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3D Digital Restoration Technology Using a Shard of a Joseon Dynasty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조선시대 백자 연적 편(片)을 활용한 3차원 디지털 복원 기술 연구

  • Shin, Woocheol (The Research Center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Hanseo University) ;
  • Kim, Kyungjoong (Gyeonggi Ceramic Museum) ;
  • Wi, Koangchul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Hanseo University)
  • 신우철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센터) ;
  • 김경중 (경기도자박물관) ;
  • 위광철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 Received : 2019.10.06
  • Accepted : 2019.11.10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The restoration of ceramics excavated in fragments is limited by the difficulty of inferring the overall shape of the original object. However, recent innovations in digital technology can help to overcome the limits of conventional restoration using handwork. This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of digital technology by digitally restoring a shard from a white porcelain water dropper excavated at a kiln site at Sindae-ri. In order to complete the digital restoration, 3D scanning was applied to obtain scan data, and 3D modeling and texture mapping were performed. In this way, three-dimensional data with patterns and color information was acquired and the original form of the water dropper could be ascertained based on the shard. The study found that the data acquired from digital restoration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for obtaining data on cross-sections or missing portions of a relic.

일부분만 편으로 발굴된 도자기의 경우 원형의 형태를 유추하기 어려워 복원에 한계가 있다. 수작업 방식에 한계가 있는 경우, 디지털 기술을 통해 복원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도자기의 원형을 추정하고 복원의 방향성을 설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백자연적 편을 대상으로 디지털 복원을 진행하였다. 결과, 문양과 색상 정보가 입혀진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였으며 하나의 편을 통해 원형의 모습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기술은 유물과의 최소한의 접촉으로 손상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은 추정복원으로 왜곡의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며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물의 차이가 나타나므로 주의가 필요하지만, 도면화 작업 등 활용 가능성이 뛰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UNESCO, Charter on the Preservation of Digital Heritage, http://portal.unesc.org/en/ev.php-URL_ID=17721&URL_DO=DO_TOPIC&URL_SECTION=201.html, (2019).
  2. 이해순, 3차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도자기 복원 연구,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재학과, 박사학위논문, p149, (2016).
  3. 이강훈.김일민.조세홍, 문화유산 디지털 복원 프로젝트 사례 및 활용 연구, 한국디지털 콘텐츠학회지 5(1), p4, (2009).
  4. 안지인, 조선 백자 연적의 현대적 재해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부 도예전공, 석사학위논문, p.3, (2015).
  5. 오승준, 위광철, 3차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도자기 복원 방법 비교 연구, 문화와 융합 40(2), p595-614,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