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방문요양보호사를 활용한 재가 치매노인대상 방문 맞춤형 움직임 프로그램 구성요소

Composition of Visit-customized Movement Program Utilizing Care Workers for the Home-cared Elderly with Dementia

  • 투고 : 2019.07.31
  • 심사 : 2019.09.26
  • 발행 : 2019.09.30

초록

본 연구는 방문요양보호사를 활용한 치매노인을 위한 방문 맞춤형 움직임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델파이 방법을 이용하여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치매노인을 위한 움직임프로그램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고찰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용치료전문가 8명, 치매전공 의사 2명, 노인운동전문가 5명, 요양보호전문가 5명 총 20명의 전문가 패널을 선정하였다. 1차 델파이 설문지는 내용분석을 하였고, 2, 3차 델파이 설문지는 5점 Likert척도로 구성하였으며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EXCEL 프로그램으로 핵심요소 항목별 평균, 표준편차, 사분위수 범위, 수렴도, 합의도, 내용타당도 비율(CVR)를 산출하였다. 전문가 패널들이 재가 치매노인을 위한 움직임프로그램 구성 시 적합하다고 합의한 필요한 요소는 고려요소 6개, 필요 요소 7개, 빈도 주 3회 1개, 시간 30분 1개, 운영방식 1개, 리듬표현운동 5개, 유산소 운동 4개, 근력운동 4개, 스트레칭 5개, 파트너운동 3개, 마사지 4개, 소도구 5개 등 총 46개 요소가 채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composition of the mov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to develop visit-customized movement program. For the study, 20 experts were selected including 8 dance therapists, 2 dementia-specialized doctors, 5 physical education leaders of the elderly, and 5 geriatric care helpers. First Delphi data, which listed items, was used to analyze content. Second and third Delphi questionnaires, which evaluated importance in Likert scale, was used to calculate content validity rate, average, standard deviation, quartile, convergence degree, and concurrence degree of each composition. 46 core composition of mov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which were selected and highlighted by the experts, were departmentalized into 6 considered compositions of movement program. 7 required composition of movement program, 1 Appropriate frequency of 3 times in a week and 1 30 minutes for each exercise, 1 operation method, 5 appropriate exercise of rhythm expression, 4 appropriate aerobic exercise, 4 appropriate muscle exercises, 5 appropriate stretches, 3 appropriate partner exercises 4 Appropriate massages, 5 appropriate tool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수연, 원영신, 박휴경(2017). 치매환자를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제공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1(3), 131-152.
  2. 김영미, 홍혜전(2014). 노인의 치매예방을 위한 창의움직임 홀니스프로그램 개발. 한국무용과학회지, 30(4), 1-13.
  3. 김재남, 이창대, 박지혁(2015). 운동프로그램이 치매환자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신경재활치료과학, 4(2), 7-15. https://doi.org/10.22683/TSNR.2015.4.2.007
  4. 김희걸, 남혜경(2011). 세라밴드 운동이 여성노인의 유연성, 평형성, 근력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2(4), 451-457. https://doi.org/10.12799/jkachn.2011.22.4.451
  5. 고정자, 최은주(2001). 재가 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수혜실태 및 요구도. 생활과학연구논문집, 9(1) 51-90.
  6. 국민건강보험(2014). 노인장기요양보험 내실화. '2014년도 가장 잘한 정책으로 평가'. http://www.longtermcare.or.kr/npbs/e/b/101/npeb101m01.web?menuId=npe0000000030
  7. 국민건강보험(2016). 9월 1일부터 재가 서비스를 받는 수급자에게 24시간 방문 요양서비스를 제공. http://www.longtermcare.or.kr/npbs/e/b/101/npeb101m01.web?menuId=npe0000000030
  8. 노인복지법시행규칙(2019).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9853&efYd=20190705#0000
  9. 박명자(2008). 세라밴드 운동과 인지훈련이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동작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10. 박상미, 이지선, 이규원, 최원석, 김경란(2017).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초기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재활치료에 관한 체계적 고찰. 대한인지재활학회지, 6(1), 39-63.
  11. 박인성(2016). 노인의 낙상위헌 요인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16(11), 111-114.
  12. 성기석 외(2018). 3D 근육학으로 정확하게 배우는 클리니컬 마사지-해부학과 치료의 통합. 서울: 영문출판사.
  13. 서주연(2012). Heather Hill의 무용치료 구성요소를 활용한 치매노인 그룹치료 사례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3(2), 137-165.
  14. 신기석, 신선혜, 양영애(2015). 경증치매 환자에게 적용한 작업치료 중심의 인지재활이 미치는 효과.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9(2), 13-18.
  15. 심용수, 김범생, 손영민, 김기성, 윤보라, 양동원(2005). 체위성두통 없이 양측 외전신경마비를 보인 자발성두개내저압증. 한국신경과학회지, 23(5), 727-729.
  16. 송낙훈(2016). 저항성 운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여성의 인지기능 및 치매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4(2), 305-315.
  17. 송영숙(2018). 요양보호사 왜 자꾸 그만둘까? 프레시안, 2018. 1. 5.
  18. 송후승(2017). 후기노인을 위한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대학원.
  19. 안나연(2016). 치매 환자의 저항성 탄성밴드 운동 프로그램이 상지근력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16(2), 91-98.
  20. 이광석, 이희주(2016). 치매특별등급 제도운영에서 지방정부의 역할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72(2), 165-194.
  21. 이경희(2007). 바티니에프 기본원리(Bartenieff Fundamentals)가 무용치료사의 신체지각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2. 이금자, 김화수, 임은실(2018).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 의사소통 놀이 (3), 서울: 학지사.
  23. 이경옥, 진행미, 임호남, 전혜자(2010). 허약한 노인들을 위한 운동 (2). 서울: 대한미디어.
  24. 이동진(2014). 세라밴드를 이용한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근력, 균형,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2(4), 1-8. https://doi.org/10.15268/ksim.2014.2.4.001
  25. 이민수, 송낙훈(2016). 인지기능향상프로그램이 치매위험군 노인여성의 인지기능 및 우울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0(2), 123-138.
  26. 이한규(2006). 기술적 문제해결력 평가틀 개발.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7. 오해병(2019. 6. 7). 뇌세포를 쌩쌩하게 하는 춤과 운동의 생화학적 바탕은 무엇일까. 메디게이트뉴스. http://www.medigatenews.com/news/2973551184
  28. 조아람, 김영신(2015).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음악치료학회지, 17(2), 57-79.
  29. 중앙치매센터(2017). http://치매국가책임제.nid.or.kr/sub/nid00_1.html
  30. 전영, 신선혜, 김한나(2017). 치매환자의 인지치료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1(1), 1-8.
  31. 전현주(2017). 한국무용 치료프로그램이 노인 치매환자의 생활스트레스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6(6), 447-457.
  32. 전현주(2016). 무용공연예술 치료프로그램이 노인 치매 환자의 우울, 불안 및 어깨관절 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3(1). 95-106.
  33. 정석원, 라국환, 우상우(2014). 8주간 복합운동을 통한 치매 개선 효과 검증. 대한운동사협회, 1(5), 67-74.
  34. 황윤정, 이강숙, 임현국, 김대진, 정원미(2011).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치매환자와 보호자에게 적용한 맞춤형 작업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노년학, 31(1), 129-141.
  35. 홍혜전(2016). 리듬움직임 활동이 경증 알츠하이머 노인의 우울정서와 정신행동증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무용과학회지, 33(2), 97-110.
  36. KBS 명견만리 제작팀(2016). 명견만리-인구, 경제, 북한, 의료편(향후 인류에게 가장 중요한 것을 말하다). 인프루엔설.
  37. 홍진수, 김지환(2017. 6. 2). '치매국가책임제' 내년부터 본격 시행.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6021334001
  38. Aarts, & Dijksterhuis (1999). To plan or not to plan? Goal achievement of interrupting the performance of mundane behaviors.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9 (8), 971-980. https://doi.org/10.1002/(SICI)1099-0992(199912)29:8<971::AID-EJSP963>3.0.CO;2-A
  39. Wood, Quinn, & Kashy (2002). Habits in everyday life: Thought, emotion, and 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 (6), 1281-1297. https://doi.org/10.1037//0022-3514.83.6.1281
  40.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09). 2006 Health insurance annual report. Retrieved October, 22, 2013 from http://www.nhis.or.kr/portal/siye/main/MENU_WBDDG02
  41. Frontiers in Aging Neuroscience. (2019). https://doi.org/10.3389/fnagi.2017.00059
  42. Front. Aging Neurosci., 21 December (NCT01472744 on ClinicalTrials.gov). https://doi.org/10.3389/fnagi.2015.00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