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Social Venture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Government Support

소셜벤처 성과 영향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정부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9.01.19
  • Accepted : 2019.04.12
  • Published : 2019.04.30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venture and thereby obtain practical and useful implications. We analyze how such factors as social entrepreneurship, management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of 185 social venture in korea. In addition, we examine how government support may moderate the relationship of each variable. We find that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risk-taking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positively affect economic performance, whereas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can enhance social performance. We also learn that social entrepreneur's competency can have a direct effect on the enterprise's profitability, while organizational culture seems to affect performance of the companies only slightly. Government support is shown moderate effect of social entrepreneurship,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company's performance. Interestingly, our findings indicate that raising competency of social enterprise can be more effective than government support for enhancing performance of companies. Lastly, social venture's economic performance is shown to affect its social performance.

최근 정부의 사회적 경제 활성화 정책으로 인해 다수의 소셜 벤처 창업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정부 주도의 자금지원 및 다양한 지원 또한 증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 벤처 기업의 경제적 성과 및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증가하고 있는 소셜 벤처기업과 정부 지원정책에 실용적이고 유용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가 정신, 사회적 가치 지향성, 사회적 기업가의 경영 역량 및 조직 문화 등의 요인들이 한국에서의 소셜 벤처 기업의 경제적, 사회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185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아울러 다양한 정부 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셜 벤처기업의 혁신성, 진취성, 위험 감수성 및 사회적 가치 지향성이 경제적 성과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혁신성, 진취성 및 사회적 가치 지향성은 사회적 성과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기업가의 경영 역량이 기업의 수익성과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조직 문화는 기업의 성과에 다소 미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지원은 사회적 기업가 정신, 경영 역량 및 조직 문화가 회사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셜 벤처 기업의 경제적 성과도 사회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우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회적 기업의 경영 역량 강화가 기업의 성과 향상을 위한 정부 지원보다 더욱 효과적 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소셜 벤처 기업의 효과적인 성과 창출을 위해서는 다양한 정부 지원정책도 중요하지만 사회적 기업가의 내부 경영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굉장히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정부의 소셜 벤처 지원에서도 자금 지원뿐만 아니라 개별 기업가의 경영 역량 향상에 많은 정책적 관심이 요구된다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Austin, J. Stevenson.(2006). Social Entrepreneurship and Commercial Entrepreneurship: Same, Different, or Both?,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0(1), 1-22. https://doi.org/10.1111/j.1540-6520.2006.00107.x
  2. Cambell, S.(1998). Social Entrepreneurship: How to Develop New Social Purpose Business Ventures, Healthcare Strategic Management, 16(5), 17-18.
  3. Dees, J. Gregory.(2001). The Meaning of Social Entrepreneurship Center for the Advancement of Social Entrepreneurship(CASE), Duke University.
  4. Emerson, J., & Tweaks, F.(1996). New Social Entrepreneurs: The Success Challenge and Lessons of Non-profit Enterprise Creation, San Francisco, CA; The Robert Foundation.
  5. Keh, H. T., T. M. Nguyen., & H. P. Ng.(2007).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Marketing Information on the Performance of SME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2(4), 592-611. https://doi.org/10.1016/j.jbusvent.2006.05.003
  6. Messick, D. M., & McClintock, C. G.(1968). Motivational Bases of Choice in Experimental Game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1), 1-25 https://doi.org/10.1016/0022-1031(68)90046-2
  7. Morris, M. H., & G. W. Paul.(1987).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Marketing in Established Firm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3), 247-260. https://doi.org/10.1016/0883-9026(87)90012-7
  8. Moshe, S., & Lerner, M.(2006). Gauging the Success of Social Ventures Initiated by Individual Social Entrepreneurs, Journal of World Business, 41(1), 6-20. https://doi.org/10.1016/j.jwb.2005.09.004
  9. Sorensen, J. B.(2002). The strength of corporate culture and the reliability of firm performance,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7(1), 70-91. https://doi.org/10.2307/3094891
  10. Weerawarden, J., & Sullivan, M. G.(2003). Investigating Social Entrepreneurship: A Multidimensional Model, Journal of World Business, 44(1), 21-35.
  11. Wheeler, D. M., & Thomson, J.(2003). Sustainable Livelihoods and the Private Sector; How Development Agencies Can Strengthen Sustainable Local Enterprise Networks, Final Report, School of Business, New York University.
  12. Zhao, Y., Li., S. H. Lee,, & L. B. Chen.(2010).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Performance: Evidence from China,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5(1), 293-317. https://doi.org/10.1111/j.1540-6520.2009.00359.x
  13. 김기홍.김용태(2014). 창업 멘토링 교육요인이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9(5), 33-41.
  14. 김용태(2017). 창업교육, 기업가적 역량 및 태도가 대학생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12(2), 13-20. https://doi.org/10.16972/APJBVE.12.2.2017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