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웹기반 기초학력 진단-보정학습 시스템의 사용자 친화적인 개선 프로토타입 개발

User-friendly Improved Prototype Development on Web-based Diagnostic-supplement Learning System for Basic Academic Skills

  • 투고 : 2018.11.17
  • 심사 : 2018.12.05
  • 발행 : 2019.01.31

초록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기초학력 지원을 위해 2015년부터 초 중등 교사를 대상으로 활용되고 있는 기초학력 진단-보정 학습 시스템의 사용성 문제를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유형(학교관리자 및 교사)별 UX/UI를 기초 설문조사, 사용자 테스팅, 심층 인터뷰, 전문가 휴리스틱스 등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양적/질적 사용성 평가결과 분석을 통해 도출된 개선사항을 반영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시스템으로 개선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단위로 활용하고 있는 기초학력 진단-보정 학습 시스템을 사용자 유형(관리자/교사/학생)별 맞춤형 기능 및 UX/UI 개선을 통해 사용자 친화적 시스템으로 개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User eXperience (UX) of the diagnostic-supplement learning system for Basic academic skills which has been utilized by teachers nationwide since 2015 in order to provide a consistent and systematic support on students' basic academic skills in K-12 school context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usability evaluations such as basic questionnaire about UX/UI of the system according to user types, user testing, in-depth interview, expert heuristics were conducted. In addition, user-centered system was suggested through developing and iteratively evaluating the prototypes based on the user requirements drawn from the findings of suc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usability evaluations.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in suggesting the user-friendly design through the UX/UI improvements of the diagnostic-supplement learning system for Basic academic skills.

키워드

참고문헌

  1. 황윤자, 차현진 (2017). 어포던스 이론에 근거한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 연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6). 71-81.
  2. 박성열, 차승봉, 나현미 (2018). 온라인 기초 학력 진단-보정 시스템에 대한 교사의 성별, 사용경험, 학교유형이 사용의도 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교육혁신연구, 28(2), 263-286.
  3. 전수진, 김한성 (2016). 웹 기반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의 개선 방안 도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5), 487-498.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5.487
  4. 박찬호, 김규태, 이병환 (2013). 2013년 온라인 기초학력 향상 지원 체계현황 분석 및 발전 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 연구보고 RM 2014-6. 한국교육학술정보원.
  5. 류지헌, 정효정 (2013). 원격대학 학습자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스마트패드용 전자교재 사용의도에 대한 기술수용모형 분석, 교육방법연구, 25(2), 623-647.
  6. 임세헌 (2007). 성별 특성에 따른 무선인터넷 서비스 품질, 만족도, 추가사용 의도에 관계 분석: 휴대폰 사용자를 중심으로,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4(1), 57-74.
  7. 임창석 (2016). 농산물 온라인 구매에서 정보 품질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Preece, J., Rogers, Y., & Sharp, H. (2015). Interaction Design: beyond human-computer interaction, 4th Edition, Glasgow: Wiley & Sons Ltd.
  9. Nielson, J. (2012). How many test users in a usability study https://www.nngroup.com/articles/howmany-test-users/
  10. Nielsen, J. (2009). Mobile usability update. https://www.nngroup.com/articles/mobile-usability-first-findings/
  11. 심화영, 송해덕(2013). 사이버대학에서 이러닝 콘텐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질 개선을 위한 사용성 평가연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1). 13-23. https://doi.org/10.32431/KACE.2014.17.1.002
  12. 서영석 (2007). 웹기반 학습 사이트 사용성 평가 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3. 임철일 외 (2009). 디지털교과서 플랫폼 사용성 평가 및 UI 모델 개발. 교육과학기술부 이러닝지원과.
  14. Alsumait, A., & Al-Osaimi, A. (2010). Usability heuristics evaluation for child elearning applications, Journal of Software, 5(6), 654-661.
  15. Jones, T. S. & Richey, R. C. (2000). Rapid prototyping methodology in action: A developmental study,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8(2), 63-80. https://doi.org/10.1007/BF02313401
  16. 차현진, 황윤자 (2017). 초.중학생 대상 웹기반 진단평가관리 시스템 사용성 개선을 위한 휴리스틱스 개발 및 검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6), 675-690.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6.675
  17. 김진우 (2012). HCI 개론: UX Innovation을 위한 원리와 방법, 파주: 안그라픽스.
  18. Ericsson, K. A., & Charness, N. (1994). Expert performance: Its structure and acquisition. American psychologist, 49(8), 725-747. https://doi.org/10.1037/0003-066X.49.8.725
  19. Grant, J. S., & Davis, L. L. (1997). Selection and use of content experts for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3), 269-274. https://doi.org/10.1002/(SICI)1098-240X(199706)20:3<269::AID-NUR9>3.0.CO;2-G
  20. Elo S., and H. Kyngas, H. (2008).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1), 107-11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569.x
  21. Patton, M. Q. (2002)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 Sage Publications: London.
  22. ChangeOn (2015). [비영리를 위한 UX 전문가의 인사이트] 3부 - 사용성에서 Less is More, http://changeon.org
  23. Harley, A. (2014). Icon usability, Nielsen Norman Group: Visual Design, https://www.nngroup.com/articles/iconusability/
  24. 고석하, 김주성, 김영기. (2004). 웹사이트의 구조와 정보량 및 사용자 과업 복잡도가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 management, 12(2), 145-161.
  25. Cha, H.J. & Ahn, M.L. (2014). Development of design guidelines for tools to promote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classroom teaching,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5, 511-523. https://doi.org/10.1007/s12564-014-93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