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Play Support Beliefs on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Insecure Attachment and Children's Playfulness

어머니의 불안정 애착성과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놀이중심지지 신념의 조절효과

  • 채민경 (이화아동발달연구소) ;
  • 장경은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18.10.31
  • Accepted : 2019.03.12
  • Published : 2019.03.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play support beliefs on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insecure attachment and children's playfulness.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 254 children aged 3 to 5, who attended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and their 254 mothers. For data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program. Results: First, there was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mothers' insecure attachment and play support beliefs. Social spontaneity and expression of joy were negatively related to mothers' insecure attachment. However, mothers' play support beliefs showed positive associations with children's playfulness, particularly including children's physical spontaneity and expression of joy. In addition, mothers' play support beliefs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insecure attachment and children's expression of joy. However, the beliefs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insecure attachment and other playfulness traits.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mothers'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play may buffer the adverse effect of mothers' insecure attachment on children's capabilities of expressing their sense of pleasure.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불안정 애착성과 놀이중심지지 신념,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불안정 애착성과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를 어머니의 놀이중심지지 신념이 조절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세, 4세, 5세 유아 254명과 그들의 어머니와 담임교사이다. 어머니의 자기보고 자료와 담임교사가 측정한 유아의 놀이성 자료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불안정 애착성은 어머니의 놀이중심지지 신념 및 유아의 놀이성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유아의 놀이성 중에서 사회적 자발성과 즐거움의 표현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그러나 어머니의 놀이중심지지 신념은 유아의 놀이성, 특히 신체적 자발성 및 즐거움의 표현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어머니의 불안정 애착성과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놀이중심지지 신념의 조절효과에 있어서 유아의 즐거움의 표현에서만 어머니의 놀이중심지지 신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 놀이성의 다른 하위요인과 놀이성 전체에 대해서는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가 놀이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어머니의 불안정 애착성이 유아의 즐거움의 표현 능력과 관련된 놀이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에 대한 완충 작용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지혜, 이경님(2011). 유아의 개인적 요인과 어머니의 양육 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2), 159-180.
  2. 고윤지, 김명순(2013). 유아의 놀이성, 놀이주도성 및 의사 소통능력 수준에 따른 놀이행동. 아동학회지, 34(1), 175-189. doi:10.5723/KJCS.2013.34.1.175
  3. 권숙화(2008). 어머니의 애착유형이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영임(2011).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이 자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아동교육, 20(2), 85-96.
  5. 권인옥, 안효진(2015). 영아를 둔 아버지들의 부모효능감, 놀이 신념, 그리고 영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구. 열린부모교육연구, 7(4), 165-183.
  6. 김기순, 박인전(2002). 아버지 양육행동 및 놀이성과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놀이치료연구, 5(2), 27-43.
  7. 김명순, 조항린, 박영림, 신혜영(2013). 부모와 유아자녀의 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5(1), 37-53.
  8. 김성현(2004). 친밀관계 경험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장 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수정(2007). 가정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어머니-자녀 관계 및 유아의 놀이성. 연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0. 김영희(1995). 아동의 놀이성 군(群)확인과 관련 변인탐색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영희(201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7(2), 27-46.
  12. 김우경, 방희정(2015). 어머니 불안과 학령 전 아동의 불안 및 우울 간의 관계: 아동 애착 안정성의 조절 효과. 인간발달연구, 22(4), 67-81. doi: 10.15284/kjhd.2015.22.4.67
  13. 김정란, 이은희(2007). 중년 여성의 불안정 애착이 본인의 우울수준 및 자녀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역기능적 태도와 부부갈등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 297-319.
  14. 김종석(2011). 아버지의 놀이성과 부모 효능감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김종운, 김미정(2015).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향유신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3), 541-562.
  16. 김지은, 신나리(2014). 유아기 어머니의 놀이성, 놀이지지 신념 및 양육스트레스가 친밀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3(4), 571-585. doi:10.5934/kjhe.2014.23.4.571
  17. 김진영, 최미숙(2012). 부모 놀이신념 수준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 및 리더십의 차이. 아동교육, 21(4), 189-206.
  18. 김춘경, 조민규(2017).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종단적 관계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06, 33-56.
  19. 류자혜(2003). 유아의 놀이성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지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문소라, 황혜정(2017). 그림책을 활용한 놀이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및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6(3), 149-168. doi:10.17643/KJCE.2017.26.3.08
  21. 박민선, 채규만(2013).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역기능적 신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인간이해, 34(2), 111-129.
  22. 박정연, 이성희(2009).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Montessori 교육연구, 14(1), 40-57.
  23. 배미경(2015). 유아의 기질, 아버지의 양육행동, 심리 및 부부특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손영지, 박성연(201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간의 관계: 성격의 중재효과. 인간발달연구, 18(2), 125-144.
  25. 손현주, 김희화(2018).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조절효과 및 긍정적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9(1), 15-30. doi:10.21197/JCEI.9.1.2
  26. 신선희, 차윤희, 김영희 (2008). 어머니의 놀이성 및 양육 행동과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281-299.
  27. 안명희(2010a). 모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통제: 모의 정서와 자아유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4), 691-710.
  28. 안명희(2010b).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자녀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와 심리적 통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4), 867-885.
  29. 유경훈, 박숙희(2014). 아동의 성별에 따른 창의성과 유머 스타일 비교. Global Creative Leader, 4(1), 43-55.
  30. 윤상인(2011). 맞벌이 부모가 지각한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도와 만2세 영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윤승림(2009).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명주, 유연옥(2011). 교사-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재원경험에 따른 2세 영아의 놀이성과 어린이집 적응.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2), 1-20.
  33. 이영진, 노승희(2017).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1(4), 301-324.
  34. 이재은(2006).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진화, 임원신, 조성연(2009). 어머니의 놀이신념, 유아의 정서능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간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40(3), 149-170.
  36. 이현주, 안명희(2012).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청소년 자녀에 대한 심리적 통제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 능력과 부정적 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3), 413-434. https://doi.org/10.18205/KPA.2012.17.3.006
  37. 이현지(2016). 부모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부모의 놀이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현지, 정혜욱(2016). 부모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부모의 놀이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11(4), 77-95. doi:10.16978/ecec.2016.11.4.004
  39. 이혜경(2010). 만 5세 유아의 놀이성 및 정서능력과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임성혜, 차현화, 윤현숙(2003). 부모 및 교사의 역할과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역할놀이와 신체놀이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7(2), 181-205.
  41. 임진경, 노은호(2014). 교육조력자로서의 어머니 특성 변인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3), 1-21.
  42. 장완수(2012). 유아의 성에 따른 놀이성과 일상적 스트레스의 차이 및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4(2), 1-14.
  43. 정미라, 김민정, 이방실(2015).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양육 태도가 유아기 자녀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4(1), 101-122.
  44. 정미라, 이방실, 강수경(2017) 아버지의 놀이성이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양육행동과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7(5), 413-434. doi:10.18023/kjece.2017.37.5.018
  45. 정은주(2007). 어머니 정서 표현성 및 정서 수용태도가 유아의 성격특성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정혜욱(2014).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만족도 및 양육 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9(2), 339-360.
  47. 최미숙, 송순옥(2013). 유아의 놀이성이 자기조절능력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2(2), 277-292.
  48. 홍정연(2009). 놀이치료 중인 아동 어머니의 성인애착유형과 양육효능감 및 정서표현 수용태도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황윤세, 이혜원(2005), 유아의 정서지능 및 사회적유능감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6), 335-349.
  50. Barnett, L. A. (1990a). Playfulness: Definition, design, and measurement. Play & Culture, 3(4), 319-336.
  51. Barnett, L. A. (1990b). Developmental benefits of play for childre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2(2), 138-153. doi:10.1080/00222216.1990.11969821
  52. Barnett, L. A. (1991). The playful child: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Play & Culture, 4(1), 51-74.
  53. Benoit, D., & Parker, K. C. H. (1994). Stability and transmission of attachment across three generations. Child Development, 65(5), 1444-1456. doi:10.2307/1131510
  54. Bowlby, J. (1969). Attachment and loss (Vol. 1). London, UK: The Hogarth Press.
  55. Collins, N. L., & Read, S. J. (1990). Adult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relationship quality in dating coup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4), 644-663. https://doi.org/10.1037/0022-3514.58.4.644
  56. Cooper, M. L., Shaver, P. R., & Collins, N. L. (1998). Attachment styles, emotion regulation, and adjustment in adolesc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5), 1380-1397. https://doi.org/10.1037/0022-3514.74.5.1380
  57. Crowell, J. A., & Feldman, S. S. (1991). Mothers' working models of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mother and child behavior during separation and reun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7(4), 597-605. doi:10.1037//0012-1649.27.4.597
  58. Denham, S. A., Biar, K. A., Demulder, E., Levitas, T., Sawyer, K., Auerbach-Major, S., & Queenan, P. (2003). Preschool emotional competence: Pathway to soci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74(1), 238-256. doi:10.1111/1467-8624.00533
  59. Fisher, K. R., Hirsh-Pasek, K., Golinkoff, R. M., & Gryfe, S. G. (2008). Conceptual split? Parents’ and experts’ perceptions of play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9(4), 305-316. doi:10.1016/j.appdev.2008.04.006
  60. Fogel, L. (2003). Parent belief about play: Relations with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child peer play compet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Columbia.
  61. Fraley, R. C., Waller, N. G., & Brennan, K. A. (2000).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2), 350-365. doi:10.1037/0022-3514.78.2.350
  62. Glynn, M. A., & Webster, J. (1992). The adult playfulness scale: An initial assessment. Psychological Reports, 71(1), 83-103. doi:10.2466/pr0.1992.71.1.83
  63. Hamm, E. M. (2006). Playfulness and the environmental support of play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26(3), 88-96. doi:10.1177/153944920602600302
  64. Hendrick, C., & Hendrick, S. S. (1989). Research on love. Does it measure up?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5), 784-794. doi:10.1037//0022-3514.56.5.784
  65. Lieberman, J. N. (1965).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7(2), 219-224. doi:10.1080/00221325.1965.10533661
  66. Lovejoy, M. C., Graczyk, P. A., O’Hare, E., & Neuman, G. (2000).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5), 561-592. https://doi.org/10.1016/S0272-7358(98)00100-7
  67. Park, L. E., Crocker, J., & Mickelson, K. D. (2004). Attachment styles and contingencies of self-worth.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0(10), 1243-1254. doi:10.1177/0146167204264000
  68. Simpson, J. A., Rholes, W. S., Campbell, L., Tran, S., & Wilson, C. L. (2003). Adult attachment,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and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6), 1172-1187. doi:10.1037/0022-3514.84.6.1172
  69. Ward, M. J., & Carlson, E. A. (1995). Associations among adult attachment representations, maternal sensitivity, and infant-mother attachment in a sample of adolescent mothers. Child Development, 66(1), 69-79. doi:10.2307/1131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