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gional Difference of Obesity in the Social Vulnerabilities -Focused on the Suwon City

사회취약계층 비만의 지역 격차에 관한 연구 -수원시를 중심으로

  • 김한이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
  • 김용진 (한국교통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 Received : 2019.03.06
  • Accepted : 2019.04.16
  • Published : 2019.04.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patialize the gap between obesity levels through the body mass index, an objective indicator of the level of health among vulnerable people. Thus, areas where the BMI showed cluster patterns with spatial high and low values were extrac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were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I statistics for the obesity rate were 0.07 and the z-score was 4.39, confirming spatial autocorrelation. For z-score, it was much larger than the maximum threshold of 2.57. This means that the rate of obesity among the socially vulnerable is regional, and this gap is spati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ocal environment for these areas of obesity and health care were found to be areas with poor public transportation, less readily available parks, and a concentration of single and multi-generation hous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spatial implications for the health of the socially vulnerable class that previous studies have neglected.

본 연구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건강정도를 객관적 지표인 체질량지수를 통해 비만 정도의 지역별 격차를 공간적으로 규명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체질량지수가 공간적으로 높은 값과 낮은 값을 가지는 군집패턴을 보이는 지역을 추출하고 이 지역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만인구비율의 I 통계량은 0.07, z-score은 4.39으로 나타나, 공간자기상관성을 확인하였다. z-score의 경우 최대 임계값인 2.57보다 훨씬 크게 나타났다. 이는 사회취약계층 비만율이 지역별 격차를 보이며, 이러한 격차가 공간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만 취약지역과 양호지역에 대한 지역별 환경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취약지역의 경우 대중교통성이 좋지 않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원이 적으며 단독 다세대 주택이 밀집한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기존 연구들이 소홀했던 사회취약계층의 건강에 대하여 공간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Keywords

CCTHCV_2019_v19n4_682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임계거리에 따른 취약계층 전역적 공간군집도 그래프

CCTHCV_2019_v19n4_682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취약계층의 BMI 국지적 공간군집도

표 1. 건강도시의 특징[8]

CCTHCV_2019_v19n4_682_t0001.png 이미지

표 2.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취약계층 요건)

CCTHCV_2019_v19n4_682_t0002.png 이미지

표 3. 수원시 사회위챡계층 비만정도

CCTHCV_2019_v19n4_682_t0003.png 이미지

표 4. 분석자료 및 출처

CCTHCV_2019_v19n4_682_t0004.png 이미지

표 5. 취약계층 건강 양호/취약 밀집지역 비교

CCTHCV_2019_v19n4_682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오상우, 취약계층 영양불균형 및 비만, 보건복지부, 2017.
  2. 김은정, 강민규, "공간회귀모형을 활용한 도시환경이 지역사회 비만도와 자가건강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연구, 제68권, pp.85-98, 2011.
  3. 보건복지부,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 보건복지부, 2018.
  4. H. D. Sesso, R. S. Paffenbarger, T. Ha, and I. Lee, "Physical Activ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Middle-aged and Older Women,"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150, No.4, pp.408-424, 1999.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010020
  5. B. G. Swinburn, G. Egger, and F. Raza, "Dissecting Obesogenic Environment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Framework for Identifying and Prioritizing Environmental Interventions for Obesity," Preventive Medicine, Vol.29, No.6, pp.563-570, 1999. https://doi.org/10.1006/pmed.1999.0585
  6. A. Steptoe and P. J. Feldaman, "Neighborhood Problems as Sources of Chronic Stress: Development of a Measure of Neighborhood Problems, and Associations with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Vol.23, No.3, pp.177-185, 2001. https://doi.org/10.1207/S15324796ABM2303_5
  7. 이차남, "미국의 건강도시 연구와 정책 동향," 국토, 제345호, pp.12-25, 2010.
  8. 김미희, 건강도시계획의 요소와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9. 국회입법조사처, 보건의료 취약계층 건강 보호 정책, 국회입법조사처, 2012.
  10. 김용진, 도시 노인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근린 환경요소,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1. 이희연, 이다예, 유재성, "저소득층 노인 밀집지구의 시.공간 분포와 근린환경 특성," 서울도시연구, 제16권, 제2호, pp.1-18, 2015.
  12. 김동하, 노인의 신체활동 관련 주관적 근린환경인식 탐색; 다중 질적방법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3. 이경주, 김용진, 홍성조, "범죄발생과 토지이용간 공간적 상관관계 탐색을 위한 실증연구," 한국도시행정학보, 제28권, 제4호, pp.245-267, 2015.
  14. 김한이, 취약계층 건강의 공간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