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Design Concept of Asymmetrical Building with 4 Purlins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측4량가 건축의 구조와 특징

  • 김버들 (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 ;
  • 이종서 (울산대학교 역사.문화학과)
  • Received : 2019.09.09
  • Accepted : 2019.11.27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esign concept of asymmetrical building with 4 purlins mainly in Sungkyunkwan(Confucian Shrines), Changgyeonggung palace and Changdeokgung pala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ymmetrical building with 4 purlins has the same height pillars, which was useful to control the side lenght and put a higher pillar without limit. Second, the side length of the asymmetrical building with 4 purlins is between 12 to 14 Ja[尺]. It's relatively longer than the minimum length(12 Ja) of 5 purlins architecture seen in later Joseon dynasty. Third, asymmetrical building with 4 purlins was not an anomalous structure when compared to 3 purlins and 5 purlins. It was actually a traditional style, unlike the current architectural recognition nowadays, which mainly focused on the balanced roof structure. These examples show that the architectures in Early Joseon dynasty were planned and constructed first according to the plane division that fit in a specific use or space.

Keywords

References

  1.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한국고전종합DB
  2.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한국고전종합DB
  3. 궁궐지(御製宮闕志), 한국학중앙연구원, K2-4363
  4. 고려대학교 박물관, 동궐, 고려대학교.동아대학교 특별전 도록, 2013
  5. 건축역사학회, 영조규범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6
  6. 국립문화재연구소, 전통목구조 결구법, 2014, 국립문화재연구소
  7. 권아송, 조선시대 주택에서 ㄱ자 꺾음부의 내부공간 변화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8
  8. 김도경, 지혜로 지은 집, 한국건축, 현암사, 2014
  9. 김도경, 조선후기 관찬문서의 목조건축, 건축역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2007, 357-368쪽
  10. 김버들․이종서, 조선전기 맞배직교형 건축의 유형과 전파, 건축역사연구, 27권, 2호, 2018, 39-50쪽 https://doi.org/10.7738/JAH.2018.27.2.039
  11. 김버들․이종서, 조선시기 궁궐 꺾음부의 구조와 그 변화, 건축역사연구, 25권, 6호, 2016, 61-72쪽 https://doi.org/10.7738/JAH.2016.25.6.061
  12. 김석현, 헛보의 구성과 의장을 통해 본 한국 다포계 건축의 특징,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32권, 2호, 2016, 145-156쪽 https://doi.org/10.5659/JAIK_PD.2016.32.2.145
  13. 김희철 남호헌, 수선사형지기에 나타난 고려시대 송광사 건물에 관한 연구, 호남문화연구, 42, 2008, 143-167쪽
  14. 노명호 등 8인, 한국고대중세고문서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15. 문화재청, 문묘실측조사보고서, 2006
  16. 문화재청, 집복헌.영춘헌 수리공사보고서, 2000
  17. 문화재수리기술자협회, 동궐도, 1999
  18. 서울학연구소, 궁궐지 I(서울학 번역총서, 1), 1994
  19. 성균관대학교 교사편찬위원회,성균관대학교 육백년사(成均館大學校六百年史): 1398-1998, 1998
  20. 양재영, 한국 목조건축 가구의 수평비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4권, 9호, 2008, 197-208쪽
  21. 양재영, 조선시대 다포건축의 출목과 도리배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9권, 10호, 2003, 129-136쪽
  22. 영건의궤연구회, 영건의궤, 동녘, 2010
  23. 윤기 저 이민홍 역, 조선조 성균관 교원과 태학생의 생활상_반중잡영 완역,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9
  24. 전봉희 이강민, 3칸${\times}$3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25. 정연상, 맞춤과 이음, 도서출판 고려, 2010
  26. 종로구청, 서울문묘일원 종합정비계획, 2009
  27. 최연식, 고려 사원형지안의 복원과 선종사원 공간 구성 검토, 불교연구, 제38집, 2013, 155-191쪽
  28. 태학지 번역사업회, 국역 태학지, 성균관, 1994
  29. 황종국 등 6인, 힘의 흐름을 고려한 전통 목조가구의 구조 형식 분류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제22권, 2호, 2006, 35-4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