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Experience of Nurses' Incivility and Social Anxiety on Emotional Labor in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 중 경험하는 간호사의 무례함, 대인불안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9.01.23
  • Accepted : 2019.03.07
  • Published : 2019.04.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experience of nurses' incivility and social anxiety on emotional labor in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The participants were 161 nursing students in universities located in G province and C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9 to December 15, 2018 through self 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regression. Experience of nurses' incivil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social anxiety and emotional labor. Social anxie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labor. Participants' experience of incivility and social anxiety explained 21.9% of variance in emotional labor among nursing studen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experience of nurses' incivility and social anxiety are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in working to reduce emotional labor. Therefore, systematic programs to effectively manage and response the incivility problems in clinical practice and reduce social anxiety level should be developed.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 중 간호사로부터 경험하는 무례함, 대인불안이 임상실습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자료 수집은 경기도, 충청도 소재의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61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19일부터 12월 15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로부터 경험하는 무례함은 대인불안, 감정노동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대인불안은 감정노동과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대상자가 간호사로부터 경험하는 무례함, 대인불안이 임상실습 감정노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에 대해 약 21.9%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이 간호사로부터 경험하는 무례함과 대인불안이 임상실습 감정노동 감소를 위해 고려해야 할 주요한 요인임을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실습현장에서의 무례함 문제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및 대처방안과 대인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전공 관련 특성

CCTHCV_2019_v19n4_293_t0001.png 이미지

표 2. 대상자가 경험한 무례함, 대인불안, 감정노동의 정도

CCTHCV_2019_v19n4_293_t0002.png 이미지

표 3. 대상자의 일반적·전공 관련 특성에 따른 무례함, 대인불안, 감정노동의 차이

CCTHCV_2019_v19n4_293_t0003.png 이미지

표 4. 대상자가 경험한 무례함, 대인불안, 감정노동 간의 관계

CCTHCV_2019_v19n4_293_t0004.png 이미지

표 5. 대상자가 경험한 무례함, 대인불안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19_v19n4_293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A. Loofmark and K. Wikblad, "Facilitating and obstructing factors for development of learning in clinical practice: A student perspectiv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34, No.1, pp.43-50, 2001. https://doi.org/10.1046/j.1365-2648.2001.3411739.x
  2. 손행미, "임상실습 경험 내러티브에 나타난 간호대학생의 자리매김,"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29-137, 201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1.129
  3. 김정선, 선정주, 김현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체험," 질적연구, 제10권, 제1호, pp.63-76, 2009.
  4. K. Jack and C. Wibberley, "The meaning of emotion work to student nurses: A Heideggerian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51, No.6, pp.900-907, 2014.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3.10.009
  5. 강소영, "간호학생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간호행정학회지, 제21권, 제1호, pp.77-87, 2015.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1.77
  6. 염은이,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에 대한 인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5호, pp.177-189,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5.177
  7. 이내영, 김소희, 김영선,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pp.619-629, 2016. https://doi.org/10.13000/JFMSE.2016.28.3.619
  8. 남문희, 이미련,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감정노동, 자아존중감, 실습만족도가 직업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2권, 제4호, pp.527-536, 2016.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4.527
  9. M. Anthony and J. Yastik,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with incivility in clinical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50, No.3, pp.140-144, 2011. https://doi.org/10.3928/01484834-20110131-04
  10. 강지연, 정연진, 공경란, "정체성 위협: 임상실습 중 간호대학생의 무례함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대한간호학회지, 제48권, 제1호, pp.85-95, 2018. https://doi.org/10.4040/jkan.2018.48.1.85
  11. 박광옥, 김종경,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 시 겪는 무례함 경험," 간호행정학회지, 제23권, 제5호, pp.524-534, 2017.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5.524
  12. M. Anthony, J. Yastik, D. A. MacDonald, and K. A. Marshal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ool to measure incivility i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Vol.30, No.1 pp.48-55, 2014.
  13. 김지선,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에서 경험하는 무례함, 대처, 진로정체감 및 소진의 관계,"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8권, 제12호, pp.407-416, 2017. https://doi.org/10.15207/JKCS.2017.8.12.407
  14. 홍윤경, 김영혜, 손현미, "임상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간호사의 무례함, 대처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22권, 제4호, pp.323-331, 2016.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4.323
  15. 노윤구, "간호대학생의 실습 스트레스,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23권, 제5호, pp.461-470, 2017.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5.461
  16. M. R. Leary, "Social anxiousness: The construct and its measur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7, No.1, pp.66-75, 1983.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701_8
  17. 박순주, 배다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대인불안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0호, pp.305-315,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0.305
  18. 안효자, 정복례, "간호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 불안,"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24-228, 2006.
  19. C. Neighbors, N. Fossos, B. A. Woods, P. Fabiano, M. Sledge, and D. Frost, "Social anxiety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orms and drinking,"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Vol.68, No.1, pp.91-96, 2007. https://doi.org/10.15288/jsad.2007.68.91
  20. R. C. Kessler, "The impairments caused by social phobia in the general population: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Acta Psychiatric Scandinavica, Vol.108, pp.19-27, 2003. https://doi.org/10.1034/j.1600-0447.108.s417.2.x
  21. 차경숙, 전원희, 홍성실,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 능력과 사회불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7, pp.324-33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324
  22. A. H. Laidlaw, "Social anxiety in medical students: Implications for communication skills teaching," Medical Teacher, Vol.31, pp.649-654, 2009. https://doi.org/10.1080/01421590802208867
  23. D. Arieli, "Emotional Work and Diversity in Clinical Placement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45, No.2, pp.192-201, 2013. https://doi.org/10.1111/jnu.12020
  24. 조수옥, 오진아, "간호학생이 임상실습에서 경험하는 무례함 한국어판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2권, 제4호, pp.537-548, 2016.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4.537
  25. 김남재, "대인불안의 측정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4권, 제1호, pp.73-81, 1995.
  26. J. A. Morris and D. C. Feldman,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1, No.4, pp.986-1010, 1996. https://doi.org/10.5465/amr.1996.9704071861
  27. 김민주, "호텔종업원의 감정노동이 직무관련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 연구, 제21권, 제2호, pp.129-141, 1998.
  28. C. M. Clarke, D. J. Kane, D. L. Rajacich, and K. D. Lafreniere, "Bullying in undergraduate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51, No.5, pp.269-276, 2012. https://doi.org/10.3928/01484834-20120409-01
  29. B. M. Tecza, B. K. Boots, P. M. Clay, K. S. Kirkman, B. C. Mains, E. E. Newton, A. Olney, and J. A. Bartlett,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civil and uncivil behaviors in the hospital clinical environment: Implications for nurse leader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45, No.7-8, pp.391-397, 2015. https://doi.org/10.1097/NNA.0000000000000220
  30. 황선경, 이윤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불안,"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1권, 제4호, pp.518-527, 2015.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4.518
  31. 조옥희, 황경혜, 임종미, "간호대학생의 평가두려움과 시험불안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7, pp.56-66,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056
  32. 임보미, 박종민, 김미진, 김수연, 맹정호, 이루리, 강경아, "종합병원근무 신규 간호사의 이직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4권, 제4호, pp.313-322, 2015. https://doi.org/10.5807/KJOHN.2015.24.4.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