위생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9.03.28
  • Accepted : 2019.04.26
  • Published : 2019.05.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upon motivating them using oral facial program in 56 subjects including 29 members in the experiment group and 26 in the test group. With the collected data,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OHBI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p<0.05), mean values after the program with $9.57{\pm}1.44$ and $8.68{\pm}1.46$ points i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Mean QHI score in the experiment group was $1.00{\pm}.14$ points after the program while that in the test group was $1.03{\pm}.23$, demonstrating lower in the experiment group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scores of program satisfaction level were $4.13{\pm}.17$ and $3.94{\pm}.22$ points i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demonstra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using orofacial program show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dental plaque index and oral health behavior index. It is worth to use the oral facial exercise program as a tool for improving the authoring function and oral hygiene.

본 연구는 최종대상자는 56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29명, 대조군26명을 배정한 후, 실험군에게 구강안면프로그램을 교육하여 저작기능을 향상 시킴으로써 집단 간 구강위생 및 실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프로그램 효과분석은 프로그램 전-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군의 평균 사후 $9.57{\pm}1.44$점 이었고, 대조군은 사후 평균은 $8.68{\pm}1.46$점으로 실험군의 OHBI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p<0.05)으로 나타났다. 실험군의 QHI 점수는 평균 사후 $1.00{\pm}.14$점 이었고, 대조군은 사후 평균은 $1.03{\pm}.23$점으로 실험군의 QHI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실험군의 프로그램 만족도는 평균점수는 $4.13{\pm}.17$점 이었고 대조군은 $3.94{\pm}.2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구강안면프로그램을 이용한 구강보건교육의 효과는 집단 간 치면세균막 지수, 구강건강행동지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안면운동프로그램을 저작기능의 향상과 구강위생을 위한 도구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Keywords

CCTHCV_2019_v19n5_455_f0001.png 이미지

Fig. 1. Flow chart of this study

Table 1. Oral Facial Exercise

CCTHCV_2019_v19n5_455_t0001.png 이미지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CTHCV_2019_v19n5_455_t0002.png 이미지

Table 3.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OHBI and QHI Unit: Mean(SD)

CCTHCV_2019_v19n5_455_t0003.png 이미지

Table 4. Oral Facial Exercise Program Unit: Mean(SD)

CCTHCV_2019_v19n5_455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M. H. Choi, "A survey research on industrial workers oral examination status and oral health educational request level," J Korean Acad Dent Hyg Edu, Vol.10, No.1, pp.185-195, 2010.
  2. 이용승,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저작 효율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 김다혜, 황수정, "일부 노인의 저작강도별 음식섭취능력과 잔존치아수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과학회, 제16권, 제1호, pp.53-61, 2016.
  4. 김경원, 이경수, 강복수, 김우식, 이희경, "임플란트 시술환자의 시술 전.후의 저작능력과 삶의 질 비교," 대한치과보철학회지, 제47권, pp.215-221, 2009. https://doi.org/10.4047/jkap.2009.47.2.215
  5. 이용승, 변영섭, 최종훈, 안형준,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저작 효율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 대한구강내과학회지, 제35권, 제2호, pp.135-147, 2010.
  6. G. D. Slade and A. J. Spencer, "Developmentand evaluat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Health, Vol.11, No.1, pp.3-11, 1994.
  7. 박정란, 이연경, 손화경, 홍민희, "임상치위생관리과정수행 전후에 따른 구강위생상태 비교," 제14권, 제1호, pp.25-32, 2014.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1.25
  8. 김지현, 김혜영, "구강자가관리프로그램이 노인의 구강건조증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9권, 제3호, pp.382-393, 2018. https://doi.org/10.12799/jkachn.2018.29.3.382
  9. Y. A. B. Buunk-Werkhoven, A. Dijkstra, and C. P. van der Schans, "Determinants of oral hygiene behavior: a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Community Dent Oral Epi, Vol.39, No.3, pp.250-259, 2011. https://doi.org/10.1111/j.1600-0528.2010.00589.x
  10. K. H. Bea, H. D. Kim, S. H. Jung, D. Y. Park, J. B. Kim, D. I. Paik, and S. C. Chung,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the oralhealth impactprofile among the Korean elderly,"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35, pp.73-79, 2007. https://doi.org/10.1111/j.1600-0528.2007.00331.x
  11. G. A. Quigley and J. W. Hein, "Comparative cleansing efficiency of manual and power brushing," J Amer Dent Ass, Vol.65, No.1, pp.26-29, 1962.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1962.0184
  12. S. Turesky, N. D. Gilmore, and I. Glickman, "Reduced plaque formation by the chloromethyl analogue of victamine C," J Periodontol, Vol.41, No.1, pp.41-43, 1970. https://doi.org/10.1902/jop.1970.41.41.41
  13. N. P. Solomon, H. M. Clark, M. J. Makashay, and L. A. Newman, "Assessment of orofacial strength in patients with dysarthria. Journal of Medical Speech-Language Pathology," Vol.16, No.4, pp.251-258, 2008.
  14. 송영진, 이한석, 정원미, 박성종, 박은정, 양경희, 홍재란, 삼킴장애, 서울, 한국, 계축문화사, 2007.
  15. 원영식, 이순현, 김계호, 문종훈, "PNF 구강안면 운동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교대운동속도와 연속운동에 미치는 효과,"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제16권, 제3호, pp.475-484, 2018.
  16. S. H. Choi, J. S. Kim, J. Y. Cha, K. J. Lee, H. S. Yu, and C. J. Hwang, "Subjective food intake ability related to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health," J Oral Rehabil, Vol.43, No.9, pp.670-677, 2016. https://doi.org/10.1111/joor.12412
  17. 박수철, 정명희, 최성미, "대구소재 한 노인병원 입원환자들의 구강상태와 저작능력에 관한연구," 대한치과기공학회지, 제33권, 제3호, pp.237-246, 2011. https://doi.org/10.14347/KADT.2011.33.3.237
  18. 최마이, 노희진, 한선영, 문소정, "노인의 인지기능과 구강건강상태가 저작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9권, 제1호, pp.65-79, 2019. https://doi.org/10.13065/jksdh.20190003
  19. H. R. Kim, D. Y. Kim, and D. H. Moon, "Comparison of Knowledge, Cognition and Practice Level on Oral Health Care of The Clients Visiting Dental Clinic in Pusa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2, No.4, pp.647-654,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4.647
  20. 김진, 정문희, 우희선, "s대학 치위생과 실습실에 내원한 환자의 치아우식상태와 구강위생관리능력 구강건강행위 실태," 치위생과학회지, 제9권, 제1호, pp.145-151,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