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derwater Guidance System for AUV using Optical Sensor Array

광센서 배열을 이용한 무인잠수정의 종단유도장치 시스템

  • Son, Hyeon-joong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 Choi, Hyeung-sik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 Kang, Jin-il (Department of Convergence Study on the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School,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
  • Sur, Joo-no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 Jeong, Seong-hoon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 Kim, Joon-young (Department of Ocean Advanced Materials Convergence Engineering,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손현중 (한국해양대학교 기계공학과) ;
  • 최형식 (한국해양대학교 기계공학과) ;
  • 강진일 (한국해양대학교-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해양과학기술융합학과) ;
  • 서주노 (한국해양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
  • 정성훈 (한국해양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
  • 김준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신소재융합공학과)
  • Received : 2019.04.08
  • Accepted : 2019.04.23
  • Published : 2019.04.30

Abstract

In this paper, a new study was performed on the docking of AUV to docking station using light and light sensor system under the water. For this, a guiding system for AUV loading sensor system composed of lense, light sensor, signal processor, and processor and docking system with LED are proposed. An analysis on light sensor system and light-collecting lense to obtain accurate relative angle and measurement accuracy was performed. To prove this, the system was built and a basic experiment was performed. Finally, the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docking system was verified the test in the water tank.

본 논문에서는 수중에서 광과광센서를 이용하여 AUV의 도킹스테이션에의 도킹에 대한 새로운 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해 LED를 유도광원으로 사용하는 도킹스테이션과렌즈, 광 변위센서, 신호처리기, 연산처리기로 구성된 센서시스템 무인잠수정에 장착한 무인잠수정의 종단유도장치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LED 복사광을 이용해 정밀한 상대각도 측정 정밀도를 얻을 수 있도록 집광렌즈 및 광센서 시스템의 원리해석과 이를 검증하기 위해 집광렌즈와 광센서 시스템을 직접 제작하고 기초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제작한 광학센서를 이용한 AUV와 도킹시스템을 제작하고 수조에서 기본적인 도킹시험을 수행하여 새로운 도킹 방법으로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Keywords

HHHHBI_2019_v23n2_125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집광렌즈의 지향성을 이용한 상대각도 측정원리 Fig. 1. The principle of relative angle measurement using directivity of a condensing lens.

HHHHBI_2019_v23n2_125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집광렌즈 및 광센서의 좌표계 설정 Fig. 2. Coordinate system setting of the condensing lens and the optical sensor.

HHHHBI_2019_v23n2_125_f0003.png 이미지

그림 3. 광원 모듈부의 세부구조 Fig. 3.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light source module part.

HHHHBI_2019_v23n2_125_f0004.png 이미지

그림 4. 광원의 변조 및 고유 ID의 인식 과정의 예시 Fig. 4. An example of the process of recognition of the modulation and unique ID of the light source.

HHHHBI_2019_v23n2_125_f0005.png 이미지

그림 5. 광센서 부의 세부구조 Fig. 5.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optical sensor part.

HHHHBI_2019_v23n2_125_f0006.png 이미지

그림 6. 광원의 변조 및 고유 ID의 인식 과정의 예 Fig. 6. An example of the process of recognition of the modulation and unique ID of the light source.

HHHHBI_2019_v23n2_125_f0007.png 이미지

그림 7. 렌즈의 특성Fig. 7. Characteristics of Lens.

HHHHBI_2019_v23n2_125_f0008.png 이미지

그림 8. 광센서 하우징의 설계 Fig. 8. Design of optical sensor housing.

HHHHBI_2019_v23n2_125_f0009.png 이미지

그림 9 제작한 광원모듈부의 외형 Fig. 9. The appearance of the manufactured light source module part.

HHHHBI_2019_v23n2_125_f0010.png 이미지

그림 10. 제작한 광센서부의 내부모습 Fig. 10. Internal view of the manufactured optical sensor part.

HHHHBI_2019_v23n2_125_f0011.png 이미지

그림 11. 제작한 광센서부의 외형 Fig. 11. The appearance of the manufactured optical sensor part.

HHHHBI_2019_v23n2_125_f0012.png 이미지

그림 12. 광센서 시험장치의 구조 Fig. 12. Structure of optical sensor experiment device.

HHHHBI_2019_v23n2_125_f0013.png 이미지

그림 13. 광센서 시험 사진 (1) Fig. 13. Photograph of optical sensor experiment (1).

HHHHBI_2019_v23n2_125_f0014.png 이미지

그림 14. 광센서 시험 사진 (2) Fig. 14. Photograph of optical sensor experiment (2).

HHHHBI_2019_v23n2_125_f0015.png 이미지

그림 15. 광센서 시험 결과 Fig. 15. Result of optical sensor experiment.

HHHHBI_2019_v23n2_125_f0016.png 이미지

그림 16. 광학식 도킹유도 시험을 위한 무인잠수정의 구성도 Fig. 16. Constitution of AUV for optical docking guidance experiment.

HHHHBI_2019_v23n2_125_f0017.png 이미지

그림 17. 도킹스테이션의 구조 Fig. 17. Structure of docking station.

HHHHBI_2019_v23n2_125_f0018.png 이미지

그림 18. 도킹스테이션 유도 절차 시나리오 Fig. 18. The scenario of docking station induction procedure.

HHHHBI_2019_v23n2_125_f0019.png 이미지

그림 19. 도킹 상황 (1) Fig. 19. Situation of docking (1).

HHHHBI_2019_v23n2_125_f0020.png 이미지

그림 20. 도킹 상황 (2) Fig. 20. Situation of docking (2).

HHHHBI_2019_v23n2_125_f0021.png 이미지

그림 21. 광유도 실험 Fig. 21. Light guidance experiment.

표 1. 광학센서 시스템의 성능결정요소 Table 1. Performance determinants of optical sensor systems.

HHHHBI_2019_v23n2_125_t0001.png 이미지

표 2. 광센서 배열 값의 변화를 판단하는 기준표 Table 2. A reference table for judging a change in the optical sensor array value.

HHHHBI_2019_v23n2_125_t0002.png 이미지

References

  1. H. Kaushal and G. Kaddoum, "Underwater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in Proceedings of SPIE -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al Engineering, IEEE Access, New Jersey: NJ, Vol 4, pp.1518-1547, 2016.
  2. K. R. Son, "Performance analysis of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 seawater channel,"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37, No.5, pp.527-532. 2013. https://doi.org/10.5916/jkosme.2013.37.5.527
  3. W. J. Cox, Simulation modeling and design of underwater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Ph. D. dissertation,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NC, 2012.
  4. N. E. Farr, J. D. Ware, C. T. Pontbriand, and M. A. Tivey, "Demonstration of wireless data harvesting from a subsea node using a ship of opportunity," in Proceeding of the 2013 Oceans-San Diego, IEEE, San Diego: CA, pp.1-5, 2013.
  5. S. Arnon, "Underwater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Proceeding of SPIE-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al Engineering, Vol. 49, No. 1, Bellingham: WA, pp.1-6, 2010.
  6. D. Anguita, D. Brizzolara and G. Parodi,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for underwater wireless sensor networks: hardware modules and circuits design and implementation", in Proceeding of OCEANS 2010 MTS/IEEE SEATTLE, Seattle: WA, pp.1-8,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