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Recognition Attitudes of Residents on Safety Management against Disasters of Local Governments: Focused on Chungcheongbuk-do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 관리에 대한 주민 인식태도 연구 - 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

  • 이상열 (중원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 남재성 (원주 한라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Received : 2019.01.28
  • Accepted : 2019.02.22
  • Published : 2019.03.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safety management system against disasters perceived by local residents of Chungcheongbuk-do and then examined the policy directions to be considered in order for local governments to improve the safety level of residents and build an effective safety management system against disaster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ir recognition of risks of safety against disasters, recognition on the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f natural disasters was higher than that of social disasters or safety accidents. Secondly, also in the aspect of the importance of category of safety management against disasters, they recognized that of natural disasters far higher than others. Third, they showed satisfaction higher than average with basic job performance of local governments related with safety management, whereas they showed relatively less satisfaction with the aspects of check and publicity of risk factors, and short-term restoration system out of phased job performance. Fourth, in the aspect of capability of local governments for safety management against disasters, they rated positively capability of the responsible departments and the professionality, whereas they relatively underestimated the scale or budget of safety-related organizations. Fifth, the policy directions to be taken for safety against disasters by local governments included strengthening of regular education like experience-based training, expansion of education among local residents, more support for relevant facilities and resources, activation of residents-participating campaigns, improvement of apparatus and personnel treatment related with firefighting and security, frequent patrol and oversight, more exercises against disasters. So, to strengthen safety management system against disasters in local governments and build a effective responding system may need to extend programs assisting vulnerable class to safety against disasters, build a community-friendly safety management system, extend the cooperation system by participation of residents, enhance collaboration and support system with safety-related bodies like police, firefighters.

재난안전의 가장 중요한 주체 중 하나인 지방자치단체의 관리 및 대응역량은 지역주민의 삶과 직결될 수 있는 중요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 연구는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실증연구를 통해 지역주민들이 인식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 관리체계와 대응역량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향후 자치단체들이 주민들의 안전도 향상과 효과적인 재난안전 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 검토해야 할 정책 추진방향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재난안전에 대한 위험 인식에 있어 자연재난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위험 인식이 사회재난이나 안전사고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재난안전 관리 영역의 중요도에 있어서도 자연재난의 영역을 더욱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 관리 업무 중 기본적 업무 수행에 대해서는 평균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지만 각 단계별 업무 수행 중 위험요소의 점검 및 전달, 단기적 복구체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재난안전 관리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량에 대해서는 담당부서의 역량과 전문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지만, 안전 관련 조직의 규모나 예산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다섯째, 재난안전을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해야 할 정책방향으로는 교육 및 체험 등의 정규교육 강화, 지역주민 대상 교육 확대, 시설 및 재원의 지원 강화, 주민참여 운동의 활성화, 소방 및 치안 분야 장비 및 처우개선, 수시 순찰 관리 및 감시, 재난 대비 훈련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 관리체계를 강화하여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재난안전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 확대, 지역친화형 재난안전체계 구축, 주민 참여형 협력체계 확대, 경찰이나 소방 등 안전 관련 기관과의 협력 및 지원체계 강화가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경훈, 이병기 (2015). 지방자치단체 안전관리 역량강화 방안 연구-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9(4), 369-391. https://doi.org/10.18398/KJLGAS.2015.29.4.369
  2. 김봉철 (2014).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상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그 강화방안.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324-327.
  3. 김영미 (2017).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방정부 재난안전 거버넌스: 서울시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5(1), 61-67. https://doi.org/10.14400/JDC.2017.15.1.61
  4. 남궁근 (1995). 재해관리행정체제의 국가간 비교연구. 한국행정학회보, 29(3), 957-979.
  5. 박동균 (2007). 시민보호를 위한 세계 재해구호 거버넌스와 재난관리 협력 체계. 충북대 국가위기관리연구원 학술세미나 자료집, 84.
  6. 박동균, 장철영 (2018). 제천화재참사 사례를 통해 본 한국 위기관리행정의 문제점. 한국지방자치연구, 19(4), 133-156.
  7. 안혁근 (2010). 효율적 재난관리를 위한 민관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방안.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17-130.
  8. 양기근 외 (2006). 지방정부의 재난관리조직의 개선방안-통합형 재난관리 조직설계.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25.
  9. 유병태, 오금호 (2013a). 재난관리 공시체계를 통한 지방자치단체 재난역량강화 방안. 한국위기관리논집, 9(5), 58-63.
  10. 유병태, 오금호 (2013b).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관리 자체 역량분석 프로그램 개발.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9(3), 267-268.
  11. 유은지, 엄영호 (2017). 지방정부간 재난관리의 차이는 왜 발생하는가?: 지방정부 재난관리기금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0(4), 89-113.
  12. 윤필환 (2017).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체계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재은 외 (2005). 미래사회의 환경변화와 재난관리시스템 발전전략 : 국가핵심기반 위기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15(3), 53-83.
  14. 이호동 (2011). 지방자치단체의 위기관리 역량강화 방안 : 일본의 지방위기관리체계 사례분석과 시사점.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7(3), 25-48.
  15. 이훈래 (2015).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재난안전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15(4), 129-130.
  16. 조석현 (2017). 재난관리의 민관협력체계에 대한 폐기학습 이론의 도입가능성 모색.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3(1), 43-62.
  17. 채 진 (2012). 다조직 재난관리 협력체계 분석. 한국행정학보, 49(2), 57-59.
  18. 최용호 (2005). 지방정부의 사전대비 재난관리체제 효율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676-679.
  19. Karwan, K. R., & Wallace, W. A. (1984). Can We Manage Natural Hazard? : Book Review.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4, 177-181. https://doi.org/10.2307/975871
  20. McLoughlin.Peter F. M. (1985). Subbiah Kannappan: employment problems and the urban labor market in developing nations. Journal of Economic Issues, 19(4), 1022-1026. https://doi.org/10.1080/00213624.1985.11504456
  21. http://m.knnews.co.kr/mView.php?idxno=1217673&gubun, 2018.12.01 검색.
  22. http://www.joongbo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223359, 2018.12.02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