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큐리티요원의 감정노동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Adjustment Effect for Coping Strategy from Fatigue Scale of Security Guard's on Emotional Labor

  • 김의영 (호서대학교 법경찰행정학부) ;
  • 조성진 (호서대학교 스포츠과학부)
  • 투고 : 2019.07.09
  • 심사 : 2019.09.10
  • 발행 : 2019.09.30

초록

본 연구는 시큐리티요원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따른 조절효과를 규명하여 시큐리티요원들의 근무환경과 복지수준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큐리티요원 230명을 대상자로 표집하였으나 응답이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한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시큐리티요원의 감정노동이 피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내면행동이 높을수록 피로도가 낮아지는 반면에 표면행동이 높을수록 피로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큐리티요원의 감정노동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적극적 대처가 높은 집단이 감정노동에 따라 피로도가 높아지는 반면 소극적대처가 높은 집단이 더 높은 피로도를 보이는 것으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시큐리티요원의 감정노동은 피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스트레스대처방식에 의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시큐리티요원들이 적극적인 대처방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조직차원에서 종사원들에 대한 관리시스템에 변화를 주어 조직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 자율적인 기업문화를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elfare level of the security guard by identifying the primary effects of stress response on fatigue with emotional labor and identifying the adjustment effects with coping strateg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14 security personnel using questionnaire and the statistical tests of correlation, heavy retur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tur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statistics program were used to reach the conclusion that: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the emotional labor of a security guard affects fatigue Second,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fatigue of a security guard have been shown to have the effect of coping strategy. Based on the above studies, it was concluded that the emotional labor of a security guard was affected by fatigue and could be controlled by a stress coping strategy.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 need to seek an autonomous corporate culture based on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by changing the management system for employe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so that security guards can use an active way of cop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완, 박기범, 전용태 (2006). 민간병비조직 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1, 1-20.
  2. 구동욱 (2016). 민간경비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경식, 박영만 (2014). 민간경비원의 피로도 척도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1), 175-185.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175
  4. 김경희 (2011). 서비스 사회의 감정노동에 대한 이해. 국제노동브리프, 9(5), 27-37.
  5. 김상범, 임은정 (2016).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피로관리와 직무만족간의 관계성 연구. 관광연구저널, 30(12), 137-151.
  6. 김왕배, 이경용, 이가람 (2012). 감정노동자의 직무환경과 스트레스. 한국사회학, 46(2), 123-149.
  7. 김의영, 이종환, 조성진 (2014). 시큐리티요원의 감정노동 수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고객지향성의 관계. 융합보안논문지, 14(3), 23-25.
  8. 김의영, 이준우, 조성진 (2013). 시큐리티요원의 근무경력에 따른 감정노동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7, 269-293.
  9. 박민희, 이재곤, 박운서 (2015).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피로도, 개인업적이 직무만족, 직무성과 및 서비스회복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19(4), 151-179.
  10. 박영만, 하정훈 (2014). 시큐리티 종사자들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과의 관계.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3(3), 190-220.
  11. 박종주, 김희년 (2017).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서비스연구, 7(2), 1-28.
  12. 박주상 (2013). 교대근무 경찰공무원의 수면장애, 피로, 직무만족 미치 삶의 질의 관계. 한국경찰학회보, 15(3), 53-70.
  13. 사만석 (2014). 시큐리티요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지, 3(2), 45-66.
  14. 손정연 (2017). 오늘도 상처를 입으며 일한 당신에게. 팜파스.
  15. 송지준 (2011).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서울: 21세기사.
  16. 심정선 (2010). 민간경비원의 직무 스트레스, 전신건강 및 대처방식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23(4), 733-754. https://doi.org/10.24230/KSIOP.23.4.201011.733
  17. 윤덕환 (2017). 내부고객의 감정노동에 미치는 표현규칙의 영향: 고객, 상사, 동료대상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3, 135-157.
  18. 이민정 (2014). 초등교사의 스트레스대처방식과 심리적소진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은연, 김주성 (2017). 간호사의 감정노동, 피로 및 근골격계 통증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1), 351-359. https://doi.org/10.5762/KAIS.2017.18.1.351
  20. 이종호 (2016).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직무척도 개발 및 구조검증.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학은 (2016). 감정노동에서 나를 지키는 방법. 전나무숲.
  22. 이혜영, 유숙희, 최서언 (2013). 미용업 근로자의 직무관련요인 노출수준 비교.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15(3), 83-91. https://doi.org/10.12812/ksms.2013.15.3.83
  23. 정유미 (2004).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인경, 김정현 (2016).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34(4), 193-211.
  25. 조철규, 최동재, 박수현 (2015). 아파트 경비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6(4), 893-910.
  26. 최항석, 이해영, 정무관 (2012). 노인복지시설 급식관리자의 감정노동 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15(4), 33-60.
  27. 한상근 (2016). 감정노동의 직업적 특성에 관한 연구. 노동연구, 32, 5-27.
  28. 허정행 (2011). 시큐리티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안전학회지, 7(2), 123-144.
  29.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0. Folkman, S., & Lazarus, R. S. (1985).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1), 150-170. https://doi.org/10.1037/0022-3514.48.1.150
  31. Lazarus, R. S., & Folkman, S. (1986).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tringer. New York.
  32. Roth, S., & Cohen, L. J. (1986), Approach, avoidance, and coping with stress. American Psychologist, 41, 813-819. https://doi.org/10.1037/0003-066X.41.7.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