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Seolleung and Jeongneung historical cultural landscape forests of Joseon Royal Tombs and to prepare systematic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urrent situation, vegetation is dominated by Quercus aliena and Pinus densiflora, and it is distributed as Quercus aliena community 21.22%, Pinus densiflora community 21.22% and Pinus densiflora afforestation 3.69%. The main vegetation communities are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aliena community, Alnus ja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 afforestation, and Pinus koraiensis afforestation. Second, in the measuring of Diameter of Basal Height in eight quadrat, the main species were Pinus densiflora, Quercus aliena and Alnus japonica and the maximum Distribution of Diameter of Basal Height was 20-25cm of Pinus densiflora, 25-30cm of Quercus aliena, and 25-30cm of Alnus japonica. Third, the forest is located between King and Queen's royal tombs in Seolleung, which is not suitable for the form of the tombs. In Jeongneung, the narrow space of the ceremony area shows an unfavorable environment for the formation of pine forests, and the pine forests on the left and right have a different heights that hinders the visual landscape. Fourth, as a management plan for the forests, stray pine trees, which are exotic species, are removed and pine forests are formed along the ridges. After removing the forest between the King and Queen's royal tombs of Seolleung, grass is formed, and the height of the pine forest on the left and right of Jeongneung is adjusted, and pines near the Gokjang are continuously monitored. Visually heterogeneous trees are arranged boldly, the boundary is adjusted to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 deciduous trees and maintains a buffer space of about 10m.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Joseon Royal Tombs and in the future, the actual conditions of each Joseon Royal Tombs should be understood and appropriate management plans should be prepared.
본 연구는 조선왕릉 선릉·정릉 역사문화경관림의 실태를 파악하고 체계적인 보존·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문화경관림 현황의 경우 식생은 갈참나무와 소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갈참나무군락 21.22%, 소나무군락 21.22%, 소나무 식재림 3.69%로 분포하고 있다. 주요 식생 군락은 소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 소나무식재림, 잣나무식재림 등이다. 둘째, 8개 자연림 방형구에서 흉고직경을 측정한 결과 주요 수종은 소나무, 갈참나무, 오리나무였으며, 흉고직경의 최고 분포범위는 소나무 20-25cm, 갈참나무 25-30cm, 오리나무 25-30cm로 나타났다. 셋째, 선릉에는 능의 형식에 맞지 않게 왕릉과 왕비릉 사이에 숲이 조성되어 있으며 정릉에는 능역이 좁아 소나무림이 조성되기에 불리한 환경을 보이고 있으며, 제향공간 좌우의 소나무림이 높이차가 심해 시각적 경관을 저해하고 있다. 넷째, 역사문화경관림의 관리방안으로 외래종인 스트로브잣나무를 제거하고 능선을 따라 소나무림을 조성한다. 선릉의 왕릉과 왕비릉 사이의 숲 제거 후 잔디밭을 조성하고, 정릉 좌우의 소나무림 높이를 조정하고 곡장 가까이에 있는 소나무들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한다. 시각적으로 이질감을 보이는 수목들은 과감하게 정리하고, 경계부는 주변의 낙엽활엽수와 조화되도록 조정하고 10m내외의 완충공간을 유지한다. 본 연구는 역사적 상황이 유사한 조선왕릉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에는 개별 조선왕릉 역사문화경관림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