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序論
『食療纂要』는 조선시대 御醫었던 全循義가 1460년에 일상적으로 먹는 음식을 각종 질병에 활용한 처방들을 모아 45門으로 정리하여 완성한 책이다. 全循義는 『食醫心鑑』, 『食療本草』, 『補闕食療』, 『大全本草』,『鄕藥集成方』, 『醫方類聚』 등의 서적을 활용하여 食治 전문서적을 출판했고, 그 서문에서 식품으로 치료하는 것을 우선하고, 식품으로 치료가 되지 않으면 약으로 치료한다는 방침을 내세웠다.1) 이는 五穀, 五肉, 五果, 五菜 등 신선한 식재료를 활용하여 食治함의 중요성을 일깨운 것이다. 『素問·五常政大論』에서 “大毒治病, 十去其六, 常毒治病, 十去其七, 小毒治病, 十去其八, 無毒治病, 十去其九. 穀肉果菜, 食養盡之, 無使過之. 傷其正也.”2)라고 하고, 『素問·藏氣法時論』에서 “毒藥攻邪, 五穀爲養, 五果爲助, 五畜爲益, 五菜爲充, 氣味合而服之, 以補精益氣.”3)라고 하여 평소 우리가 일상적으로 먹는 穀肉果菜 음식물의 중요성을 말한 바 있다. 『食療纂要』는 없어진 책으로 간주되어 왔었으나4), 辛承云이 『食療纂要』의 서로 다른 판본을 발굴하여 학술논문을 발표하고5), 이어서 金鍾德이 『食療纂要』 책을 번역6)하면서 『食療纂要』의 食治와 관련된 논문들이 양산되었다. 기존 연구 중 서지학적인 연구7), 닭고기·돼지고기 등의 肉類·五穀·五菜·魚類 등 식재료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8), 消渴·咳嗽·脾胃病·風病·大便不通 등 질환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9), 太陽人 식품을 중심으로 한 사상의학과의 연관성을 고찰한 연구10) 등이 있었으나, 이 중 疾患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는 內科 위주로 연구가 이루어졌고, 『食療纂要』에서 피부과 질환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外科나 皮膚科 질환 등 밖으로 드러나는 질병과 관련된 연구는 全無하였다. 또한 食治方의 활용이 무슨 병에는 무슨 식재료를 쓴다라고 通治方式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문제점을 느끼고 피부과 질환을 중심으로 응용된 식재료의 性味主治와 피부과 질환의 辨證論治를 살펴 둘 간의 상관성을 좀 더 엄밀하게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저자는 『食療纂要』에 나타난 피부과 질환 관련 조문을 선별하고, 피부과 질환 각각에 대해 中醫 外科學 책과 관련논문을 통해 病症의 개요와 辨證論治 등을 기재하였으며, 『本草綱目』에서 찾은 食治에 쓰인 식재료의 性味와 主治를 통해 각 질환별로 어떤 證에 해당 식재료를 쓰는 것이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Ⅱ. 本論
『食療纂要』는 諸風, 傷寒 등 外感 질환, 心腹痛, 咳嗽, 脾胃, 黃疸, 脹滿, 積聚 등 內傷 질환, 眼目, 耳鼻, 咽喉 등 眼耳鼻咽喉科 관련 질환, 諸瘡癤, 癰疽, 癭瘤 등 皮膚科 질환, 婦人諸疾, 妊娠諸病, 産後諸病 등 부인과 질환, 小兒諸病, 驚癎 등 소아과 질환의 총 45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논자는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은 『食療纂要』 내의 피부과 질환의 食治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食療纂要』 내의 피부과 질환이 아니라 外科 질환이라고 하면 그 포괄하는 범위가 더 넓어진다. 『漢方外科學·皮膚科學』에는 漢方外科의 정의에 대해 “피부표면에 나타난 腫瘍이나 內部장기 및 조직에 나타난 腫瘍 一切를 말하는 것으로서 약물요법이나 절개 수술이나를 막론하고 치료나 처치에는 관계가 없이 外科라 칭한다.”11)라고 하면서 신체 각 부위의 癰疽, 瘡傷, 皮膚疾患 등을 다루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밖으로 드러난 피부과 질환으로 한정하여 다루고자 한다. 따라서 『食療纂要』 내에서 다루고 있는 癰疽門에 딸린 肺癰, 墜墮損傷, 狂犬傷, 諸蟲傷, 肛門 질환인 痔疾 등을 제외하였다. 『食療纂要』 45門에 딸린 조문들을 살펴본 결과 피부과 질환은 癧瘍風(=紫白癲風), 頭浮風(=白屑風), 諸瘡(頭瘡 포함), 熱瘡(熱病熱毒發瘡頭面及身 포함), 癰腫膿血, 丹毒, 發背, 乳發, 瘤病, 癭氣(五癭, 癭 포함), 瘰癧 등이 있었으며, 『食療纂要』의 조문, 각 질환의 개요, 辨證論治, 각 질환에 쓰인 식재료, 식재료의 性味와 主治, 식재료의 조리법 및 복용법, 고찰 등은 다음과 같다.
1. 癧瘍風(=紫白癜風)
【原文】1-5 治癧瘍風, 可長服之, 鰻鯉魚和五味, 以米煮食之, 兼治一切風疾.
【譯文】癧瘍風을 치료하는데, 가히 오랫동안 복용할 수 있다. 鰻鯉魚를 酸苦甘辛鹹의 다섯 가지 맛으로 양념한 뒤 쌀을 넣어서 삶아 먹는다. 일체의 風疾도 겸하여 치료한다.12)
【개요】癧瘍風은 紫白癜風이라고도 하며, 皮疹의 형태가 紫斑 혹은 白斑이 교차하는 花斑이 나타나 花斑癬이라고도 하고, 땀이 날 때 斑點이 뚜렷하게 나타나므로 汗斑이라고도 한다. 특징은 胸背피부위에 발생하는 자색과 백색이 서로 간섭하는 皮疹으로 땀이 많으면 쉽게 만연하고, 긁으면 대체로 皮屑이 있으며, 경미한 소양감이 있다. 本病은 성인 남성에게서 다발하며, 여름에 가중되고, 겨울에는 숨어서 나타나지 않는다. 胸背에 好發하여 어떤 때는 頸, 項, 頜, 頰, 腋窩, 小腹 등 땀이 많이 나는 곳에 만연할 수가 있다13).
【辨證論治】일반적으로 內治를 필요로 하지 않고, 外治를 위주로 한다. 완고한 환자에 대하여 祛風化濕, 殺蟲止痒하여 치료하는데, 처방은 防風通聖丸을 가감하여 쓴다14).
【식재료】鰻鱺魚
【性味主治】甘平有毒, 殺諸蟲, 治五痔瘡瘻, 惡瘡, 女人陰瘡蟲癢, 傳尸疰氣勞損, 暖腰膝, 起陽. 療濕脚氣腰腎間濕風痺. 治小兒疳勞蟲心痛, 婦人帶下. 療一切風瘙如蟲行15).
【조리법 및 복용법】뱀장어를 酸苦甘辛鹹의 다섯 가지 맛으로 양념한 뒤 쌀을 넣어서 삶아 먹는다.
【고찰】癧瘍風은 紫白癲風으로 熱體에 風濕이 침습하여 風濕熱邪가 皮膚腠理에 울체되어 氣血이 凝滯되어 이루어지거나 혹은 땀에 젖은 옷이 몸에 착 달라붙었는데 다시 햇빛을 쬐어 暑濕의 邪氣가 毛竅에 응체되어서 이루어지거나 혹은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어서 생기는데, 鰻鱺魚를 식재료로 써서 長服하여 이를 관리해나갈 수 있다. 鰻鱺魚는 有毒하여 殺蟲함으로써 陰瘡, 痔瘡, 惡瘡 등 각종 瘡症을 다스리며, 甘平하여 補益함으로써 勞瘵를 다스리고, 起陽, 暖腰膝하며, 祛風化濕하여 濕脚氣나 腰腎間濕風痺를 다스릴 수 있다. 熱體에 風濕이 外襲하여 風濕熱證을 이룬 癧瘍風을 식재료가 아니라 처방을 써서 치료할 경우에는 防風通聖散을 쓴다. 鰻鱺魚가 분명히 防風通聖散을 대체할 수는 없다. 다만 癧瘍風이 있는 사람이 長服하여 風濕을 평상시 식이요법을 통해 관리함으로써 癧瘍風이 일어나지 않게 治未病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鰻鱺魚 한 가지만을 써서 요리하지 않고, 酸苦甘辛鹹의 五味로 양념을 한 뒤에 쌀을 넣어서 鰻鱺魚粥을 만들어 쓰는데, 이는 쌀의 性味가 甘苦平無毒하여 補中益氣하며 和胃氣하므로 鰻鱺魚의 毒을 어느 정도 감쇄시키기 위함이라고 생각한다.
2. 頭浮風(=白屑風)
【原文】1-13 滑腸胃, 行風氣, 通血脈, 去頭浮風, 潤肌, 白油麻, 食後生噉一合, 終身不輟, 又葉搗和漿水, 絞去滓沐髮, 去風潤髮.
【譯文】腸胃를 매끄럽게 하고, 風氣를 행하게 하며, 血脈을 통하게 하고, 頭浮風을 없애며, 肌肉을 자윤할 적에는 흰 참깨를 식후에 생으로 1홉씩 먹는데, 죽을 때까지 계속해서 먹는다. 또한 잎은 좁쌀죽 윗물과 함께 찧어서 짠 뒤에 찌꺼기를 제거하고, 머리를 감으면 風을 없애고, 모발을 윤기 있게 한다16).
【개요】頭浮風(=白屑風)은 일종의 皮膚瘙痒, 油膩潮紅 혹은 白屑을 일으키는 만성피부염증성 질환이다17).
【辨證論治】
1) 濕熱蘊結證 : 濕熱蘊結證은 皮脂過多, 皮膚潮紅, 鱗屑油膩, 或見糜爛, 滲液, 結痂, 劇烈瘙痒하고, 心煩口苦, 小便短赤, 舌質紅, 苔黃膩, 脈滑數 등을 동반할 수 있고, 지루성피부염에서 많이 나타난다. 치료는 마땅히 淸熱利濕通腑를 위주로 한다. 茵陳蒿湯을 加味해서 쓴다.
2) 風熱血燥證 : 乾性皮脂溢出症에서 많이 나타난다. 患病日久, 鱗屑乾性 혹 略帶油膩性, 皮膚乾燥, 或見浸潤肥厚, 瘙痒明顯, 혹 毛髮乾枯脫落, 舌紅少苔, 脈弦細 등을 동반한다. 치료는 마땅히 養血祛風潤燥를 위주로 한다. 二至丸에 當歸飮子를 합하여 加減해서 쓴다18).
【식재료】白油麻
【性味主治】甘大寒無毒, 治虛勞, 滑腸胃, 行風氣, 通血脈. 去頭上浮風, 潤肌肉19).
【조리법 및 복용법】흰참깨를 식후에 생으로 1홉씩 먹는데, 죽을 때까지 계속해서 먹는다.
【고찰】頭浮風은 皮膚瘙痒과 油膩潮紅 혹은 白屑을 일으키는 만성피부염증성 질환으로 식후에 어떤 요리를 하지 않고 생으로 1홉씩 죽을 때까지 먹어 관리할 수 있다. 頭浮風은 辨證이 濕熱蘊結證과 風熱血燥證으로 나눠지는데, 白油麻의 性味가 甘大寒無毒하고 主治가 治虛勞, 滑腸胃, 行風氣, 通血脈. 去頭上浮風, 潤肌肉하는 것으로 보아 風熱血燥證의 頭浮風을 식이요법으로 관리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3. 諸瘡(頭瘡 포함)
【原文】34-1 治諸瘡, 鰻鱺魚和五味, 以米煮食之. 44-8 治小兒頭瘡, 白鴨一隻, 去毛腸湯洗, 饙飯半斤, 以飯薑椒, 釀鴨腹中, 縫定如法, 蒸候熟食之.
【譯文】여러 가지 부스럼증을 치료할 적에 鰻鯉魚를 酸苦甘辛鹹의 다섯 가지 맛으로 양념한 뒤 쌀을 넣어서 삶아 먹는다20).
소아의 머리에 있는 부스럼을 치료할 적에는 흰 오리 1마리를 털과 내장을 제거하여 뜨거운 물로 씻고, 고두밥 반근을 준비하여 생강과 산초를 오리 뱃속에서 버무려 넣고 평상시 하던 방법과 같이 꿰매어 쪄서 익기를 기다린 뒤에 먹인다21).
【개요】瘡瘍은 각종 致病因素가 인체를 침습한 뒤에 일어나는 체표화농성 질환이다22).
【辨證論治】
1) 瘡瘍 初期(消法) : 氣血凝滯/ 活血行氣, 淸熱祛風解毒, 活血化癖, 消腫定痛.
2) 瘡瘍 中期(托法) : 膿腫已成/透膿去腐.
3) 瘡瘍 後期(補法) : 膿腫切開, 氣血兩虛/提膿去腐, 益氣養血, 生肌收口23).
【식재료】鰻鱺魚, 白鴨肉
【鰻鱺魚의 性味主治】甘平有毒, 殺諸蟲, 治五痔瘡瘻, 惡瘡, 女人陰瘡蟲癢, 傳尸疰氣勞損, 暖腰膝, 起陽. 療濕脚氣腰腎間濕風痺. 常如水洗, 以五味煮食, 甚補益. 患諸瘡癧瘍風人, 宜長食之. 治小兒疳勞蟲心痛, 婦人帶下. 療一切風瘙如蟲行24).
【白鴨肉의 性味主治】甘冷微毒, 補虛除客熱, 和臟腑, 利水道, 療小兒驚癎, 解丹毒, 止熱痢, 去卒然煩熱25).
【조리법 및 복용법】鰻鯉魚를 酸苦甘辛鹹의 다섯 가지 맛으로 양념한 뒤 쌀을 넣어서 삶아 먹는다.
흰 오리 1마리를 털과 내장을 제거하여 뜨거운 물로 씻고, 고두밥 반근을 준비하여 생강과 산초를 오리뱃속에서 버무려 넣고 평상시 하던 방법과 같이 꿰매어 쪄서 익기를 기다린 뒤에 먹인다.
【고찰】諸瘡은 각종 致病因素가 인체를 침습한 뒤에 일어나는 체표화농성 질환으로 『食療纂要』에서는 鰻鱺魚와 白鴨肉을 食治에 응용하였다. 鰻鱺魚는 氣味가 甘平有毒하여 五痔와 瘡瘻를 主治하며, 諸蟲을 죽이고, 傳尸疰氣勞損을 치료하고, 五味에 양념하여 삶아 먹으면 補益하는 작용이 있어 瘡瘻癧瘍風을 앓고 있는 사람은 오래도록 먹어야 한다고 했는데, 이로써 미루어 보면 鰻鱺魚는 諸瘡의 辨證論治 중 瘡瘍 後期에 쓰는 補法에 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鰻鱺魚는 뱀장어목 뱀장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鰻鱺魚의 성장과정을 보면 장어류 가운데 유일하게 바다에서 태어나 강으로 올라가 생활하는 回流性 어류이고, 여름철 자양강장 음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26), 諸瘡에 補益하는 효능이 있는 鰻鱺魚를 쓴 것은 瘡瘍의 後期에 膿腫이 터진 후에 새살의 성장을 촉진하고, 氣血을 補益하여 瘡口를 수렴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鰻鱺魚 한 가지만을 써서 요리하지 않고, 酸苦甘辛鹹의 五味로 양념을 한 뒤에 쌀을 넣어서 鰻鱺魚粥을 만들어 쓰는데, 이는 쌀의 性味가 甘苦平無毒하여 補中益氣하며 和胃氣하므로 뱀장어의 毒을 어느 정도 감쇄시키기 위함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小兒頭瘡은 어린 아이들의 머리에 생기는 부스럼증인데, 이를 白鴨肉을 써서 다스릴 수 있다. 白鴨肉은 性味가 甘冷微毒하여 補虛除客熱,和臟腑, 解丹毒하는데 鰻鱺魚와 마찬가지로 諸瘡의 辨證論治 중 瘡瘍 後期에 써서 膿腫이 터진 후 새살을 빨리 돋아나게 하고, 氣血을 補益하여 瘡口를 수렴하기 위한 補法에 쓰인 것으로 판단된다.
4. 熱瘡(熱病熱毒發瘡頭面及身 포함)
【原文】14-8 治熱病熱毒發瘡, 頭面及身, 須臾周匝, 狀如火瘡, 皆帶瘭漿, 或沒或生, 葵菜爛煮, 以蒜虀同食之卽止.
34-2 主身上諸小熱瘡, 野鴨多食則差, 治如食法.
【譯文】熱病과 熱毒으로 부스럼이 머리와 얼굴과 몸에 나고, 잠시 후에 화상처럼 온 몸에 퍼져나가는데 모두 근이 있는 종기에 漿液이 있어 혹 없어졌다가 생겼다가 하는 것을 치료할 적에는 아욱을 문드러지도록 삶고, 마늘에 버무려서 함께 먹으면 즉시 멈춘다27).
몸에 난 여러 가지 작은 크기의 熱瘡을 주치하려면 들오리를 많이 먹으면 차도가 있는데, 평상시 요리법대로 하여 치료한다28).
【개요】熱瘡은 發熱後나 혹은 熱病의 과정 중에 피부 점막의 교차점에 출현하는 급성 疱疹性 피부병이다29).
【辨證論治】
1) 風熱外襲證 : 피부의 손상이 口角, 입술 둘레, 콧구멍 혹은 양쪽 뺨 등에 다발하고, 灼熱感과 刺痛을 자각하며, 皮疹은 丘疹을 위주로 하고, 口乾, 心煩, 大便結한, 小便黃, 舌質紅, 苔薄黃, 脈弦滑數을 동반한다. 치료는 마땅히 疏風淸熱, 化濕解毒해야한다. 처방은 辛荑淸肺飮을 가감하여 쓴다.
2) 濕熱下注證 : 외생식기에 많이 나타나며, 小便紅赤, 大便秘結, 舌質紅, 苔黃膩, 脈滑數이 수반된다. 치료는 마땅히 淸熱利濕해야 한다. 처방은 龍膽瀉肝湯을 가감하여 쓴다.
3) 脾胃積熱證 : 얼굴이나 뺨 등에서 많이 나타나며, 반복해서 발작한다. 胃納의 차질, 大便乾結, 唇赤, 舌紅, 苔黃膩, 脈洪數 등이 수반된다. 치료는 마땅히 淸瀉脾胃積熱해야 한다. 처방은 竹葉石膏湯을 가감하여 쓴다.
4) 陰虛內熱證 : 병정이 비교적 길며, 皮疹이 반복해서 발작하고, 병을 질질 끄는 시일이 오래될수록 낫기가 어렵고, 咽乾, 唇燥, 口渴引飮, 心煩, 舌絳, 脈細數 등이 수반된다. 치료는 마땅히 滋陰淸熱해야 한다. 처방은 知柏地黃湯을 가감하여 쓴다30).
【식재료】葵菜, 野鴨肉
【葵菜의 性味主治】甘寒滑無毒, 宜脾, 利胃氣, 滑大腸, 宣導積滯, 利小腸, 治時行黄病. 治金瘡出血, 除客熱, 治惡瘡, 散膿血, 女人帶下, 小兒熱毒下痢丹毒, 潤燥利竅31).
【野鴨肉의 性味主治】甘凉無毒, 補中益氣, 平胃消食, 除十二種蟲. 治身上有諸小熱瘡. 治熱毒風及惡瘡癤, 殺腹臟一切蟲, 治水腫32).
【조리법 및 복용법】아욱을 문드러지도록 삶고, 마늘에 버무려서 함께 먹는다.
들오리를 많이 먹으면 차도가 있는데 평상시 요리법(물을 넣고 끓여 湯의 형태로 복용)대로 하여 치료한다.
【고찰】熱瘡은 發熱後나 혹은 熱病의 과정 중에 피부 점막의 교차점에 출현하는 급성 疱疹性 피부병으로 『食療纂要』에서는 葵菜와 野鴨肉을 써서 치료했다. 葵菜의 性味는 甘寒滑無毒하여 宜脾利胃氣하며 滑利大小腸하여 宣導積滯하고, 除客熱하고 散膿血하여 治惡瘡, 小兒熱毒下痢丹毒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熱瘡의 辨證論治 중 脾胃積熱證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野鴨肉은 甘凉無毒하여 補中益氣, 平胃消食, 除十二種蟲. 治身上有諸小熱瘡. 治熱毒風及惡瘡癤, 殺腹臟一切蟲, 治水腫한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熱瘡의 辨證論治 중 脾胃積熱證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 癰腫膿血
【原文】35-4 排癰腫膿血, 赤小豆作粥, 如常法, 投蜜食之.
【譯文】癰腫과 膿血을 없애려면 팥죽을 평소 요리하던 방법대로 해서 꿀을 넣어서 먹는다33).
【개요】癰은 옹체된 것으로 氣血이 毒邪에 의해 壅塞되어 통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外癰은 皮肉 사이에 발생하는 급성화농성 질환으로 그 특징은 局部光軟無頭, 紅腫疼痛, 發病迅速, 易腫, 易膿, 易潰, 易斂하고, 근골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癰의 발생은 정해진 곳이 없어서 어느 곳에서든 발생할 수 있다34).
【辨證論治】
1) 濕熱壅盛證 : 紅腫灼熱脹痛, 腫勢彌漫, 邊界不淸, 日漸增大, 身熱不揚, 口乾不欲飮, 肢體酸痛, 舌紅苔黃膩, 脈滑하다. 치료는 淸熱利濕하고 消腫散結해야 하니, 萆薢滲濕湯을 가감하여 쓴다.
2) 氣鬱化火證 : 來勢較緩, 漸漸腫大, 皮色漸紅, 腫脹疼痛, 心煩脇痛, 失眠易怒, 口苦咽乾, 舌質紅苔薄黃, 脈弦數하다. 치료는 마땅히 淸肝理氣하고 散結消腫해야 하니, 柴胡淸肝湯을 가감하여 쓴다.
3) 氣血兩虛證 : 患病日久腫塊中心部變軟欲潰, 或潰膿淸稀量多, 瘡口收斂遲緩, 患肢活動不便, 頭暈眼花, 神疲乏力, 少氣懶言, 舌質淡少苔, 脈弱하다. 치료는 補益氣血하고, 托瘡生肌한다35).
【식재료】赤小豆
【赤小豆의 性味主治】甘酸平無毒, 下水腫, 排癰腫膿血, 療寒熱熱中消渴, 止泄痢, 利小便, 下腹脹滿, 吐逆卒澼, 消熱毒, 散惡血, 除煩滿, 通氣, 健脾胃, 塗一切熱毒癰腫. 縮氣行風, 堅筋骨, 抽肌肉. 久食瘦人, 散氣, 去關節煩熱, 辟瘟疫, 治產難, 下胞衣, 通乳汁. 利水消腫36).
【조리법 및 복용법】팥죽을 평소 요리하던 방법대로 해서 꿀을 넣어서 먹는다.
【고찰】癰은 氣血이 毒邪에 의해 壅塞되어 통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皮肉 사이에 발생하는 급성화농성 질환으로, 『食療纂要』에서는 赤小豆로 죽을 만들어 꿀을 넣어 먹었다. 癰의 辨證論治는 濕熱壅盛證, 氣鬱化火證, 氣血兩虛證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赤小豆의 性味는 甘酸平無毒하여 下水腫, 排癰腫膿血, 利小便, 下腹脹滿, 利水消腫하는 것으로 보아 濕熱壅盛證에 食療로 응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6. 丹毒
【原文】34-3 治丹毒, 牡蠣肉, 薑醋中, 生食之. 34-4 去丹毒, 白雄雞肉, 治如食法食之. 34-5 治丹37)毒煩熱風疹, 亦主消腫下氣壓熱, 菉豆生硏汁服, 亦煮食之.
【譯文】丹毒을 치료할 적에는 굴에 생강과 식초를 넣어 날로 먹는다38).
丹毒을 없애려면 흰 수탉 고기를 평상시 요리하던 방법대로 해서 먹어 치료한다39).
丹毒과 煩熱과 風疹을 치료하고, 또한 종기를 없애고 氣를 아래로 내리며 열을 누르려면 菉豆를 날로 갈아서 즙을 먹는다. 또한 삶아서도 먹는다40).
【개요】丹毒은 일종의 피부가 돌연 붉게 되고, 색이 빨간 물감을 칠하여 염색한 듯하며, 신속하게 퍼지는 급성 염증이다. 두면에 발생하는 것은 抱頭火丹이라고 하고, 구간에 발생하는 것을 內發丹毒이라고 하며, 넓적다리에 발생하는 것을 腿游風, 流火라고 하고, 신생아 단독을 赤游丹毒이라고 한다41).
【辨證論治】
1) 抱頭火丹 : 頭面에 발생하는 단독으로 面丹毒이라고도 한다.
(1) 風熱化火證 : 鼻額 부위가 紅腫한 것이 顔面에 이어져 焮赤腫痛하고, 頭部에까지 이어지면 腫大如斗하고, 口唇外翻하고, 壯熱氣急, 口乾唇燥, 咽喉不利, 不能進食, 舌紅, 苔黃燥, 脈洪數을 동반한다. 마땅히 散風淸火解毒한다. 普濟消毒飮을 가감하여 쓴다.
(2) 毒邪內攻證 : 紅腫이 신속하게 퍼지고, 두 눈의 腫이 심하여, 눈을 뜰 수가 없고, 겸하여 壯熱不退, 神昏譫語, 煩躁不安, 惡心嘔吐, 頭身疼痛, 小便黃赤, 大便秘結이 나타나고, 舌紅絳, 苔黃燥, 脈洪數하다. 마땅히 凉血解毒한다. 淸瘟敗毒飮을 가감하여 쓴다.
2) 流火 : 流火는 下肢에 발생하는 丹毒으로 丹毒病 중에 비교적 많이 발생하는 유형이다.
(!) 濕熱化火證 : 發于下肢脛足, 患肢潮紅焮熱, 痛如火燎, 表面光亮, 伴惡寒發熱, 身倦乏力, 納呆, 舌質紅, 苔黃膩, 脈弦數하다. 마땅히 利濕淸熱解毒해야 한다. 처방은 五神湯에 萆薢勝濕湯을 합쳐 가감하여 쓴다.
(2) 丹毒內陷證 : 皮損漫腫暗紅或紫瘀, 全身高熱, 口渴, 煩躁, 甚或斑疹隱隱, 吐血衄血, 舌質紅絳, 苔黃, 脈數하다. 마땅히 淸熱凉血解毒해야 한다. 처방은 淸營湯에 黃連解毒湯을 합쳐 가감하여 쓴다42).
【식재료】牡蠣肉, 白雄雞肉, 菉豆
【牡蠣肉의 性味主治】甘溫無毒. 治虛損, 調中, 解丹毒, 治丹毒, 酒後煩熱, 止渴, 細肌膚, 美顔色43).
【白雄雞肉의 性味主治】酸微溫, 無毒. 藏器曰∶ 甘寒. 下氣, 療狂邪, 安五臟, 傷中消渴. 調中除邪, 利小便, 去丹毒44).
【菉豆의 性味主治】甘寒無毒, 藏器曰∶用之宜連皮,去皮則令人小壅氣, 蓋皮寒而肉平也. 煮食, 消腫下氣, 壓熱解毒. 生研絞汁服, 治丹毒煩熱風疹, 藥石發動, 熱氣奔豚. 治寒熱熱中, 止泄痢卒澼, 利小便脹滿. 厚腸胃. 作枕明目, 治頭風頭痛. 除吐逆. 補益元氣, 和調五臟, 安精神, 行十二經脈, 去浮風, 潤皮膚, 止消渴. 解一切藥草牛馬金石諸毒. 治痘毒, 利腫脹45).
【조리법 및 복용법】굴에 생강과 식초를 넣어 날로 먹는다.
흰 수탉 고기를 평상시 요리하던 방법대로 해서 먹어 치료한다.
菉豆를 날로 갈아서 즙을 먹는다. 또한 삶아서도 먹는다.
【고찰】丹毒은 일종의 피부가 돌연 붉게 되고, 색이 빨간 물감을 칠하여 염색한 듯하며, 신속하게 퍼지는 급성 염증으로 『食療纂要』에서는 牡蠣肉을 생강과 식초를 넣어서 먹거나, 白雄雞肉을 요리해서 먹거나, 녹두를 갈아서 그 즙을 복용하거나 삶아서 먹었다. 丹毒의 辨證論治는 風熱化火證, 毒邪內攻證, 濕熱化火證, 丹毒內陷證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牡蠣肉의 性味는 甘溫無毒하고, 主治는 治虛損, 調中, 解丹毒, 治丹毒, 酒後煩熱, 止渴, 細肌膚, 美顔色하는 것으로 보아 丹毒內陷證에 食療로 응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白雄雞肉의 性味는 酸微溫無毒하거나 甘寒하여 下氣, 療狂邪, 安五臟, 傷中消渴. 調中除邪, 利小便, 去丹毒하는 것으로 보아 丹毒內陷證에 食療로 응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菉豆의 性味는 甘寒無毒하고, 主治는 消腫下氣, 壓熱解毒. 治丹毒煩熱風疹, 藥石發動, 熱氣奔豚. 治頭風頭痛. 去浮風하는 것으로 보아 風熱化火證에 食療로 응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7. 發背
【原文】35-1 治癰疽發背, 或發乳房, 母猪蹄兩隻切, 通草剉六分, 綿裹和煮作羹食之.
35-2 治發背, 菘菜取汁一升, 日再服, 以差爲度
【譯文】癰疽가 등에 발생했거나 乳房에 발생한 것을 치료할 적에는 어미 돼지 발굽 2개와 通草 6푼을 자른 다음 면으로 함께 싸서 삶아 국으로 만들어 먹는다46).
등에 종기가 난 것을 치료할 적에는 배추에서 즙을 1되 취하여 하루에 두 번 복용한다. 차도가 있을 때까지 복용한다47).
【개요】有頭疽가 脊背 정중앙에 발생하는 것으로, 發疽라고도 한다. 上發背, 中發背, 下發背의 구분이 있으며, 모두 督脈經이 주관하는 부위에 속한다48).
【辨證論治】
1) 正盛邪實證
(1) 風熱凝結證 : 초기에 많이 출현하는데, 피부에 좁쌀알 모양의 膿頭가 있어서 腫硬疼痛하며, 灼熱하고, 혹은 麻痒感이 있으며, 惡寒發熱, 頭痛, 骨節酸痛, 舌苔薄白, 脈數을 동반한다. 치료는 마땅히 疏風淸熱하고 和營消腫해야 하니, 仙方活命飮을 가감하여 쓴다.
(2) 濕熱蘊阻證 : 腫痛이 비교적 심하고, 범위가 확대되어 있으며, 瘡面이 점차적으로 腐爛되어 형태는 蜂窩와 같고, 膿이 나오는 것이 稠黃하고, 壯熱, 口渴, 尿黃熱, 胸悶, 嘔惡, 舌紅苔黃膩, 脈滑數 등을 동반한다. 치료는 마땅히 淸熱利濕하고 托毒消腫해야 하니, 加味芩連湯을 쓴다.
2) 正虛邪實證
(1) 陰虛毒熱證 : 국부의 腫勢가 平塌이고, 根盤은 산만하며, 피부색은 紫滯하고, 膿腐難化하며, 궤란된 후에 膿水가 희소하거나 혹은 血水를 띄고 있고, 동통이 극렬하다. 高熱, 唇燥口乾, 食欲不振, 大便秘結, 小便短赤, 舌紅苔黃, 脈細數 등을 동반한다. 치료는 마땅히 養陰淸熱解毒해야 하니, 竹葉黃芪湯을 가감하여 쓴다.
(2) 氣血兩虛證 : 노인에게 일반적으로 나타나며, 瘡形은 平塌이고, 色澤은 어두우며, 腐肉은 벗겨지기 어렵고, 膿水는 稀薄하며, 顔色은 灰綠色이고, 肉芽는 灰白色이며, 身熱不高, 面色蒼白, 舌質淡紅, 脈細無力 등을 동반한다. 치료는 마땅히 補益氣血하고 解毒消腫하니, 早期에는 仙方活命飮을 가감하여 쓰고, 潰膿期에 毒滯難化한 경우에는 托裏消毒散을 가감하여 쓰고, 收口期에는 八珍湯이나 人參養榮湯을 쓴다49).
【식재료】母猪蹄(+通草), 菘菜
【母猪蹄의 性味主治】甘鹹小寒無毒. 煮汁服, 下乳汁, 解百藥毒, 洗傷撻諸敗瘡. 滑肌膚, 去寒熱. 煮羹, 通乳脈, 托癰疽, 壓丹石. 煮清汁, 洗癰疽, 漬熱毒, 消毒氣, 去惡肉50).
【菘菜의 性味主治】甘溫無毒, 大明曰凉微毒, 通利腸胃, 除胸中煩, 解酒渴, 消食下氣, 治瘴氣, 止熱氣嗽. 和中, 利大小便.”51)
【조리법 및 복용법】어미 돼지 발굽 2개와 通草 6푼을 자른 다음 면으로 함께 싸서 삶아서 국으로 만들어서 먹는다.
배추에서 즙을 1되 취하여 하루에 두 번 복용한다. 차도가 있을 때까지 복용한다.
【고찰】發背는 有頭疽가 脊背 정중앙에 발생하는 것으로, 위치의 高下에 따라 上發背, 中發背, 下發背로 나뉘는데 『食療纂要』에서는 母猪蹄를 通草와 함께 삶아 국으로 만들어 먹거나 菘菜의 즙을 1되 취하여 차도가 있을 때까지 복용했다. 發背의 辨證論治는 正氣의 虛實에 따라 달라져 正氣가 盛할 경우에는 風熱凝結證, 濕熱蘊阻證으로 나누어 치료하고, 正氣가 虛할 경우에는 陰虛毒熱證, 氣血兩虛證으로 나누어 치료하는데, 母猪蹄의 性味가 甘鹹小寒無毒하고 主治가 下乳汁, 解百藥毒, 洗傷撻諸敗瘡. 滑肌膚, 通乳脈하는 것으로 보아 氣血兩虛證에 食療로 응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菘菜의 性味는 甘溫無毒하거나 凉微毒하여 通利腸胃, 除胸中煩, 解酒渴, 消食下氣, 治瘴氣, 止熱氣嗽. 和中, 利大小便하는데 風熱凝結證에 食療로 응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8. 乳發
【原文】35-1 治癰疽發背, 或發乳房, 母猪蹄兩隻切, 通草剉六分, 綿裹和煮作羹食之.
【譯文】癰疽가 등에 발생했거나 乳房에 발생한 것을 치료할 적에는 어미 돼지 발굽 2개와 通草 6푼을 자른 다음 면으로 함께 싸서 삶아 국으로 만들어 먹는다52).
【개요】乳發은 乳房의 肌膚 사이에 발생하는 것으로 쉽게 썩어 문드러지고 괴사되는 화농성 질병이다. 임상에서 비교적 적게 보이고, 哺乳期 여성이나 평상시에 위생에 주의하지 않은 여성에게 다발한다. 그 특징은 병변 범위가 乳癰에 비교하여 크고, 국부적으로 焮紅과 漫腫과 疼痛이 있으며 신속하게 괴사되어 궤란되면 흉하고, 병증이 엄중할 때에는 熱毒이 內攻할 수 있다53).
【辨證論治】
1) 肝胃濕火證 : 乳房부위의 피부가 焮紅漫腫하고, 모공이 깊게 함몰되어 있으며, 동통이 극렬하고, 惡寒發熱, 骨節酸楚, 不思飮食, 大便乾結, 小便短赤이 동반되고, 舌質紅, 苔黃, 脈數하다. 초기에는 淸熱瀉火, 利濕解毒이 마땅하니, 龍膽瀉肝湯을 가감하여 選用한다.
2) 火毒熾盛證 : 乳房부위의 피부가 濕爛하고, 신속하게 흑색을 띄면서 궤란되고 썩으며, 동통이 가중된다. 壯熱口渴이 동반되고, 舌質紅, 苔黃膩, 脈弦數하다. 成膿期에는 淸熱瀉火와 凉血托毒이 마땅하니, 龍膽瀉肝湯에 穿山甲, 皂角刺를 더하여 選用한다. 火毒內攻할 경우에는 凉血解毒開竅하는 것이 마땅하니, 犀角地黃湯에 黃連解毒湯을 합하여 選用한다.
3) 正虛邪衰證 : 瘡面의 腐肉이 漸脫하고, 膿水가 희박하며, 肌肉의 색이 회백색이고, 날이 오래되어도 수렴되지 않는다. 神疲乏力, 面色無華가 동반되고, 舌質淡紅, 苔薄白, 脈細하다. 潰爛된 후에는 調補氣血하고 生肌收口가 마땅하니, 八珍湯을 가감하여 選用한다54).
【식재료】母猪蹄(+通草)
【母猪蹄의 性味主治】甘鹹小寒無毒. 煮汁服, 下乳汁, 解百藥毒, 洗傷撻諸敗瘡. 滑肌膚, 去寒熱. 煮羹, 通乳脈, 托癰疽, 壓丹石. 煮清汁, 洗癰疽, 漬熱毒, 消毒氣, 去惡肉55).
【조리법 및 복용법】어미 돼지 발굽 2개와 通草 6푼을 자른 다음 면으로 함께 싸서 삶아서 국으로 만들어서 먹는다.
【고찰】乳發은 乳房의 肌膚 사이에 발생하는 것으로 쉽게 썩어 문드러지고 괴사되는 화농성 질병으로 『食療纂要』에서는 母猪蹄를 通草와 함께 삶아 국으로 만들어 먹어 食治했다. 乳發의 辨證論治는 肝胃濕火證, 火毒熾盛證, 正虛邪衰證으로 나누어 치료하는데, 母猪蹄의 性味가 甘鹹小寒無毒하고 主治가 下乳汁, 通乳脈, 托癰疽, 壓丹石. 洗癰疽, 漬熱毒, 消毒氣, 去惡肉하는 것으로 보아 火毒熾盛證에 食療로 응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9. 瘤病
【原文】36-1 治瘤病, 獐鹿二種肉, 剖如厚脯, 炙令熱, 榻掩. 可四炙四易痛攪出膿便愈, 不除 更炙新肉, 良.
【譯文】瘤病을 치료할 적에는 노루와 사슴 두 종류의 고기를 두터운 포의 형태로 썰어 구워 뜨겁게 한 뒤에 瘤病이 난 곳에 덮어준다. 네 번 굽고 네 번 바꿔가면서 덮어 통증이 날 정도로 짜서 고름이 나오면 곧 낫는데, 병증이 제거되지 않으면 다시 새 고기를 구워서 쓰면 좋다56).
【개요】瘤는 기본적으로 體表의 腫瘤이고, 留滯되었다는 의미가 있으며, 軟組織腫瘤와 骨腫瘤를 포괄한다. 氣瘤, 肉瘤, 血瘤, 筋瘤, 骨瘤 등이 있다57).
【辨證論治】
1) 腎氣不足證 : 腫塊質硬, 無痛, 增長緩慢, 局部皮溫低, 顔色暗淡, 色褐或灰黑. 舌苔薄白, 舌質淡紅, 脈沈細或細弱. 치료는 마땅히 溫腎益氣, 散寒化毒한다. 처방은 二仙湯 혹은 右歸丸에 萬靈丹을 합하여 가감해서 쓴다.
2) 肝脾鬱結證 : 腫塊質靭, 酸脹痛, 隨喜怒而腫塊大小消長, 活動度較差, 腫塊質地柔軟, 邊界不淸, 無自覺痛, 舌苔黃微膩, 舌質紅, 脈弦或弦滑. 치료는 마땅히 疏肝理脾, 化痰散結한다. 처방은 通氣散堅丸이나 順氣歸脾丸을 쓴다. 혹은 逍遙散에 二陳湯을 합쳐서 가감하여 쓴다.
3) 氣血瘀滯證 : 腫塊堅硬如石, 表面高低不平, 推之不活動, 腫塊表皮血管怒張, 疼痛, 舌苔黃, 舌質紅有瘀斑, 脈弦澁. 치료는 마땅히 活血化瘀, 解毒散結한다. 처방은 活血散瘀湯을 가감하여 쓴다
4) 淤毒化熱證 : 腫塊上皮膚萎縮變薄, 輕度灼熱, 紅斑, 水腫, 潰瘍, 極易出血. 치료는 마땅히 凉血活血, 淸熱解毒한다. 처방은 芩連二母丸 혹은 犀角地黃湯에 五味消毒飮을 합쳐서 쓴다58).
【식재료】獐肉, 鹿肉
【獐肉의 性味主治】甘溫無毒, 補益五臟59).
【鹿肉의 性味主治】甘溫無毒, 補中, 益氣力, 強五臟. 生者療中風口僻, 割片薄之. 補虛羸瘦弱, 調血脈. 養血生容, 治產後風虛邪僻60).
【조리법 및 복용법】노루와 사슴 두 종류의 고기를 두터운 포의 형태로 썰어 구워 뜨겁게 한 뒤에 瘤病이 난 곳에 덮어준다. 네 번 굽고 네 번 바꿔가면서 덮어 통증이 날 정도로 짜서 고름이 나오면 곧 낫는다. 병증이 제거되지 않으면 다시 새 고기를 구워서 쓰면 좋다.
【고찰】瘤는 기본적으로 體表의 腫瘤이고, 留滯되었다는 의미가 있으며, 軟組織腫瘤와 骨腫瘤를 포괄하는데, 『食療纂要』에서는 노루와 사슴 두 종류의 고기를 두터운 포의 형태로 썰어 구워 뜨겁게 한 뒤에 瘤病이 난 곳에 덮어주기를 네 번 정도 하면서 고름이 나오게 하여 낫게 하는 外治法을 썼다. 瘤病은 腎氣不足證, 肝脾鬱結證, 氣血瘀滯證, 淤毒化熱證 등으로 나누어 辨證論治할 수 있는데, 獐肉의 性味가 甘溫無毒하고 主治가 補益五臟하며, 鹿肉의 性味 역시 甘溫無毒하고, 主治는 補中, 益氣力, 強五臟., 補虛羸瘦弱, 調血脈. 養血生容하는 것으로 보아 腎氣不足證에 外治法으로 응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10. 癭氣(五癭, 癭 포함)
【原文】36-2 治石氣筋血肉等五癭, 昆布二兩, 洗切如指大, 醋漬, 含咽汁盡愈.
36-3 治癭氣神驗, 小麥一升, 醋一升, 浸一夜曝乾, 海藻昆布三兩, 幷洗去鹹, 乾末, 每服酒飮調下二錢, 日三, 以差爲度.
36-4 治頸下卒結囊欲成癭, 海藻一斤, 酒二升, 漬數日, 稍稍飮之. 又治頷下瘰癧.
【譯文】石癭, 氣癭, 筋癭, 血廮, 肉癭 등의 五癭을 치료할 적에는 다시마 2냥을 씻어서 손가락크기로 자른 뒤에 식초에 담갔다가 목구멍에 머금어 즙을 빨아먹으면 낫는다61).
癭氣를 치료함에 있어서 신묘한 효험을 보려면 밀 1되를 식초 1되에 하룻밤동안 담가 두었다가 햇빛에 쬐어 말린다. 해조와 다시마 3냥을 함께 씻어서 짠맛을 없애준 뒤에 건조시켜 분말로 만들고 매번 하루에 세 번 2돈씩 술에 타서 복용하는데, 차도가 있을 때까지를 한도로 삼는다62).
목 아래쪽에 갑자기 맺힌 낭포가 癭이 되려고 하는 것을 치료할 적에는 해조 1근을 술 2되에 며칠 동안 담가 조금씩 마신다. 또한 턱밑의 瘰癧도 치료한다63).
【개요】癭氣는 목앞의 癭囊이 彌漫性으로 腫脹되거나 혹은 腫硬結塊하는 것으로 이러한 腫脹과 腫塊는 연하운동에 따라서 위아래로 이동한다. 환자는 消穀善飢, 易怒, 易出汗, 眼球突出 등의 전신증상을 수반할 수 있다. 甲狀腺機能亢進症에 해당한다64).
【辨證論治】
1) 肝鬱火旺證 : 情志不舒, 脇肋脹痛, 乳房脹, 痛經, 怕熱, 多汗, 皮膚熱, 頸胸部皮膚潮紅, 性情急躁, 眼球突出이 나타난다. 舌苔黃, 舌質紅, 脈弦數하다. 만약 心火旺을 겸하였다면 心悸, 失眠, 多汗하고, 胃火를 겸하였다면 口渴引飮, 消穀善飢하다. 이 證은 젊고 건장한 환자나 혹은 本病의 早期에 많이 나타난다. 치료는 마땅히 疏肝解鬱하고 瀉火養陰한다. 처방은 龍膽瀉肝湯에 一貫煎을 합하여 쓴다.
2) 陰虛陽亢證 : 消瘦乏力, 腰膝酸軟, 耳鳴目澀, 月經稀少或閉經, 舌紅少苔, 脈細數이 나타난다. 만약 肝腎心 三臟의 陰液이 모두 虛하면 虛陽上亢, 虛火上炎이 나타날 수 있고, 顔面紅潮, 五心煩熱, 骨蒸勞熱, 心煩不寐, 或 舌手震顫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치료는 마땅히 滋陰潛陽하고 平肝息風해야 한다. 처방은 羚角鉤藤湯을 가감하여 쓴다.
3) 心脾氣虛證 : 乏力, 食欲不振, 自汗, 浮腫, 便溏, 心悸, 氣促, 易于感受風寒, 舌苔薄白, 脈緩無力이 나타난다. 치료는 마땅히 補益心脾해야 한다. 처방은 歸脾湯을 가감하여 쓴다65).
【식재료】昆布, 小麥, 海藻
【昆布의 性味主治】鹹寒滑無毒, 治十二種水腫, 癭瘤聚結氣, 瘻瘡. 破積聚. 治陰㿉腫, 利水道, 去面腫, 治惡瘡鼠瘻66).
【小麥의 性味主治】甘微寒無毒, 除客熱, 止煩渴咽燥, 利小便, 養肝氣, 止漏血唾血. 令女人易受孕, 養心氣, 治暴淋, 殺腸中蛔蟲, 止虛汗, 塗諸瘡湯火傷灼67).
【海藻의 性味主治】苦鹹寒無毒, 治癭瘤結氣, 散頸下硬核痛, 癰腫癥瘕堅氣, 腹中上下雷鳴, 下十二水腫. 療皮間積聚暴㿉, 瘤氣結熱, 利小便. 辟百邪鬼魅, 治氣急心下滿, 疝氣下墜, 疼痛卵腫, 去腹中幽幽作聲. 治奔豚氣脚氣, 水氣浮腫, 宿食不消, 五膈痰壅68).
【조리법 및 복용법】다시마 2냥을 씻어서 손가락크기로 자른 뒤에 식초에 담갔다가 목구멍에 머금어 즙을 빨아먹으면 낫는다.
밀 1되를 식초 1되에 하룻밤동안 담가 두었다가 햇빛에 쬐어 말린다. 해조와 다시마 3냥을 함께 씻어서 짠맛을 없애준 뒤에 건조시켜 분말로 만들고 매번 하루에 세 번 2돈씩 술에 타서 복용하는데, 차도가 있을 때까지를 한도로 삼는다.
해조 1근을 술 2되에 며칠 동안 담가 조금씩 마신다.
【고찰】癭氣는 목앞의 癭囊이 彌漫性으로 腫脹되거나 혹은 腫硬結塊하는 것으로 『食療纂要』에서는 昆布를 식초에 담갔다가 그 즙을 빨아먹거나 小麥과 海藻와 昆布를 가루 내어 술에 타서 복용하거나 海藻를 술에 며칠 동안 담가두었다가 마셨다. 癭氣는 肝鬱火旺證, 陰虛陽亢證, 心脾氣虛證 등으로 나누어 辨證論治할 수 있는데, 昆布의 性味가 鹹寒滑無毒하고 主治가 治癭瘤聚結氣瘻瘡, 破積聚하는 것으로 보아 肝鬱火旺證에 食療로 응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小麥의 性味는 甘微寒無毒하고, 主治는 除客熱, 止煩渴咽燥, 止虛汗, 養肝氣, 養心氣하는 것으로 보아 陰虛陽亢證에 食療로 응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海藻의 性味는 苦鹹寒無毒하고, 主治는 治癭瘤結氣, 散頸下硬核痛, 癰腫癥瘕堅氣하는 것으로 보아 肝鬱火旺證에 食療로 응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11. 瘰癧
【原文】36-4 治頸下卒結囊欲成癭, 海藻一斤, 酒二升, 漬數日, 稍稍飮之. 又治頷下瘰癧.
36-5 治風毒瘰癧, 芋蒡子三升, 微炒爲末, 絹袋盛, 以酒五升, 浸二七日, 每日空心, 溫服一盞.
【譯文】목 아래쪽에 갑자기 맺힌 낭포가 癭이 되려고 하는 것을 치료할 적에는 해조 1근을 술 2되에 며칠 동안 담가 조금씩 마신다. 또한 턱밑의 瘰癧도 치료한다69).
風毒으로 인한 瘰癧을 치료할 적에는 우엉씨 3되를 약간 볶아서 가루로 만들고, 명주자루에 담아 술 5되에 14일70)간 담갔다가 매일 빈속에 1잔씩 따뜻하게 해서 복용한다71).
【개요】瘰癧은 頸項과 겨드랑이 사이 임파 결절에 발생하는 만성 감염성 질환이다. 멍울이 진 모습이 구슬을 꿰놓은 것과 같아서 瘰癧이라고 하며, 속칭 老鼠瘡, 癧子頸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작고 밀었을 때 움직이는 것을 瘰라고 하고, 크고 밀었을 때 움직이지 않는 것을 癧이라고 한다. 發病하는 經絡이 다른 것에 근거하여 명명하는데 예를 들어 목 앞에 생기는 것은 陽明經에 속하는데 痰癧이라고 하고, 뒷목에 생기는 것은 太陽經에 속하는데 濕癧이라고 하며, 목 양쪽에 생기는 것은 少陽經에 속하는데 氣癧이라고 한다. 病因이 다른 것에 근거해서도 명명하는데 外感風寒인 경우에는 風毒이라고 하고, 暑熱을 감수했거나 음식에 상했을 경우에는 熱毒이라고 하며, 사계절의 殺厲之氣를 감수한 경우에는 氣毒이라고 하고, 憂愁思慮와 暴怒傷肝으로 생기는 경우에는 筋癧이라고 하며, 음식의 冷熱이 不調하고 飢飽가 無常하여 痰結한 경우 痰癧에 이를 수 있다72).
【辨證論治】
1) 初期(結節型)
(1) 外感毒邪證 : 이 證의 발작은 비교적 급하고, 瘰癧 중 表證과 實證에 속함. 頸項 양측에 結核이 있는데 1·2매 혹은 더욱 많을 수 있고, 초기에는 腫勢가 宣浮하며, 피부색은 변하지 않고, 계속되면 붉게 되고, 작열감이 있으며 누르면 아프다. 外感風毒인 경우에는 惡寒發熱, 舌質紅, 苔白膩, 脈浮數 혹 脈浮滑하고, 外感熱毒인 경우에는 發熱煩躁, 口苦咽乾, 舌紅苔黃膩, 脈滑數하며, 外感四時殺厲之氣인 경우에는 驟成腫塊, 宣發暴腫, 色紅皮熱, 身寒熱, 頭痛項强, 四肢不舒, 脈弦數하다. 마땅히 攻堅消腫하고 化痰散結한다. 風毒인 경우에는 祛風勝濕하는데 防風羌活湯이나 牛蒡解肌湯을 쓴다. 熱毒인 경우에는 淸熱解毒하는데 升陽調經湯이나 혹은 柴胡連翹湯을 쓴다. 氣毒인 경우에는 淸肝瀉火하고 攻堅消腫하는데 連翹散堅湯 혹은 舒肝潰堅湯을 쓴다.
(2) 肝鬱痰凝證 : 이 證은 주로 內傷으로 일어나고 頸項 양측의 腫塊가 있고, 結核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으며, 피부색은 평상시와 같으며 아프지 않고, 質中偏硬, 밀면 움직일 수 있고, 胸悶脇脹, 口苦, 納食不香, 舌苔薄白, 脈弦 혹 脈弦滑하다. 치료는 舒肝解鬱하고 化痰散結하는데, 逍遙散에 二陳湯을 합방하고 蒲公英, 天葵를 더하여 쓰거나 혹은 消瘰丸에 逍遙散을 합방하여 치료한다.
2) 中期(腫瘍型) :
(1) 寒痰證 : 腫塊按之波動, 少有疼痛, 皮色不變, 面色㿠白, 畏寒, 脘悶納呆, 舌質淡, 苔白, 脈弦細하다. 응당 散寒通滯하고 行氣回陽하는데, 陽和湯을 가감하여 쓰고, 小金丹을 배합하여 복용할 수 있다.
(2) 熱痰證 : 腫塊按之波動, 皮色暗紅微熱, 伴有疼痛. 兩顴潮紅, 低熱盜汗, 腰腿酸軟, 苔少舌紅, 脈沈弦而數이 항상 겸하여 나타난다. 치료는 滋補肝腎하고 托裏排膿한다. 托裏透膿散을 가감하여 쓴다.
3) 後期(潰瘍型)
(1) 氣血兩虛證 : 病程日久, 腫塊潰破, 膿液淸稀하다 응당 補益氣血하고 調和營衛한다. 香貝養榮湯으로 치료하고, 八珍湯이나 十全大補湯을 쓸 수도 있다.
(2) 陰虛火旺證 : 瘡口經久不愈, 皮色紫黯, 膿稀量少, 伴潮熱盜汗, 五心煩熱, 身體羸瘦, 口乾顴紅, 舌尖質紅少津, 脈細數하다. 응당 滋陰淸熱, 滋補肺腎한다. 六味地黃湯에 靑蒿鱉甲湯을 합하여 치료한다73).
【식재료】海藻, 牛蒡子
【海藻의 性味主治】苦鹹寒無毒, 治癭瘤結氣, 散頸下硬核痛, 癰腫癥瘕堅氣, 腹中上下雷鳴, 下十二水腫. 療皮間積聚暴㿉, 瘤氣結熱, 利小便. 辟百邪鬼魅, 治氣急心下滿, 疝氣下墜, 疼痛卵腫, 去腹中幽幽作聲. 治奔豚氣脚氣, 水氣浮腫, 宿食不消, 五膈痰壅.
【牛蒡子의 性味主治】辛平無毒, 明目補中, 除風傷, 治風毒腫, 諸瘻. 除諸風, 去丹石毒, 利腰脚. 散諸結節筋骨煩熱毒, 出癰疽頭, 通利小便, 潤肺散氣, 利咽膈, 去皮膚風, 通十二經, 消斑疹毒.
【조리법 및 복용법】해조 1근을 술 2되에 며칠 동안 담가 조금씩 마신다.
우엉씨 3되를 약간 볶아서 가루로 만들고, 명주자루에 담아 술 5되에 14일간 담갔다가 매일 빈속에 1잔씩 따뜻하게 해서 복용한다.
【고찰】瘰癧은 頸項과 겨드랑이 사이 임파 결절에 발생하는 만성 감염성 질환으로 『食療纂要』에서는 海藻를 술에 담가서 쓰고, 風毒瘰癧에는 牛蒡子를 가루로 만들어 자루에 담아 술에 담갔다가 복용했다. 瘰癧은 初期에 結節이 생길 때, 中期에 腫瘍이 생겼을 때 後期에 潰瘍일 때로 나누어 辨證論治해 볼 수 있는데, 海藻의 性味가 苦鹹寒無毒하고, 主治가 癭瘤結氣를 치료하고, 頸下硬核痛과 癰腫癥瘕堅氣를 흩는 것으로 보아 初期 結節型의 肝鬱痰凝證에 食療로 응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牛蒡子는 性味가 辛平無毒하고, 主治가 治風毒腫, 除諸風하는 것으로 보아 初期 結節型의 外感毒邪證에 食療로 응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Ⅲ. 考察
『食療纂要』는 우리나라 최초의 食治 전문서적으로 이 책의 저자인 全循義는 『食療纂要』 序文에서 “사람이 세상을 살아감에 있어서 飮食이 으뜸이고, 藥餌가 다음이 된다.”고 하고, “고인이 처방을 내리는데 있어서 먼저 식품으로 치료하는 것을 우선하고, 식품으로 치료가 되지 않으면 약으로 치료한다. 식품에서 얻는 힘이 약에서 얻는 힘의 절반정도가 된다. 병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당연히 五穀, 五肉, 五果, 五菜로 다스려야지 어찌 마른 풀과 죽은 나무의 뿌리에 치료방법이 있을 수 있겠는가!”74)라고 하여 食治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食治로 不治已病治未病하는 예방 의학의 측면을 중시했다.
『食療纂要』는 총 45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조문 중 論者가 중점적으로 살펴본 피부과 질환은 癧瘍風(=紫白癲風), 頭浮風(=白屑風), 諸瘡(頭瘡 포함), 熱瘡(熱病熱毒發瘡頭面及身 포함), 癰腫膿血, 丹毒, 發背, 乳發, 瘤病, 癭氣(五癭, 癭 포함), 瘰癧 등이 있었으며, 각 피부과 질환에 쓰인 식재료의 性味와 主治를 살펴 이 식재료가 피부과 질환의 어떤 변증론치 유형에 쓰일 수 있는지 탐색해 보았다.
風性 피부질환 중 첫 번째로 나타나는 癧瘍風에 鰻鱺魚를 五味로 양념한 뒤 쌀을 넣어 鰻鱺魚粥을 만들어 長服하라고 했는데, 鰻鱺魚의 性味가 甘平하여 殺諸蟲함으로써 五痔瘡瘻와 惡瘡과 女人陰瘡蟲癢를 다스리고, 濕脚氣腰腎間濕風痺를 치료하며, 一切風瘙如蟲行을 치료한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實證에 속하는 風濕熱證에 鰻鱺魚를 써서 祛風化濕殺蟲함으로써 食治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두 번째로 나타나는 頭浮風에 白油麻를 죽을 때까지 복용하라고 했는데, 白油麻의 性味가 甘大寒하여 血脈을 통하게 함으로써 頭上浮風을 없애고, 기윤을 윤택하게 한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頭浮風의 辨證類型 중에서도 특히 實證에 속하는 風熱血燥證에 유의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瘡과 관련한 피부질환 중 체표화농성 질환인 諸瘡에 鰻鱺魚粥을 복용하라고 하고, 小兒頭瘡에 白鴨肉으로 食治하라고 했는데, 두 가지 식재료는 모두 동물성 식재료들로 補益하는 작용이 있어서 諸瘡의 辨證論治 중 瘡瘍 後期에 써서 膿腫이 터진 후 새살을 빨리 돋아나게 하고, 氣血을 補益하여 瘡口를 수렴하기 위한 補法에 쓰인 것으로 판단된다. 瘡과 관련한 피부질환 중 熱病에 나타나는 熱瘡에는 식물성 식재료로 葵菜와 동물성 식재료로 野鴨肉이 쓰였는데, 葵菜는 채소로써 疏通시키면서 쉽게 소화시키는 작용을 나타내어75) 熱瘡을 다스리므로 實證의 脾胃積熱證에 응용할 수 있고, 野鴨肉은 동물성 식재료로써 補中益氣하여 氣를 원활하게 돌려 脾胃의 運化를 도우므로 虛證의 脾胃積熱證에 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피부질환 중 급성질환에 속하는 癰과 丹毒 중에서 癰은 식물성 식재료인 赤小豆가 쓰였고, 丹毒에는 동물성 식재료로 牡蠣肉과 白雄雞肉이, 식물성 식재료로 菉豆가 쓰였다. 赤小豆는 甘酸平하여 小便을 滑利하게 하고, 水腫을 내리는 것으로 보아 辨證類型 중 實證에 속하는 濕熱壅盛證에 유의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牡蠣肉은 甘溫無毒하여 丹毒을 풀고, 止渴除煩하는 것으로 보아 丹毒內陷證의 辨證類型에 유의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白雄雞肉은 酸微溫하거나 甘寒하여 下氣하고, 狂邪를 치료하며, 小便을 滑利하게 하고, 丹毒을 없애는 것으로 보아 實證인 丹毒內陷證에 食治로 응용해 볼 수 있으며, 菉豆는 甘寒하여 消腫下氣하고 壓熱解毒하여 頭風頭痛을 치료하고, 浮風을 없애는 것으로 보아 風熱化火證에 食治로 응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丹毒에 쓰인 식재료에서 動物性 식재료인 牡蠣肉과 白雄雞肉은 丹毒內陷證에 응용할 수 있고, 식물성 식재료인 菉豆는 風熱化火證에 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신체 부위 중 체간 부위에서 몸 뒤 척추 중앙 부위에 발생하는 發背에는 동물성 식재료인 母猪蹄가 藥材인 通草와 함께 食治로 응용되었고, 식물성 식재료인 菘菜도 食治로 응용되었는데, 母猪蹄는 주로 氣血兩虛證에 食療로 응용해 볼 수 있고, 菘菜는 主治가 胸中煩을 없애고, 酒渴을 풀며, 消食下氣하고, 止熱氣嗽하며, 利大小便하는 것으로 보아 正氣의 盛衰에 따른 辨證類型에서 正氣가 盛할 경우에 나타나는 風熱凝結證에 食治로 응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체간 부위 중 몸 앞의 乳房의 肌膚 사이에 발생하는 乳發에는 동물성 식재료인 母猪蹄가 藥材인 通草와 함께 食治로 응용되었는데, 母猪蹄의 主治가 乳汁을 나오게 하고, 肌膚를 매끄럽게 하며, 乳脈을 통하게 하는 것으로 보아 正虛邪衰證에 通草와 함께 써서 食治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체표의 腫瘤성 질환인 瘤病에는 獐肉과 鹿肉을 두터운 포의 형태로 썰어 구워서 病所에 덮어주는 外治法을 사용하였는데, 獐肉과 鹿肉이 모두 甘溫하여 補益하는 성질이 강한 것으로 보아 腎氣不足證에 外治法으로 응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표 1. 『食療纂要』에 나타난 피부과 질환의 辨證論治와 이에 쓰인 식재료의 性味主治
신체 부위 중 목 부위에 다발하는 癭類의 질병인 癭氣, 癭, 五癭과 瘰癧은 食治에 주로 해조류를 응용했다. 목 앞의 癭囊이 彌漫性으로 腫脹되거나 혹은 腫硬結塊하는 癭氣, 癭, 五癭 등에 昆布, 海藻 등의 해조류가 사용되었고, 식물성 식재료로 小麥도 사용되었다. 昆布와 海藻가 모두 鹹寒한 성질이 있어서 軟堅하므로 肝鬱火旺證에 食治로 응용해 볼 수 있고, 小麥은 식물성 식재료로 甘微寒하여 客熱을 없애고, 煩渴咽燥를 멈추게 하며, 虛汗을 멈추게 하고, 肝氣와 心氣를 기른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陰虛陽亢證 癭氣에 食治로 응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瘰癧에 사용된 海藻도 역시 鹹寒한 성질이 있어서 軟堅하므로 肝鬱火旺證에 食治로 응용해 볼 수 있고, 식물성 식재료인 牛蒡子는 辛平하여 風毒腫을 다스리고, 諸風을 없애는 것으로 보아 初期 結節型의 外感毒邪證에 食治로 응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食療纂要』에 나타난 피부과 질환에 쓰인 식재료는 총 17개로 이 중에서 동물성 식재료가 8개, 식물성 식재료가 7개, 해조류가 2개였고, 性味를 살펴보았을 때 五味 중에서는 酸味를 지니고 있는 식재료가 2개, 苦味를 지니고 있는 식재료가 1개, 甘味를 지니고 있는 식재료가 13개, 辛味를 지니고 있는 식재료가 1개, 鹹味를 지니고 있는 식재료가 3개로 甘味가 主를 이루었고, 寒熱溫凉의 四氣를 살펴보았을 때 平性 지닌 식재료가 3개, 溫性을 지닌 식재료가 4개, 凉, 微寒, 寒 등 차가운 성질을 지닌 식재료가 10개로 寒性 식재료가 主를 이루었다. 식물성 식재료 7개 중 菉豆를 제외한 나머지 식재료가 實證에 쓰였고, 동물성 식재료 8개 중 5개가 虛證에 쓰였고, 鰻鱺魚는 虛證과 實證 모두에 쓰였으며, 牡蠣肉과 白雄雞肉은 實證에 쓰였다. 해조류인 昆布와 海藻는 모두 實證에 쓰였다. 또한 17개의 식재료 대부분이 內治法으로 쓰였고, 鹿肉과 獐肉만이 瘤病에 外治法으로 쓰였다.
Ⅳ. 結論
이상에서 『食療纂要』 내의 피부과 질환에 쓰인 식재료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風性 피부질환인 癧瘍風에 쓰인 鰻鱺魚는 風濕熱證에, 頭浮風에 쓰인 白油麻는 風熱血燥證에, 諸瘡과 小兒頭瘡에 쓰인 鰻鱺魚와 白鴨肉은 氣血兩虛證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2. 熱瘡에 쓰인 葵菜는 식물성 식재료로 疏通시키면서 쉽게 소화시키는 작용을 나타내어 脾胃積熱證에 쓰고, 野鴨肉은 동물성 식재료로써 補中益氣하여 氣를 원활하게 돌려 脾胃의 운화를 도움으로써 熱瘡을 다스린다고 생각한다.
3. 피부질환 중 급성질환에 속하는 癰腫膿血에 쓰인 赤小豆는 濕熱壅盛證에, 丹毒에 쓰인 牡蠣肉과 白雄鷄肉은 丹毒內陷證에, 菉豆는 風熱化火證에 食治로 응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4. 피부 질환 중 척추 중앙 부위에 발생하는 發背에 쓰인 母猪蹄는 氣血兩虛證에, 菘菜는 風熱凝結證에 食治로 응용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하고, 乳房에 발생하는 乳發에 쓰인 母猪蹄는 正虛邪衰證에 食治로 응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5. 瘤病에 쓰인 獐肉과 鹿肉은 外治法으로 쓰였는데 腎氣不足證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며, 癭氣, 癭, 五癭과 瘰癧에 쓰인 昆布와 海藻는 肝鬱火旺證에 적합하고, 小麥은 陰虛陽亢證에 적합하며, 瘰癧에 海藻와 牛蒡子를 食治에 응용했는데, 海藻는 肝鬱痰凝證에 牛蒡子는 外感毒邪證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7. 『食療纂要』에 나타난 피부과 질환의 食治 재료 중에서 식물성 식재료 7개 중 菉豆를 제외한 나머지 식재료가 實證에 쓰였고, 동물성 식재료 8개 중 5개가 虛證에 쓰였으며, 鰻鱺魚는 虛證과 實證 모두에 쓰였고, 牡蠣肉과 白雄雞肉은 동물성 식재료이지만 實證에 쓰였으며, 해조류는 모두 實證에 쓰였다. 또한 17개의 식재료 대부분이 內治法으로 쓰였고, 鹿肉과 獐肉만이 瘤病에 外治法으로 쓰였다.
8. 피부과 질환에 식재료를 內服하거나 外治할 때는 通治方의 형태로 무분별하게 쓰지 말고 寒熱虛實을 잘 가려 辨證類型에 맞게 써야 한다.
References
- 김종덕. 食療纂要에 대한 사상의학적 고찰-太陽人 식품을 중심으로-. 사상체질의학회지. 2005. 17(1).
- 譚新華, 陸德銘 主編. 中醫外科學.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9.
- 李時珍 編纂. 劉衡如, 劉山永 校注. 本草綱目上冊. 北京. 華夏出版社. 2002.
- 李時珍 編纂. 劉衡如, 劉山永 校注. 本草綱目下冊. 北京. 華夏出版社. 2002.
- 馬繼興. 中醫藥膳學.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2009.
- 송지청 외 3인. 食療纂要에 나타난 消渴의 食治에 대한 小考.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2. 25(3).
- 辛承云. 새로 발견된 食療纂要에 대하여. 2003년도 한국서지학회 추계학술세미나 발표 요지. 2003.
- 辛承云. 조선초기의 의학서 食療纂要에 대한 연구. 서지학연구. 2008. 40.
- 신재혁, 송지청, 엄동명. 食療纂要에서 돼지고기를 이용한 食治에 대한 考察.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1. 24(3).
- 심현아, 송지청, 엄동명. 食療纂要 중 五菜를 이용한 食治 硏究.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1. 24(5).
- 여민경 외 4인. 食療纂要에 記載된 7개 病證의 食藥療法에 관한 小考. 한국의사학회지. 2014. 27(1).
- 윤서현 외 3인. 食療纂要에서 五穀을 이용한 食治 硏究. 한국의사학회지. 2011. 24(2).
- 全循義 著, 金鍾德 譯. 食療纂要. 수원. 예스민. 2006.
- 全循義 撰, 金鍾德 譯. 食療纂要. 수원. 농촌진흥청. 2004.
- 周安, 朱永康. 中醫外科瘡瘍初探. 陜西中醫. 2014. 35.
- 朱震亨 撰. 丹溪醫集.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5.
- 蔡炳允, 宋孝貞 共著. 漢方外科學.皮膚科學. 서울. 慶熙大學校 漢醫科大學. 1984.
- 洪元植. 精校黃帝內經素問. 서울. 東洋醫學硏究院出版部. 1985.
- 홍윤정 외 3인. 食療纂要 중 닭고기를 이용한 食治에 대한 硏究.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1. 24(5).
- 홍진임. 대변불통에 활용된 식치방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8. 31(1).
- 홍진임. 脾胃질환의 食治에 관한 小考-음선정요, 식료제병, 식료찬요를 중심으로-.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16. 29(2).
- 홍진임. 食療纂要에서 魚類의 食治的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6. 29(1).
- 홍진임. 풍질환과 관련 있는 식치방에 관한 연구-식의심감, 음선정요, 식료찬요를 중심으로-.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6. 29(3).
- 홍진임. 해수에 활용된 식치방에 대한 문헌적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8. 31(1).
- 네이버 지식백과 중 두산백과. [cited on April 5, 2019]: Available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70509&cid=40942&categoryId=32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