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현 (2015). 조직문화에 따른 직무만족.조직몰입이 보안정책준수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보안연구, 5(2), 167-199.
- 김연숙 (2014). 시민단체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연숙, 이희선, 신황용 (2012). 시민단체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26(2), 1-31. https://doi.org/10.24210/KAPM.2012.26.2.001
- 김현수 (2016). 리더십유형, 사내기업가정신, 조직신뢰, 최고경영자 지원이 보안정책준수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산업보안연구, 6(2), 111-141.
- 김호균 (2007). 조직공정성인식, 조직신뢰, 조직시민행동간 영향관계분석. 한국행정학보, 41(2), 69-94.
- 박계홍, 김종술 (2013). 변화와 혁신을 위한 리더십. 경기: 학현사.
- 박길수, 최인옥 (2011). 공군 조종사의 조직갈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 직업능력 개발연구, 14(2), 153-176.
- 박상진 (2007). 한국 민간경비산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법.제도적 통제를 중심으로.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0, 281-307.
- 박재곤 (2016). 조직특성이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근거이론적 해석과 모형화 연구:군 조직의 내부자 보안위협을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변상우 (2014). 글로벌 리더십. 서울: 청람.
- 송경미 (2013). 조직 내 정보기술능력이 정보보안관리 동화에 미치는 영향 및 최고경영진의 주도와 정책-기술간 조화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신혁 (2018). 계획행동 요인을 매개로 경영진 역할과 보호동기가 정보보안정책 준수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신현구 (2015). 산업보안정책 준수의지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조직요인과 개인요인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안성진 (2010). 지방정부조직 내 상사.동료신뢰와 조직신뢰의 관계: 부서응집력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유재두 (2015). 해양경비안전서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연구, 14(4), 301-318.
- 이민성 (2013). 정보담당 공무원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성규 (2015). 산업보안정책 준수의지 결정요인 연구: 조직공정성 조절효과 관점. 서울벤처 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용주 (2011). 민간경비조직 구성원의 변혁적.서번트 리더십이 팔로워십, 임파워먼트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재한, 한상호, 김규원, 양재장 (2012). 외식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슈퍼바이저의 변혁적 리더십이 가맹점의 조직신뢰와 집단응답성, 그리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학회지, 8(1), 163-186. https://doi.org/10.22509/KFSA.2012.8.1.008
- 이종건, 김동호 (2008). 리더십 스타일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 카리스마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의 상호작용 효과. 대한경영학회지, 21(4), 1495-1521.
- 임명순 (2006). 민간경비교육기관 개방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개정 경비업법 시행규칙 제12조제2항을 중심으로. 한국민간경비학회보, 7, 309-322.
- 정신교 (2005). 범죄학개론. 서울: 형설출판사.
- 주재진 (2009). 경찰공무원의 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22, 401-429.
- 채정석, 이주락 (2019). 공항 특수경비원의 보안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보안연구, 9(1), 93-116.
- 최연준 (2018). 국가중요시설의 물리보안 수준과 보안정책 준수의지가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홍만 (2019). 민간경비와 경찰 간 협력방안 구축을 위한 영향요인 분석.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하미승 (2018). 리더십 이론과 개발. 서울: 윤성사.
- 허남철 (2009).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신뢰와 역할 내 행동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희망과 친밀감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허용규, 정강국 (2019). 변혁적 리더십이 호텔 종사원의 서비스 혁신행동과 이타적 행동에 미치틑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관광경영연구, 88, 243-265.
- Bass, B. M. (1985).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New York : The free Press.
- Bass, B. M., & Avolio, B. J. (2000). MLQ-Multi 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Redwood city, CA: Mind Garden.
-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and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136-162). Newbury Park, CA: Sage.
- Burns, J. M. (1978). Leadership. New York : Harper & Row.
- Chew, E., Swanson, M., Stine, K., Bartol, N., Brown, A., & Robinson, W. (2008). Performance Measurement Guide for Information Security. NIST Special Publication 800-55, Revision 1.
-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 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https://doi.org/10.1037/1082-989X.1.1.16
- Gilbert, J. A., & Tang, S. P. T. (1998). An examination of organizational trust antecedents. Public Personnel Management, 27, 321-325. https://doi.org/10.1177/009102609802700303
- Goel, S., & Chengalur, S. I. N. (2010). Metrics for Characterizing the Form of Security Polices. Journal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19, 281-295. https://doi.org/10.1016/j.jsis.2010.10.002
- Herath, T., & Rao, H. R.(2009). Encouraging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s in Organizations:Role of Penalties, Pressures and Perceived Effectiveness. Decision Support Systems, 47(2), 154-165. https://doi.org/10.1016/j.dss.2009.02.005
- Hosmer, L. T. (1995). Trust: The connecting link between organizational theory and philosophical ethic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2), 379-403. https://doi.org/10.5465/amr.1995.9507312923
- Humaidi, N., & Balakrishnan, V. (2015). Leadership Styles and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Behavior: The Mediator Effect of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Education Technology, 5(4), 311-318. https://doi.org/10.7763/IJIET.2015.V5.522
- Maslow, A. H. (1968).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Van Nostrand: New York.
- Rees, J., Bandyopadhyay, S., & Spafford, E. (2003). PFIRES: A Policy Framework for Information Security. Communications of the ACM, 101-106.
- Robinson, S. L. (1996). Trust and breach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1(4), 574-599. https://doi.org/10.2307/2393868
- Rousseau, D. M., Sitkin, S. B., Burt, R. S., & Camerer, C. (1998). Not so different after all: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3), 393-404. https://doi.org/10.5465/amr.1998.926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