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Jigsaw Cooperative Learning on the Pre-service Teachers' Task Commit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초등예비교사의 Jigsaw 협동학습 수업이 과제집착력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9.11.25
  • Accepted : 2019.12.19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igsaw cooperative learning clas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on task commit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This study established an twelve-week period of experimental treatment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9, an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med a research group of 121 students in 2nd grade of their advanced classes who are attending the second semester of b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aking courses in 'teaching research 2'. B university of education is singleness class that doesn't have compare group, so this study is constituted only study group. Applying based-jigsaw cooperative learning class to study group, before and after concept of task commitment test and creative personality test i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group applied jigsaw cooperative learning-based science cla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ask commitment (p<.05). Second, the study group applied jigsaw cooperative learning-based science cla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ve personality efficacy(p<.05). Third, jigsaw cooperative learning-based science class of pre-service teachers have a very good feeling. Through such study results, the study could figure out that the class applying jigsaw cooperative learningbased science class has positive effect on concept of task commit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의 Jigsaw 협동학습 수업이 과제집착력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교육대학교의 학생 4개 심화반 121명을 대상으로 연구집단을 구성하였다. 초등예비교사의 Jigsaw 협동학습 수업으로는 교수력 함양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Maker 수업, 계절별 별자리 지도방법, 손가락 화석만들기, 달의 위상변화, 계절의 변화 원인, 망원경 다루기, 드론교육을 12주간 실험처치 하였다. 그리고 연구집단에 사전-사후검사로 과제 집착력 검사, 창의적 인성 검사를 하였다. Jigsaw 협동학습 수업을 통해 자연스럽게 과제집착력 향상과 창의적 인성 함양이 될 수 있도록 연구절차를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의 Jigsaw 협동학습 수업이 과제집착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초등예비교사의 Jigsaw 협동학습 수업이 창의적인 인성 함양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초등예비교사의 Jigsaw 협동학습 수업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Jigsaw 협동학습 수업이 과제집착력과 창의적 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형재, 현혜정, 이순애(2017). 명화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인성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3), 25-54.
  2. 문공주, 함은혜(2016). 고등학생의 투지, 흥미, 과제집착력, 자기조절능력 및 과학학업성취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3), 445-455.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3.0445
  3. 문성환, 이훈욱(2011). JIGSAWIII 모형을 적용한 목제품 만들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4(4), 46-60.
  4. 박미진, 이용섭(2011). 과학영재학생의 학습동기와 과제집착력과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1(4), 961-977. https://doi.org/10.9722/JGTE.2011.21.4.961
  5. 박병기, 강현숙(2006). 자기보고형 통합 창의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1(1), 155-177.
  6. 박은희, 하주현(2017). 대학생들의 음악적 흥미에 따른 공감과 창의적 인성의 차이. 교양교육연구, 11(2), 449-473.
  7. 서혁, 김지희, 편지윤, 신윤하(2016). 문제 해결 상황에서 독자의 눈동자 움직임 및 뇌파 특성 분석: 독해력 수준에 따른 독자의 과제집착력(task commitment) 양상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38, 225-254.
  8. 서현아, 엄세진(2019).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행복감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8(2), 173-197.
  9. 엄지연, 신미경(2017). Jigsaw 협동학습법 적용이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과제 해결 능력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12), 241-251.
  10. 유아미, 염시창(2016). 초등학교 수학.과학영재 판별용 과제집착력 검사 개발. 교육연구, 39, 43-60.
  11. 유주미, 최선영(2018).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성취 동기와 과제집착력 비교. 생물교육, 46(3), 390-397. https://doi.org/10.15717/BIOEDU.2018.46.3.390
  12. 이경미, 성승민, 장낙한, 여상인(2015).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과제집착력 비교. 과학교육연구지, 39(3), 307-320.
  13. 이숙현(2007). 계약학습이 영어과 학업성취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용섭, 김순식(2015). Jigsaw 협동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과제집착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87-97.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1.87
  15. 이용섭, 김윤경(2015). Jigsaw 협동학습 방법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창의적인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218-226.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2.218
  16. 장정은, 정윤숙, 최양희, 김성원(2013). 과학 영재들의 과제집착력 특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1-16.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1.001
  17. 정숙희(2014). Jigsaw 협동학습에 의한 토의.토론수업이 토익학습자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지, 22(4), 181-206.
  18. 지은림, 주언희(2012). 창의적 인재 역량 측정을 위한 구인 탐색 및 척도 개발. 교육평가연구, 25(1), 69-94.
  19. 홍지명, 윤상기(2018).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 인문사회, 219(1), 321-332.
  20. 황영란, 박윤배(2011). Jigsaw 3 협동학습이 여학생의 과학학업성취도와 과학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 35(1), 91-101.
  21. Cheung, R. H. P., & Mok, M. M. C. (2018).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reative personality as a predictor of their support of pedagogy important for fostering creativity: a chinese perspective. Creativity Research Journal, 30(3), 276-286. https://doi.org/10.1080/10400419.2018.1488345
  22. Crist, L., & James, M. (2012). The effectiveness of the jigsaw approach and other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with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Master's Research Project Presented to The Faculty of the Patton College of Education and Human Services. Ohio University.
  23. Renzulli, J. S. (2000). The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s a paradigm for school refor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9(2), 95-114. https://doi.org/10.1023/A:1009429218821
  24. Schaffer, B. S., & Manegold, J. G. (2018). Investigating antecedents of task commitment and task attraction in service learning team projects. Journal of Education for Business, 93(5), 222-232. https://doi.org/10.1080/08832323.2018.1457620
  25. Tan, C. S., Lau, X. S., Kung, Y. T., & Kailsan, R. A/L. (2019). Openness to experience enhances creativity: the mediating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creative process engagement.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53(1), 109-119. https://doi.org/10.1002/jocb.170
  26. Timothy, H. (2013). The reveres jigsaw: A proces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discussion. Teaching Sociology, 31(3), 325-332. https://doi.org/10.2307/3211330
  27. Utami, S., Nursalam., Hargono, R., & Susilaningrum, R. (2016). Midwives performance in early detection of growth and development irregularities of children based on task commi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Evaluation and Research in Education, 5(4), 300-305.