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Trends and Topics of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in Korea

플립드러닝에 관한 국내 연구의 일반 현황 및 주제 분석

  • Received : 2019.02.15
  • Accepted : 2019.04.10
  • Published : 2019.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trends and trends of the researchin on flipped learning (FL) in Korea. To accomplish this, a total of 680 papers were selected by using the RISS academic paper search function, and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basic bibliographic information provided by RISS and the coding schemes derived from the process of analysis. The data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thesis, method of research, subject of study, academic field of study, topic of research. As a result, the first academic article related to FL appeared in 2013. After the year, FL research has been increased rapidly in various fields. In terms of purpose of study, introduction of FL, basic discussion, exploratory application, and deepening and expansion of the discussion have gradually developed. Now that the challenge of quantitative growth has been fully achieved, it is proposed to examine and consolidat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FL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수행된 플립드러닝 관련 연구의 현황과 동향을 정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RISS의 학술 논문 검색 기능을 활용하여 총 680 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수집, 선정하였고, RISS에서 제공하는 기본 서지 정보와 분석 과정에서 도출한 분류 유목을 기반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유목은 논문 성격, 연구 방법, 연구 대상, 학문 분야, 연구 주제, 논문 주제어 분류로 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에 학술논문형식으로 플립드러닝이 다루어진 것은 2013년부터다. 이후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학문 분야, 논의 주제, 관련 변인 등에 있어서도 다양하게 확산되어 나갔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목적이나 주제 측면에서도, 플립드러닝의 소개와 기초 논의, 탐색적 적용, 심화 및 확장의 순으로 점차 발전해 왔다. 양적 성장의 과제가 충분히 달성된 지금, 플립드러닝 연구의 이론적 기초와 토대를 점검하고 공고히 할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CCTHCV_2019_v19n5_7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플립드러닝 논문 수 연도별 추이

표 1. 논문 분류를 위한 내용 분석 유목

CCTHCV_2019_v19n5_74_t0001.png 이미지

표 2. 연도별 플립드러닝 관련 논문 게재 현황

CCTHCV_2019_v19n5_74_t0002.png 이미지

표 3. 학문 분야별 현황

CCTHCV_2019_v19n5_74_t0003.png 이미지

표 4. 연구 대상별 현황

CCTHCV_2019_v19n5_74_t0004.png 이미지

표 5. 연구방법별 현황

CCTHCV_2019_v19n5_74_t0005.png 이미지

표 6. 연구 주제별 현황

CCTHCV_2019_v19n5_74_t0006.png 이미지

표 7. 주제어 유목별 분석

CCTHCV_2019_v19n5_74_t0007.png 이미지

References

  1. J. O. N. Bergmann and A. Sams, "FLIPPED LEARNING: Maximizing Face Time," T+D, Vol.68, No.2, pp.28-31, 2014.
  2. 박양주, "플립러닝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이론적 탐색: 대화주의 관점에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8권, 제1호, pp.173-179, 2017. https://doi.org/10.15207/JKCS.2017.8.1.173
  3. 이민경 외, 플립러닝 이해와 실제, 교육과학사, 2016.
  4. 이동엽,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1권, 제12호, pp.83-92, 2013.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2.83
  5. 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765898.html
  6. 류승오, 김은하, "수업혁신을 위한 '배움중심의 거꾸로 수업' 개념 논의," 교육문제연구, 제20권, 제1호, pp.67-80, 2014.
  7. 권오남, 배영곤, "Flipped classroom의 과제와 전망: "수학 및 연습2"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수학교육 학술대회, 2014.
  8. 박명숙, 허선, "기본간호학 교과목에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임종간호 수업사례," 한국간호교육학회 학술대회, 2015.
  9. 임정훈,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탐색: 사례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32권, 제1호, pp.165-199, 2016.
  10. 임규연, 진명화, 김시원, 조일현, "플립러닝에서 자기결정성 요인 협력지향성 인지적 실재감 인지된 성취도의 관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2권, 제3호, pp.439-462, 2016.
  11. 이민경, "거꾸로교실이 학습자중심 역량교육에 주는 함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14호, pp.153-173, 2017.
  12. 박성열, 임걸, "'The Flipped Learning'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Hybrid Instructional Model,"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9권, 제1호, pp.1-11, 2014.
  13. 최상호, 김대상, 김동중, "모바일 장치를 활용한 거꾸로 수업의 적용 가능성 탐색," 중등교육연구, 제64권, 제2호, pp.451-480, 2016.
  14. 안형준, "K-MOOC를 이용한 프로젝트형 플립드러닝,"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p.1626, 2017.
  15. 고민석, "Flipped Learning을 위해 제작한 과학 학습 동영상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이 사용한 시각화 구성전략 탐색 -지구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35권, 제2호, pp.231-245,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2.0231
  16. 허해자, 전보애, "A Study on the Effects of Mobile-based LMS on Flipped Learning: Focused on the Affective Pathwa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oftware Engineering and Its Applications, Vol.10, No.12, pp.473-484, 2016. https://doi.org/10.14257/ijseia.2016.10.12.39
  17. 육진경, "학습자 중심 수업이 비판적 사고 전략 향상에 미치는 영향 :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을 기반으로," 한국융합인문학, 제4권, 제1호, pp.55-72, 2016.
  18. 이희숙, 김창석, 허서정, "전통적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의 언어 상호작용 비교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113-126, 2015.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1.113
  19. 주길홍, "효율적인 플립트러닝을 위한 e-PBL 교수학습모형 연구,"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제3권, 제1호, pp.47-53, 2015.
  20. 임정훈, 김상홍,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이 학업성취도, 협업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교육공학연구, 제32권, 제4호, pp.809-836, 2016.
  21. 송해성, 서숙영, "프로젝트형 거꾸로 교실이 예비 영어교사들의 정의적 태도 및 메타인지 학습전략에 미치는 효과," 영어어문교육, 제22권, 제2호, pp.167-192, 2016.
  22. 이종옥, 김인근, "역량기반 교육모델 관점의 플립수업 성과에 관한 연구," 중등교육연구, 제63권, 제4호, pp.505-538, 2015.
  23. 전영미, 조진숙, "대학에서의 플립트러닝 수업사례를 통해 본 학습자의 수업참여에 관한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3권, 제3호, pp.499-521,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