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apital Gains Tax Ac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cedents of the cases of the lawsuit - Focusing on the transfer of inherited and donated property -

행정소송판례 검토를 통한 양도소득세법 개선방안 - 상속·증여받은 자산의 양도를 중심으로 -

  • Yu, Soon-Mi (BERI, Department of Account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Hye-Ri (School of Business, Pusan National University)
  • 유순미 (경상대학교 경영대학 회계학과, 경영경제연구소) ;
  • 김혜리 (부산대학교 경영대학)
  • Received : 2019.11.11
  • Accepted : 2019.12.14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When calculating gains from transfers of assets inherited or donated, the value recognized at the market price as of the date of inheritance or acquisition is recognized as the actual transaction value at the time of acquisition. However, Precedents for the appeal for review by the NTS, the request for adjudgment by the Tax Tribunal(TT) and the request of examination b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BAI) and the cases of the lawsuit have not shown a consistent results on how much such a the actual transaction value will be measur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current tax appeal system using the statistical data of the TT, NTS, and BAI and cases of the lawsuit from 2008 to 2017, and suggests the Improvement of Capital Gains Tax Act on the transfer of inherited and donated property. As a result, total number of requested cases has diminished because cases of the pre-assessment review and the reconsideration appeal by the NTS have decreased steadily over the past decade, while the cases of the lawsuit and the administrative trials(the request for adjudgment by the TT, the appeal for review by the NTS, and the request of examination by the BAI)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Also This study found that more than 40% of the complainants proceeded with the cases of the lawsuit proceedings in disagreement with the disposition of tax dissatisfaction under the administrative trials. In addition, Even though the retrospective appraisal price is not recognized as the market price due to the strict interpretation of the tax regulations, it can be seen that it is interpreted as a more expanded concept in the application of the market price than the government office or the tax judg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cedents of the cases lawsui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gulation on the recognition of retroactive appraisal value.

현행 양도소득세법에서는 상속·증여받은 자산을 양도할 때 양도가액에서 차감되는 취득가액으로 상속개시일 또는 취득일 현재 시가로 평가한 가액을 취득당시의 실지거래가액으로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시가를 어디까지 인정할 것인가에 대해 국세청 심사청구, 조세심판원의 심판청구 및 감사원의 심사청구결과와 행정법원이 일관된 판례를 보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의 조세불복현황의 추이를 분석하고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관련 조세심판례 및 행정법원 판례의 세법해석 및 적용상의 쟁점들을 검토한 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지난 10년간 과세전적부심사·이의신청·국세청 심사청구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반면, 감사원 심사청구·조세심판원의 심판청구·행정소송은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불복청구인들은 조세심판원의 심판청구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속받은 자산의 불복청구인은 행정소송의 전단계에서 이루어진 국세기본법상의 조세불복의 처분에 불복하여 10년 평균 41.4%가 행정소송으로 진행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편, 상속·증여받은 자산의 양도시 취득가액의 시가인정범위에 대해 과세당국 및 조세심판원 등은 세법규정의 엄격해석으로 소급감정가액을 시가로 인정하지 않지만 조세행정소송에서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평가한 가액으로서 공신력 있는 감정기관의 소급감정가격도 포함하고 있어 법원은 과세당국이나 조세심판원보다 시가의 범위 적용에 있어 좀 더 확장된 개념으로 해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다른 판결이 도출될 경우 납세자 입장에서는 과세관청이나 행정법원의 판결이 상충되어 동일한 사안에 대해서 예측가능성에 혼란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해석의 차이에 대해 납세자 입장에서는 경정청구부터 시작하여 심사 또는 심판청구라는 전심절차를 경유하여 차후 행정소송까지 진행하게 되어 불필요한 납세협력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소송비용에 대한 부담이 크고, 세무전문가의 조력을 받기 어려운 부담여력이 낮은 납세자는 결과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세부담을 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과세관청, 조세심판원 및 법원도 세법의 해석이나 세금 관련 분쟁 해결에 불필요한 조세행정비용(tax administration cost)이 소요된다. 따라서 법원판례에 따라 소급감정가액 인정에 대한 규정을 신설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재완.윤태화(2013), "양도소득세 실지거래 가액 과세제도 도입과 조세부담의 변화", 세무학연구, 30(4), 341-366.
  2. 기은선.심준용.김기영.윤재원(2019), "조세심판례 검토를 통한 상속세및증여세법상 보완점 분석", 세무와회계저널, 20(3), 189-224.
  3. 김홍기.홍정화(2011), "효율적인 납세자권리 구제 방안 연구-조세심판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세무학연구, 28(4), 177-212.
  4. 나종희.홍기용(2010), "상속.증여받은 부동산의 양도에 따른 양도차익 계산시 취득가액의제에 대한 쟁점과 대응", 대한경영학회지, 23(4), 2329-2351.
  5. 박상봉(2016), "조세심판청구제도의 문제점에 관한 개선방안", 경영과정보연구, 35(2), 67-81.
  6. 박종수(2012). 조세소송법 제정방안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7. 박한준.서희열(2013), "양도자산 의제취득가액 산정방법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법률 제 4803호 소득세법 개정법률 부칙 제8조 중 토지를 중심으로" 재무와회계정보저널, 13(3), 69-97.
  8. 배형남.김갑순(2015), "조세심판청구의 특성 요인이 심판결정에 미치는 영향", 세무와회계저널, 16(6), 205-237.
  9. 배형남.김갑순.윤성만(2014), "조세심판청구의 금액, 쟁점사항 및 조세심판원의 조직개편이 심판결정의 처리기간에 미치는 영향 -조세심판원의 비상장주식 관련 심판결정례를 중심으로", 세무와회계저널, 15(5), 345-372.
  10. 안숙찬(2003), "조세불복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9, 5-87.
  11. 안숙찬(2017), "조세불복제도의 운용실태와 개선방안", 세무와회계저널, 18(5), 111-140.
  12. 윤태화.심현욱(2006), "상속세및증여세법상 유사재산시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재무와 회계정보저널, 6(1), 187-211.
  13. 이수진.김보례(2014), 납세자 권익보호 제도 현황과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 현장조사 보고서.
  14. 이전오(2007), 조세구조제도의 개선방안, 한국법제연구원.
  15. 홍기용(2011), "납세자보호와 납세자보호원에 관한 연구", 세무와회계저널, 12(1), 325-348.
  16. 감사원 홈페이지, http://www.bai.go.kr/bai/html/examinationclaims/examinationclaimsinfo.do;jsessionid=pmSwQeWZ6kI4OswJqseK9NSI.node01?mdex=bai56.
  17. 감사원(2008-2018). 감사연보
  18. 국세청(2008-2018). 국세통계연보
  19. 조세심판원(2008-2018). 조세심판통계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