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방자치단체 유형별 혁신 브랜드과제 분석과 시사점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Innovative Brand Tasks by Local Government Type

  • 투고 : 2019.02.19
  • 심사 : 2019.04.09
  • 발행 : 2019.05.28

초록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혁신정책을 브랜드과제를 통해 유형화하여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자치단체 브랜드과제 844개를 대상으로 지방자치단체 8개 유형별로 브랜드과제의 정책분야를 분류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전체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보았을 때 사회적경제/지역경제 분야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치단체 유형별로 중점을 두고 있는 정책분야가 상이하다. 셋째, 혁신정책의 선정에는 지역의 특수성이 반영되고 있다. 넷째, 브랜드과제의 유형별로 중점을 두는 자치단체가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이론적 배경에서 제시한 지방자치단체 유형론의 이론적 적실성을 확인시켜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혁신정책의 필요, 지역특성에 맞는 혁신정책의 수립, 우수 혁신정책의 전파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typified and analyzed local governments' innovation policy through brand task and provided policy implications. A total of 844 local governments' brand task were used to classify the policy fields of the brand task by eight types of local government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social economy/local economy was the highest in all local government.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olicy fields that are focused by local governments. Third, the selection of innovation policy reflects the specificity of the region. Fourth, local government focusing on the type of brand task were differentiated. Therefore, these results confirm the theoretical relevance of the typology of local government suggest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the necessity of innovation policy for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establishment of innovation policy in accordance with local characteristics, and propagation of excellent innovation policy.

키워드

CCTHCV_2019_v19n5_128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자치단체 유형별 브랜드 과제 비율(%)

표 1. 지방자치단체 혁신 브랜드과제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5_128_t0001.png 이미지

표 2. 연구결과 요약

CCTHCV_2019_v19n5_128_t0002.png 이미지

표 3. 정책적 시사점

CCTHCV_2019_v19n5_128_t0003.png 이미지

참고문헌

  1. M. Harris and R. Kinney, Innovation and Entreprenuership in State and Local Governments, New York: Lexington Books, 2003.
  2. 이종수, "한국 지방정부의 혁신에 관한 실증분석: 혁신패턴, 정책행위자 및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38권, 제5호, pp.241-258, 2004.
  3. 행정자치부, 지방행정혁신 표준매뉴얼, 2006.
  4. D. Osborne and T. Gaebler, Reinventing Government: How the Entrepreneurial Spirit is transforming the Public Sector, Boston: Addison Wesley, 1992.
  5. 소진광, "새마을운동을 통한 한국 지방행정의 혁신," 지방행정연구, 제28권, 제4호, pp.3-38, 2014.
  6. 정부혁신위원회 외, 2005년도 정부혁신관리 기본계획, 2005.
  7. 박응격, 지방자치론, 서울: 신조사, 2011.
  8. 행정안전부, 자치분권 로드맵, 2017.
  9. 이희태, "지방행정혁신에 대한 공무원의 수용성 분석," 한국행정논집, 제18권, 제2호, pp.425-445, 2006.
  10. R. Walker, "Innovation Type and Diffusion: An Empirical Analysis of Local Government," Public Administration, Vol.84, No.2, pp.311-335, 2006. https://doi.org/10.1111/j.1467-9299.2006.00004.x
  11. 김도희, "지방정부 행정혁신 추진실태 분석의 정책적함의: 울산광역시 남구의 행정혁신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12권, 제3호, pp.33-54, 2008.
  12. 이승종, "지방자치와 지방정부의 복지정책정향," 한국행정학보, 제34권, 제4호, pp.197-215, 2001.
  13. 유재원, "단체장 민선이후 자치단체의 정책변화: Peterson의 도시한계론 검증," 한국정책학회보, 제8권, 제3호, pp.79-98, 1999.
  14. 강윤호, "지방자치와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정책정향: 시.군.구 자치구간 비교분석," 한국행정학보, 제34권, 제1호, pp.213-227, 2000.
  15.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자치단체 조직진단.분석, 행정안전부 용역보고서, 각년도.
  16. 김용진, 김도영,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지방자치단체 정책이슈 도출 방법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0호, pp.229-235,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0.229
  17. 이성진, "지방정부 혁신의 영향요인 -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3권, 제1호, pp.25-44, 2001.
  18. 이향수, 이성훈, "지방정부 정책콘텐츠와 주민만족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206-21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206
  19. 장은주, 김병준, 조규영, "지방자치단체의 기능별 공무원 정원관리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제8권, 제3호, pp.257-275,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