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n brand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individual SPA brand and luxury brand on awareness, preferences and buying intention for collaboration items.

SPA브랜드와 명품브랜드의 브랜드 인지도와 선호도가 콜라보레이션 제품 인지도와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Kang, Ji-Young (Graduate School of Dongduk Women's University) ;
  • Chung, Sung-Jee (Dept. of Fashion Design, Dongduk Women's University) ;
  • Kim, Dong-Geon (Dept. of Statistics & Infomation Science, Dongduk Women's University)
  • 강지영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
  • 정성지 (동덕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과) ;
  • 김동건 (동덕여자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Received : 2019.10.15
  • Accepted : 2019.12.06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brand awareness and preference of collaboration products created by SPA and luxury brands using specific examples of collaborations, which are now becoming prevelent in the fashion industry. For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through a distribution of 3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333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Using a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ith SPSS, a frequency analysis, a factor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wareness and preferences of the SPA and luxury brands lead collaboration products to be preferred. In addition, consumers happen to have more favorable attitudes regarding the purchase of collaboration products. This means that matching brands with high preference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create profits from the collaboration products as awareness and the preference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success of projects. In particular,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luxury brands was found to have greater impact on the preference and recognition of collaboration the SPA brands. Accordingly, brands should expand and actively collaborate through a variety of methods and support proper collaborations that fit their image.

Keywords

References

  1. 고은주, 윤선영. (2004). 패션브랜드개성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정장, 캐주얼, 스포츠 브랜드의 비교-. 마케팅과학연구학회지. 14, 59-80.
  2. 김곡미. (2014). Collaboration을 이용한 상품디자인의 가치 증가에 관한 연구, 한국, 상품문화디자인학회논문집, 37, 13-28.
  3. 김보연. (2012).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관리 전략에 관한 고찰.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서연. (2013). 패션브랜드 콜라보레이션이 여대생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관리연구학회지, 6(1), 51-74
  5. 김영민. (2014).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공동 브랜드의 결합 형태에 따른 지각된 품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정구. (1998). 브랜드 개성을 통한 광고전략 연구. 광고학연구학회지, 9(1), 37-52.
  7. 김정구, 안용현. (2000). 브랜드개성의 FCB 모델에 따른 역할에 관한 연구. 광고학 연구학회지, 11(4). 65-85.
  8. 김지선. (2005). 브랜드 이미지에 따른 브랜드 협력(Collabolation) 전략의 소비자 태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컬래버레이션. (n.d.). 시사상식사전.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1013&cid=43667&categoryId=43667
  10. 박유리, 조경숙. (2014). 패션산업에 나타난 콜라보레이션 최신 경향 연구: 2012-2013년 사례를 중심으로. 패션 비즈니스 학회지, 18(2), 95-112.
  11. 박진경. (2011). 쇼핑성향, 인지도와 콜레보레이션 특성 인식이 상품유형별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신혜나. (2011). 명품 브랜드 요소와 명품선호도 결정요인: 해외패션 명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지, 29(2), 13-28.
  13. 안광호, 김동훈, 유창조. (2001). 촉진관리-통합적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접근(1판). 서울: 학현사.
  14. 안광호, 한상만, 전상률. (1999). 전략적 브랜드 관리(1판). 서울: 학현사.
  15. 안광호, 황선진, 정찬진(2010). 패션마케팅(3판). 서울: 수학사.
  16. 안지은. (2014).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인지도 극대화의 디자인 마케팅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유미혜. (2008). 패션 브랜드의 컬러마케팅이 소비자의 브랜드 인지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유혜진. (2013). TV홈쇼핑 콜라보레이션 패션제품의 특성인식이 제품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윤은정. (2004). 인터넷 쇼핑몰 패션제품 소비자의 의류쇼핑성향 및 제품특성에 따른 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 서울.경기 거주 20.30대 여성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윤지영, 전호경. (2009). 의류시장에서 제휴제품에 대한 사전지식, 파트너 브랜드의 부정적 정보와 시장 지위가 제휴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3(4), 519-530. https://doi.org/10.5850/JKSCT.2009.33.4.519
  21. 이미숙, 한혜련. (2014). 패션 판매공간의 VMD 구성요인이 브랜드 선호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 글로벌 SPA브랜드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23(4), 120-128.
  22. 이상민. (2002). 기업광고의 호감도가 브랜드 아이덴티티 형성에 미치는 효과. 경영 연구학회지, 4, 162-183.
  23. 이유재, 라선아. (2002). 브랜드 퍼스낼리티-브랜드 동일시-브랜드자산 모형. 마케팅 연구학회지, 17(3), 1-32.
  24. 이현주. (2008). 브랜드 편익과 보완성에 따른 패션산업의 브랜드간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에 대한 태도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임성환. (2011). 음료 패키지를 통한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선호에 미치는영향 연구 -코카콜라 콜라보레이션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전향희. (2003). 소비자의 쇼핑가치, 브랜드인지도 그리고 판촉유형이 다발가격매김 화장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전현배. (2002). 전략적 제휴의 유형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산업경영연구학회지. 25(1), 173-191.
  28. 정두영. (2005). 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여성 의류브랜드 유형과 소비자 특성 중심으로 -.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정민수. (2002). 패션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충성도가 브랜드확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주영진. (2013). 아트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이미지, 신뢰 및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지식경제 용어사전. 지식경제부. 자료검색일 2015. 3. 31,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skbeom/
  32. 채영지. (2004). 브랜드 성격과 광고 모델 이미지의 일치성이 광고 선호도, 브랜드 선호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최유진. (2010). 남녀 명품소비자의 과시소비 성향과 유행선도력이 명품추구 혜택 및 상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최현민. (2002). 스포츠 제품 구매시 브랜드 이미지가 구매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한상미. (2010). 패션브랜드와 아티스트의 이미지 유사성 차이가 콜레보레이션 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홍원표. (2005). 패션기업의 콜레보레이션 특성에 따른 성과 및 만족도.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7. Aaker, David A. (1996). Building strong brand, New York: The Free Press.
  38. Aaker, David A. (2005). Man aging brand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New York: The Free Press.
  39. Chang and Wildt. (1994). Price, product information and purchase intention: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the Academy of Making Science, 22(1), 16-27. https://doi.org/10.1177/0092070394221002
  40. Devlin and Bleakley. (1988). Strategic Alliances Guidelines for success, Long Range Planning, 21(5), 18-23. https://doi.org/10.1016/0024-6301(88)90101-X
  41. Engel, Blackwell, & Miniard. (2005). Consumer behavior. Cincinnati: South-Western College Pub.
  42. Fashion collaboration marketing now.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9. 8. 23,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library.dongduk.ac.kr:8010/Fashion/Report
  43. Fournier, Susan. (1998). Consumers and their brands: Developing relationship theory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4(4), 343-373. https://doi.org/10.1086/209515
  44. Grossman, Gene M. & Carl Shapiro. (1988), Counterfeit-product trade,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78(1), 59-79.

Cited by

  1. 콜라보레이션 패션제품 선택요인이 제품 선호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vol.23, pp.2, 2019, https://doi.org/10.30751/kfcda.2021.23.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