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 자치단체 유형별 브랜드 과제 비율(%)
표 1. 지방자치단체 혁신 브랜드과제 분석결과
표 2. 연구결과 요약
표 3.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 M. Harris and R. Kinney, Innovation and Entreprenuership in State and Local Governments, New York: Lexington Books, 2003.
- 이종수, "한국 지방정부의 혁신에 관한 실증분석: 혁신패턴, 정책행위자 및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38권, 제5호, pp.241-258, 2004.
- 행정자치부, 지방행정혁신 표준매뉴얼, 2006.
- D. Osborne and T. Gaebler, Reinventing Government: How the Entrepreneurial Spirit is transforming the Public Sector, Boston: Addison Wesley, 1992.
- 소진광, "새마을운동을 통한 한국 지방행정의 혁신," 지방행정연구, 제28권, 제4호, pp.3-38, 2014.
- 정부혁신위원회 외, 2005년도 정부혁신관리 기본계획, 2005.
- 박응격, 지방자치론, 서울: 신조사, 2011.
- 행정안전부, 자치분권 로드맵, 2017.
- 이희태, "지방행정혁신에 대한 공무원의 수용성 분석," 한국행정논집, 제18권, 제2호, pp.425-445, 2006.
- R. Walker, "Innovation Type and Diffusion: An Empirical Analysis of Local Government," Public Administration, Vol.84, No.2, pp.311-335, 2006. https://doi.org/10.1111/j.1467-9299.2006.00004.x
- 김도희, "지방정부 행정혁신 추진실태 분석의 정책적함의: 울산광역시 남구의 행정혁신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12권, 제3호, pp.33-54, 2008.
- 이승종, "지방자치와 지방정부의 복지정책정향," 한국행정학보, 제34권, 제4호, pp.197-215, 2001.
- 유재원, "단체장 민선이후 자치단체의 정책변화: Peterson의 도시한계론 검증," 한국정책학회보, 제8권, 제3호, pp.79-98, 1999.
- 강윤호, "지방자치와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정책정향: 시.군.구 자치구간 비교분석," 한국행정학보, 제34권, 제1호, pp.213-227, 2000.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자치단체 조직진단.분석, 행정안전부 용역보고서, 각년도.
- 김용진, 김도영,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지방자치단체 정책이슈 도출 방법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0호, pp.229-235,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0.229
- 이성진, "지방정부 혁신의 영향요인 -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3권, 제1호, pp.25-44, 2001.
- 이향수, 이성훈, "지방정부 정책콘텐츠와 주민만족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206-21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206
- 장은주, 김병준, 조규영, "지방자치단체의 기능별 공무원 정원관리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제8권, 제3호, pp.257-275,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